행복한 토요일 아침이다. 행복함은 순간순간 찾아온다. 오늘 아침처럼, 컨디션 나쁘지 않고 왠지 싱싱함이 느껴지는 그런 순간. 어제 밤부터 손에 든 [안나 카레니나]는 완전 재밌다. 이 책이 이렇게 재밌는 책이었나? 이번 주말은 좀 행복할 것 같다. 컨디션만 좋다면... .
그리고 두 사람의 '청춘의 독서'를 조금씩 읽었다. 김상중과 유시민.
![](http://image.aladin.co.kr/product/483/82/cover150/897199360X_1.jpg)
[청춘의 독서]에 이런 말이 나온다.
"엄청난 세상의 변화를 다 견디고 내 마음에 남은 것이 무엇인지". 청춘시절에 읽은 책들을 30여년이 지난 지금 다시 읽으며 찾으려 한 '지금 내 마음에 남는 것'.
내가 이런 책을 내기 위해 글을 쓴다면, 나는 어떤 책을 선택하여 다시 읽기를 할까. ......어째 좀 난감하다. 생각좀 해봐야겠다.... 이런 젠장, 헛살고 있는 거 아닌가?
[청춘의 독서]를 아무래도 먼저 읽고 있는데, 순서대로가 아니라 관심가는 책에 대한 글부터 그냥 읽어가는 중이다. 10장,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인가[종의기원], 글에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외 몇 권을 [종의 기원]을 제대로 알기 위한 입문서격으로 먼저 읽기를 권한 책이 있다.
스티브 존스의 [진화하는 진화론], 마크 리들리의 [HOW TO READ 다윈]을 꼽았다.
이런 책들을 다 읽고 나서, 관찰로 얻은 개별적 사실에서 일반적 명제를 끌어내는 논증의 아름다움을 즐기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그 때 [종의 기원]을 읽으라고 권했다.
그래서 구입하려는데, [이기적 유전자](을유문화사) 번역에 대해 부정적 의견들이 있다는 사실에 주저하고 있다. 어떤 분은 '어렵지만 대단히 좋은 책'이라고 했고, ㅈ욕을 하는 분도 있다. 권장도서이기도 하고. 이런 경우는 성격대로, 내가 직접 확인할 밖에. .......
![](http://image.aladin.co.kr/product/85/51/cover150/8932471118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95/91/cover150/8934928697_1.jpg)
엇, 애덤스미스의 [도덕감정론] 개역판이 출간되는군. 금융위기로부터 휘청거리는 자본주의에 대해 숙고해보는 정신들이 애덤스미스의 [국부론]과 [도덕감정론]을 다시 떠들어보게 했다 운운하는 얘기들이 나돈 후라 빠른 시일 내에 다시 손을 봐 책을 낸 모냥이다. 출간되면 서점에 가 실물을 좀 보고 구입할 생각이다. 언젠간 읽겠지.
![](http://image.aladin.co.kr/product/487/76/cover150/8937603683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