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유증이 좀 있다. 조정이 될지 폐기될지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책에 집중하는 게 상당히 힘들지만...(소심함과 예민함이란 살아가는 데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엊그제간에 바쁘고 정신 없는 틈틈이 재미있게 읽은 책은 조지 레이코프의 [코끼리는 생각하지마]이다.  

 

 

 

 

 

 

 

이 사람 상당히 흥미로운 사람이더군. 촘스키와 맞짱뜬 사람인데다, 촘스키가 말도 안섞는다는 사람.... 촘선생의 이런 면을 드러내게 한 사람이라니 재밌지 않는가.  

"사람들은 경제적 이해관계가 아니라 자기의 가치와 정체성에 투표한다는 것". 

이 책에서 핵심적으로 떠올릴 문장이라면 이 문장을 선택하겠다. 지난 2006년, 2007년의 총선, 대선에서 사람들이 지향한 가치와 선택이 지금은 얼마나 달라졌는지 궁금하다. 최근 유시민은 김혜리와의 인터뷰에서(씨네21) '국민들 스스로가 내가 뭘 원하는지 알고 거대한 흐름으로 형성해 내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거라고 본'다고 했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이었다. 큼직큼직한 일들이 팡팡 터져도 좀체 속내를 파악하기 힘들정도로 무표정한 모습이 지금의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내년 지방선거라든지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정치인들도 확신을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프레임에 대해 사고할 수 있게 해줘서 실용적인 책이었다.  

프레임적 사고와 정치적 수사학은 다르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와 함께 떠오르는 생각이었다.  

70년대는 잘 모르겠고, 80년대의 DJ는 대중연설로 인상적인 기억에 남는 사람이다. 요즘은 대통령 선거나 여러 선거에서 잡다한 유세가 펼쳐지고, 기회만 있으면 어디서든 '말할 수 있는 자유'가 있지만,  정치적 활동이 자유롭지 못했던 그 때만해도 대중 집회가 한 번이라도 마련된다면 정말이지 그 펄펄 끓어오르던 사람들의 관심과 열기란 대단했었다.(정치적 연금이 풀리고 광주를 찾았던 DJ 의 전남 도청 앞에서의 연설은 ... ) DJ를 보고 타고난 연설가라고 사람들이 말했다. 독특한 면모가 있었다.  

가끔 정치인들의 수사에 대해 분석한 글들을 보곤 하는데, 정신과 의사인 정혜신이 정치인들을 분석한 글, 강만준이 특유의 문헌학적 글쓰기에 따라, 정치인이 한 말, 글을 모두 인용하여 분석한 글 정도?  정치학, 심리학, 수사학적 분석들이 잘 버무려진 재미있는 글이 보고 싶다.  

 

 

 

 

 

 

 

연설을 찾았더니 영어학습 카테고리에 맞춘 책들이 너무나 많았다. 요즘 학생들은 진짜 대단하다니까!   

[위대한 연설]이 당기긴 한데, ... 실물을 보고 판단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