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은 <플란더스의 개>와 <마더>에서 폭탄주를 마시는 술자리 장면을 '기성세계의 대표적 이미지'로 사용했다고 말한다. '부당한 거래'가 오가는, '모든 것을 두루뭉실하게 만들어 버리는 한국사회의 거래'가 이런 술자리, 폭탄주를 돌려가며 마시는 회동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봤다. 더 나아가 봉 감독은 '한국성인남자'에 대한 공포를 앓고 있다. 나는 봉 감독의 말에 십분 동의할 수 있다. 그 어색하고 유쾌하지 못한 느낌이라니... . 나는 여전히 그런 자리가 불편하다.  

홍상수 감독은 그의 영화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술자리 장면이 다른 배열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같은 소재라도 느낌이나 의미가 다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나는 홍 감독의 클리셰가 돼버린 듯한 그 술자리 장면이 이제 지겹다. 한국영화에 십중 팔구 빠지지 않는 장면이 술 마시는 장면이다. 혼자 마시든 여럿이 거나하게 마시든, 포장마차에서 마시든, 대폿집에서 마시든, 길거리에서 마시든, 집에서 마시든, 소주가 됐든, 막걸리가 됐든, 양주가 됐든... 무쟈게도 나오는 장면, 술 마시는 장면. 한국 영화감독들이 안이하게 만드는 장면 중 하나가 술마시는 장면이다. 현실의 반영이라고 해도 피할 수 있으면 피해야 한다. 고민이 더 필요하다.  

유하 감독은 자신의 영화의 쇼트 수가 점점 많아진다고 고민한다. 그가 생각하는 고수란 '장면을 많이 나누지 않으면서도 하나의 쇼트에 여러 쇼트의 의미를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고 알고 있었다. <쌍화점>은 제작자나 PD가 그를 너무 그만의 세계에 방치한 탓에 그 정도의 영화가 나왔다. 몇 편의 성공으로 그도 무뎌지고 오만해졌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미안하지만 임순례 감독의 인터뷰가 가장 재미없었다. 유하 감독이나 임 감독의 경우, 그들의 가장 최근작에 대해 변명조의 얘기가 많았다.  

6명의 감독에게 묻고 질문하는 이동진의 성실함이 흥미로운 인터뷰를 이끌어냈다. 꼼꼼하게 해당 감독의 작품 전부를 보고 감독에게 확인받으려 하는 그의 모범생 같은 모습도 있다. 책 말미에 그는 김혜리 기자에게 인터뷰 당한다. 부메랑 인터뷰다.  

이 책에 나온 감독 모두, 이 땅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걱정하듯이 언제까지 이 일을 할 수 있을까를 심각하게 걱정하고, 늙어서도 '끝까지 살아남은 한 사람의 시선이 담긴 영화'(류승완)를 만들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동진은 계속해서 감독들의 인터뷰를 엮어 책으로 만들고 싶다고 했다. 모두들 계속되기를, '지속가능'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아무래도 나중을 위해 남겨둔 듯한 박찬욱 감독과 몇 감독 더 하면 이 정도의 책을 얼마나 더 만들 수 있을까, 생각해봤다. 인터뷰는 인터뷰 대상이 되는 사람에게서 많은 걸 드러내도록 질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상 자체가 털어놓는 말들이 읽을만 또는 들을만 해야 한다. 그것이 인터뷰기 때문이다.  

아침부터 헛고생했다. 오전 미팅은 ... 씁쓸했다. 기운 팔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