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동안 도서관에서 사랑에 대한 책을 읽어보기로 했다.
이쯤에서 내 연애방식을 돌아보고 싶어지기도 했고
앞으로 다시 사랑을 하게 되면 똑같은 실수를 하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랑을 공부한다니 좀 우습기도 했지만
이왕 고민할 거라면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해 나쁠것은 없지 않은가.
일단 알라딘에서 관련 책들을 뽑아 리스트를 만들었다.
그 중 도서관에 있는 책들을 골라 한켠에 쌓아놓고 꼬박 이틀을 읽었다.
다음은 바로 그 책들이고 평점은 순수하게 내 의도에 얼마나 맞느냐에 따라 매겼다.
가장 의미있던 책은 바로 이 책 - LOVE, 사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

사람들이 서로에게 호감을 느끼고 사랑을 시작하는 단계에 대해
전통적인 성역할적인 측면과 사회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알고 있으면서도(경험적인 측면에서) 흥미로운 부분이 상당히 많았고
배울 점도 있었다.
특히 여러 책에서 읽었던 것처럼 누구나 자신의 어린 시절에 받았던 상처를
상대방에게 투영하고 치료받으려고 한다는 부분에서는...어쩔 수 없이 동감..
내 문제가 무엇인지도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참 고치기는 힘들다.
다음은 열심히 노트에 적어온 부분
- 남녀 모두 고정관념에 따른 한가지 특성만 가진 이성보다는 두가지 특성,
즉, 남녀의 특성을 모두 겸비한 양성적인 이성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역할 고정관념은 특히 젊은 남녀의 이성관계, 그 중에서도 초기 단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좀 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관계가 형성된 다음이나 나이 먹은 사람들의 관계에서는
그 영향력이 약해진다.
- 남녀 모두 배우자의 특성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친절'과 '배려'였다.
- 자기에 대한 확신이 높을수록 남의 인성, 사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대방을 더 까다롭게 고르고 상대방이 자기를 좋아한다고 해서 그냥 쉽사리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
- 여자들의 경우, 자신감은 외모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 상대방이 당신을 사랑해주기를 바란다면, 상대방에게 진심어린 호감을 표시하고,
상냥하게 웃어주며, 이름을 자주 불러주어라.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자기 이야기를 할 수 있게 관심거리에 대해 물어보라.
상대방이 스스로 중요하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정직하고 진심어린 마음으로 존중하라.
- 당신이 어떤 사람을 좋아하느냐, 좋아하지 않느냐를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그 사람이 당신을 좋아하느냐 좋아하지 않느냐이다.
- 그에게 호감을 갖고, 솔직하고 다정하며 즐겁게 그를 대하는 것이다.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라.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욕구를 세심하게 배려하는 태도이다.
상대방이 다르게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하라.
이 책에서 카네기의 '인간관계론'이 언급되어 잠시 책을 가져와 찾아봤다.
친구를 만들고 사람을 움직이는 방법 ★★★

- 상대방이 진심이라고 느낄 수 있는 관심을 갖는다.
- 언제나 밝은 미소로 대한다.
- 상대방의 이름을 기억한다.
-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듣는다.
- 상대방의 관심사를 알아내어 그것을 화제로 삼는다.
- 진심으로 칭찬한다.
읽은 몇 권의 책을 더 언급하자면..
왜 우리는 사랑에 빠지는가. ★★★
- 신비감
- 비슷한 사람에게 끌리는 경향이 많다.
- 반대되는 사람도 서로 끌린다. 단, 민족적, 사회적, 지적 영역이 서로 다르지 않아야 한다.
사랑할 때 버려야 할 9가지 생각 ★

: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음.. 기억에 남는 내용 없음
사랑을 위한 과학 ★★

: 그야말로 너무 과학적이며 뇌의 활동에 관련된 책이였다.
매혹의 기술 ★★

: 음...사람들에게 호감을 살 수 있는 행동에 대한 책인데...
너무 '기술'에 치중되어있고 글쓴이의 순수 경험(?)에서 우러난 내용뿐.
그래서 이 책들을 다 읽고 느낀 점이 무엇이냐고?
사실 특별하게 깨달은 것은 없다.
그저 사랑한다는 것은 결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우연한 것은 아니며,
서로의 알지 못하는 상호작용 및 여러 요소에 의해 이끌려진 것이고
일단 시작된 사랑을 지켜가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을 해야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사랑이 아니였을 경우에는 더 좋은 사랑을 위해 놓아줄 필요도 있다는 것.
그리고, 사랑을 하면서, 아니 인생을 살면서
천천히 과거의 아픈 부분을 스스로 치유해가며 성장해야한다는 것
그것이 우리가 끊임없이 누군가를 갈망하고 사랑하며 인생을 살아가는 이유라는 것이다.
물론 우리의 세포들은 전혀 그런 것은 모른채 종족번식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