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이 글을 읽게 된 것은 교육사회학교수였던 이수광선생님의 강의를 듣다 패러다임의 개념을 소개 받으면서 였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무슨말을 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2005년 이 책을 읽은 후에 2010년 <9인 9색 청소년에게 말걸기>를 읽게 되었는데, 아래 글로 인해 패러다임의 개념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 아래에 그 글을 적어둔다. 이해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수광선생님은 패러다임의 개념을 교육사회의 변화에 쓰쎴는데, 내 생각엔 패러다임이란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쓰신 것 같진 않다. 내가 잘못이해한 것인진 모르지만, 하여튼 다음 내용을 읽어보시라... 위의 책 p48,49쪽의 내용을 옮긴다. 

....과학철학자 토마스 쿤은 그의 저서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유명한 패러다임의 개념을 제기했다. 패러다임이란 과학자 사회가 갖는 가치체계의 총합이라 할 수 있는데, 거기에는 문제풀이의 전형이 있다.   정상과학이 패러다임과 동일하며, 정상과학은 패러다임 내에서 작동하는 문제풀이활동이라고 말했다. 즉 과학은 다른 활동과 마찬가지로 그 패러다임이 제기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패러다임마다 풀어야 할 문제들의 집합이 다르다. 따라서 과학이 가지는 설명력은 이러한 패러다임 내에서의 설명력일 뿐이며, 패러다임이 전환되면 더 이상 과거와 같은 지위를 누리지 못한다.....  

 

이 책은 2005년 9월 2일부터 2006년 8월 27일까지 읽었다. 천천히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