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은 1784년 <발해고>를 완성하였다. 그가 고구려와 발해의 옛땅을 다녀온지 6년이 지난 뒤였다. 그의 역사의식은 남달랐다. 

틈나는 대로 유득공은 아이들에게 옛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역사는 책장속에 고이 모셔져 있기보다, 팔딱팔딱 뛰는 아이들의 가슴 속에 자리해야 한다고 여기는 그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