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믐, 또는 당신이 세계를 기억하는 방식 - 제20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8월
평점 :
p.86-97
마지막에 아버지랑 딸이 꼭 만나야 하는 거야?
만나야지. 그렇게 오래 기다렸는데. 이런 영화가 해피엔딩이 아니면 좀 곤란하잖아.
하지만 생각해봐. 그 아버지와 딸은 서로 못 본 채로 수십 년을 떨어져 살았어. 그러다가 마지막에 만나는 건 겨우 십 분 정도야. 그 십 분으로 인생이 해피엔딩이 되고 안 되고가 결정되는거야?
그런가?
저 딸이 만약에 아버지가 오기 한 시간쯤 전에 죽었다면 말이야, 그러면 저 아버지와 딸은 엄청나게 불행하고 의미 없는 삶을 산 셈이 되는 건가? 운이 좋아서 딸이 죽기 전에 딱 십 분을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면 그 수십 년의 인생에 갑자기 의미가 생기는 거고?
ᆞ이때까지는 저 부분이 가장 생각하게 만드는 것만 같았다. 영화는 흐르는대로 사고가 따라가게 마련이니깐. 몰입하다보면 당연히 해피엔딩이길 바라게 되고, 주인공들의 마음을 아니깐 만나는 것이 해피엔딩이라고 생각하게 되겠지. 그래서 끝나고 나서 다시 찬찬히 생각하게 만드는 것 같다.
하지만 책은 이것과 좀 다르다. 무엇을 말하려는 걸까? 계속 생각하면서 읽고, 쟁점ᆞ갈등은 무엇인지를 찾으려고 한다.
이 책도 그랬다. 처음엔 동급생을 살인하고 소년원과 정신병원에 있다가 나온 남자의 이야기로 생각했다가, 알고보니 일진이라는 아이를 살인한 피해자가 가해자인 이야기라고 생각을 했다가 아들을 가슴에 묻은 아줌마의 스토킹을 보면서 피해자가 가해자가 된 사건이라는 뉴스를 접한 일반인이라면 그 사실에 대해서만 생각하지만 엄마의 입장에선 가해자였다는 아들보다는 피해자 입장만이 알려지길 바랄 것이라는 마음이 어떤것인지 고민하게 만들어주었다.
그 외 여러 요소들은 생략.
영화와 책의 전달력이 어떤 것인지 비교하게 되는 부분이 있어 <마션>이 다시 또 생각나기도 했다.
p.86-97 마지막에 아버지랑 딸이 꼭 만나야 하는 거야? 만나야지. 그렇게 오래 기다렸는데. 이런 영화가 해피엔딩이 아니면 좀 곤란하잖아. 하지만 생각해봐. 그 아버지와 딸은 서로 못 본 채로 수십 년을 떨어져 살았어. 그러다가 마지막에 만나는 건 겨우 십 분 정도야. 그 십 분으로 인생이 해피엔딩이 되고 안 되고가 결정되는거야? 그런가? 저 딸이 만약에 아버지가 오기 한 시간쯤 전에 죽었다면 말이야, 그러면 저 아버지와 딸은 엄청나게 불행하고 의미 없는 삶을 산 셈이 되는 건가? 운이 좋아서 딸이 죽기 전에 딱 십 분을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면 그 수십 년의 인생에 갑자기 의미가 생기는 거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