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인 동주 ㅣ 창비청소년문고 15
안소영 지음 / 창비 / 2015년 3월
평점 :
얼마 전 <연을 쫓는 아이>를 읽으며, 이런 글을 쓰는 사람들을 우리나라 일제시대로 치자면 독립운동에 가담하여 글을 쓰신 분들이 아니겠는가 했다.
내 나라의 처한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심각성과 문제점 인간의 본성에 대한 고민하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면 그거야 말로 독립운동가가 아닐까 했다.
그런데 이 책 <시인/동주>가 내게 또 그런 책이었다.
이 책을 쓴 작가도 대단하고, 동주도 대단하다. 아니 대단하지 않은 사람인것 같은데 대단해서 대단했다는 말이 맞는 듯 하다.
우리 글과 말을 뺏긴 설움이라는 말을 학창시절에 들었지만 그 느낌과 사고는 온전히 내것이 아니었음은 당연했다.
그런 기분, 감정을 이 책을 읽으면 어떤 것인지 느끼게 된다. 창씨개명, 국민학교, 한글로 글을 쓸 수 없는 편지, 신문, 책들을 가지고 살아가는 비통함 자체의 감성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창씨개명신청서를 내는 친구들의 표정, 소학교가 국민학교로 바뀌어지는 뜻, 출판사 신문사가 폐간되고, 친일로 돌아서는 문인들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줌으로써 그 감정이 무엇인지 고스란히 느끼게 해준다.
그런 와중에 혼자 한글로 시를 쓰는 윤동주가 대단하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기에 대단했다. 하지만 처음부터 독립운동에 뜻을 두고 하지 않았고, 그저 시가 좋아서 쓴 문학도였다는 게 평범한 우리 모습같아 대단하지 않다는 생각도 동시에 든다.
그런 평범하게 살아가는 학생도 독립운동가능성이 있어 불온자가 된다는 것이 안타깝고, 그래서 더 슬펐다.
윤동주의 시의 분위기처럼 이 책 내용도 조용하고 깔끔하며, 쉽다.
ᆞ이 책을 읽으며 <시를 잊은 그대에게>책이 생각났다.
윤동주의 생활을 그리면서 순간 순간 떠오르는 시상으로 완성된 시를 소개하는 이 책을 읽으며 <시를 잊은 그대에게>보다 더 시를 잘 설명하고 있구나 싶더라.
윤동주의 시가 이랬구나~ 싶어 이제 무슨 뜻인지 오히려 잘 이해가 되었다.
학창시절 윤동주 시 중에 <자화상>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고, 어려워 했지만, 이 책을 읽고는 <자화상>을 읽으며 수치심과 울분 섞인 자신의 모습이라고 배운 내용이 무슨 뜻인지 이해가 되었고, 이 시가 좋아졌다.
이렇게 시가 내게로 왔다.
역시 시는 작가의 배경지식이 있어야 하는거구나 싶은 생각이 드는건 어쩔 수 없네.
ㅡp.264
시를 남김없이 다 빼앗기고 일본말로 뒤집히는 수모를 겪었지만, 그래도 어머니가 계셨던 것이다. 어머니는 동주의 가슴속에 마르지 않고 고요히 차올라 오는 시였다.
ᆞ이런 책은 어린이판으로도 나왔으면한다.
우리집 아이에게 이 책은 꼭 읽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런 책 한권이 국사시간, 국어시간 한 학기와 맞먹는듯 하다.
ᆞ그리고 역사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겠다.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는 일제시대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나 생각해보았지만, 도무지 달라진 모습이 없는 듯 하다. 일제시대의 모습으로 학습하는 초, 중, 고, 대학교의 모습이며, 그 후의 독재정권, 그리고 과열된 경쟁시대..
무엇하나 연결되지 않은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