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잘 둔 덕에 특강할 기회도 많다. 이번 한 달은 온 데 쫓아다니느라  글다운 글 한 줄 못쓰고, 읽어야 할 책은 산더미처럼 밀렸다. 읽고 쓰려 새벽까지 깨어 있느라 크게 좋아하지도 않는 커피만 달고 산다. 이러다가 읽고 써야 할 자로서의 내 정체성을 잃어버릴까봐 조금 걱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노동의 신성함을 그 누구보다 찬양하는 나 같은 사람은 주어진 일을 쉽게 포기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감사히 여기고 열심히 하는 편이다.

 

 

  시간 없어서 글 못쓴다고 하는 건 백프로 핑계다. 번듯한 직장이 있으면서도 독자에게 만족을 주는 글쟁이들이 제법 있지 않은가. 시간 핑계를 대며 글 제대로 쓸 수 없는 자괴심에 빠져 있는데, 그 맘에 한 가지 더 보태는 일이 생길까 걱정이다. 내 특강 주제는 '소중한 나'이다. 한 마디로 스스로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이다. 학업 못지 않게 학생들 정신 건강도 중요하기 때문에 일선 학교에서는 이런 프로그램도 계획했을 것이다. 

 

 

  자아의 소중함을 알아가는 단계 중 갈등 부분이 있는데, 그 항목 중 하나에 가족과의 갈등도 포함되어 있다. 학생들은 비교적 자신의 심리 상태를 적나라하게 표출한다. 멍석만 잘 깔아주면 눈치 보지 않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한다. 내어준 자료지에도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자유롭게 써낸다. 자신이 가족에게서 들은 상처의 말들을 적나라하게 적어 보는 코너가 있다. 내가 엄마로서 행한 온갖 악행들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해준 뒤 자신들이 겪은 모욕적인 말들을 적어 보라고 하면 수위 높은 말들이 가끔씩 나온다. 흔하진 않지만 솔직함을 넘어 적나라한 가정사가 드러나는 경우도 있다.

 

 

   수업 자료는 원한다면 담임선생님께 참고가 되라고 제출한다. 대부분 평범한 가정 일상과 학교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가끔 너무 심하다 싶은 자료지를 작성한 학생들이 있다. 언어폭력을 일삼는 부모가 있다는 반증이다. 이런 부모에 대해 아이들은 불신과 원망의 말로 자신의 심정을 대변한다. 이 경우 담임 선생님은 학부모 상담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학업 성취도와 부모에 대한 인식은 별 관계가 없는 것 같다. 성취도가 높다고 방치하다 보면 더 큰 상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좀 더 깊은 상담이 필요할 것이다. 

 

  내가 걱정하는 건, 학생들이 작성한 그 자료가 혹시라도 진실이 아니면 어쩌나 하는 것이다. 재미로 쓴 작성지가 오해를 사서 상담의 대상이 된다면 괜히 내 쪽에서 미안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오래 관찰한 담임 선생님이 그것을 판단하지 못할 리 없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지만 그래도 소중한 나를 찾겠다고 특강까지 들었는데, 담임 선생님께 부정적인 이미지만 심어주게 됐다면 이 또한 내 책임이 아닌가 하는 소심증이 발동하는 것이다. 작성지 하나가 아이들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지는 않겠지만 괜한 걱정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다. 이래 저래 진정으로 '나의 소중함'을 안다는 건 힘들기만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2-11-27 1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팜므님.
아이들을 많이 만나시나봐요... 참 예뻐요, 학생들.
예전에 저는 학생들을 겁을 내곤 했는데 - 마치 어찌 다뤄야할지 모르겠는 도자기처럼 - 이제 조금은 익숙해지니, 이쁜 면들과 아픈 면들이 보여요. 아직 성인이 아니라서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이, 두렵게 지내는 아이들을 보면 더욱 속상해집니다. 그래서,

진실이 아닌 자료 한두개 섞여 있더라도
그런 글을 내뱉게 하고 학교에서도 알 수 있게 하시는 일은 정말 좋구나 하고 생각이 들어요.

네, 나의 소중함을 안다는 것은 너무 힘들어요, 저만 해도
이렇게 몸살이 나기 전까지 계속 전전긍긍 일을 벌이거든요..... 에긍...
또 뵐게요.

다크아이즈 2012-11-28 01:50   좋아요 0 | URL
달여우님 학교에 계시는군요. 님처럼 사명감을 가지고 계신 분들 보면 존경스럽습니다. 대부분 이쁜데, 통제 안 되는 아그들은 진짜 대책이 안 서더군요. 몇 십 년 새 학교 환경이 너무 달라져서 신기하게 보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