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 대구국제오페라축제 - 청라언덕    <청라언덕 창작 오페라 및 선교사 집 이미지 컷>

 

봄의 교향악이 울려 퍼지는 청라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 가곡 ‘동무생각’의 노랫말 시작 부분이다. 중학교 음악 교과서 맨 앞을 장식한 이 노래는 전 국민의 애창곡이라 할 만큼 친근하다. 이은상 작시, 박태준 작곡의 이 가곡은 언젠가부터 ‘청라언덕’이라는 지명 덕도 톡톡히 보고 있다.

 

학교 다닐 당시에는 청라언덕을 지척에 둔 채, 수없이 ‘동무생각’을 불렀어도 그것이 대구 동산동의 특정 지역을 지칭한다는 것은 전혀 알지 못했다. ‘청라’라는 말이 그저 꾸밈새 정도의 관형어 기능을 하겠거니 생각했다. 그때만 해도 본격적인 근대 대구 문화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전이어서 청라언덕이 조명받기에는 일렀는지도 모른다.

 

시립도서관에서 마련한 ‘근대 대구 골목 투어’ 문학기행에 합류하면서 그토록 가보고 싶었던 청라언덕을 둘러볼 수 있었다. 청라언덕은 구한말 대구의 기독교가 뿌리내린 중심지였다. 지난 100여 년간 지역 문화 변천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의 호흡 공간이다.

 

청라(靑蘿)란 ‘푸른 담쟁이’를 말한다. 담쟁이는 미국 선교사들이 대구의 더운 날씨를 극복하기 위해 손수 갖고 와 심었다. 담쟁이 넝쿨은 여전히 선교사가 살던 붉은 벽돌집 주위로 휘감아 돌고 있었다. 대구가 근거지였던 박태준 작곡가의 학창 시절 연애사를 이은상 시인이 노랫말로 다듬어 만든 곡이 ‘동무생각’이었다. 여기에 백합 피는 청라언덕이 나온다. 흰나리꽃 향내 머금은 백합은 근처 신명여학교 학생이었다고 해설사가 전해준다.

 

최근 이은상 시인의 고향인 마산에서도 청라 언덕의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청라(靑羅) 즉, ‘푸른 비단’이라는 뜻의 이 언덕은 마산만이 보이는 노비산을 지칭한다는데 지켜보는 사람들로서는 자못 흥미롭다. 의미 부여만 제대로 한다면 대구인들 어떻고, 마산인들 어떠랴. 두 예술가의 정신만 오롯이 되살릴 수 있다면 문화 이미지로서 청라언덕은 둘이어도 별 무리는 없을 것이다. 지명의 소유권 보다 청라언덕이라는 고유한 문화 이미지로서의 스토리텔링이 더 중요하다.

 

문화 상품으로 재탄생되는 청라언덕을 두 예술가도 반기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12-10-15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청라언덕이 푸른 담쟁이 언덕이군요.^^
팜므느와르님, 댓글 반가워 답글 달다가 뭘 잘 못 눌렀는지 글 전체가 날아가버렸어요.
제가 요새 이래요. 손이 완전 엉뚱해요. 그 페이퍼 살려야하는데... 님의 댓글이랑
추천도 아깝고. 흑흑... 님 댓글 보고 아! 김훈!! 이러다 뭘 눌렀던지..ㅠㅠ

다크아이즈 2012-10-16 01:12   좋아요 0 | URL
아, 어쩌지요. 프레이야님은 페이퍼 성의껏 길게 쓰시는데 투자한 시간, 열정 아까워서 어쩌지요. 서재기기께서 살려주실 거라 믿으며. 저 댓글 때문에 생긴 일이라 마구 미안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