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방 동문선 문예신서 326
롤랑 바르트 지음, 김웅권 옮김 / 동문선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책 좀 읽으려고 폈다하면 벤야민이 어쩌고, 괜찮은 사유들을 들출라 치면 바르트가 저쩌구(이것들 뿐이랴, 들뢰즈, 레비나스, 데리다, 푸코, 하이데거, 심지어 고진까지...).... 저마다 이러는 통에 무식한 독자는 머리가 터질라 칸다. 이참에 저 위대한 것들이 연필로 뭔 짓을 해놨길래 글 좀 쓰는 자들은 저토록 저들의 이름을 들먹이는지 알아봐야겠다 싶다.

 

  우선 롤랑 바르트의 <밝은방>과 이미지 컷으로 된 <롤랑바르트, 필립 소디, 김영사>를 샀다. (물론 벤야민의 <일방통행로>도 뒤늦게 샀다.) 금세 읽었다. 뭔 말인지 모르겠다. 내 독해력에도 문제가 있겠지만 역자를 원망하고 싶다. 실은 뭔 말인지 모르겠는 게 아니고, 역자가 뭔 말인지 모르도록 번역해 놨다고 보면 된다. 충분히 공부하고, 담뿍 이해하고 연필(아니 자판)을 내지를 것이지... 역자 후기만 읽어도 역자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진다. 어려운 텍스트를 번역한다는 게 얼마나 힘겨운지는 알겠으나, 역자 스스로 먼저 번역되어 나온 책(카메라 루시다)을 참고했다고 했는데도 이 정도라니 안타깝다. 비문이라도 좀 덜 생산하는 역자를 만나고 싶다. 절판되었다는 카메라 루시다를 구해서 비교해 보고 싶다.

 

  스투디움과 푼크툼의 개념을 이해하게 된 건 그나마 다행이다. 나남 할 것 없이 특정 사진에 대해 떠오르는 공통된 심상, 또는 작가의 의도 등을 스투디움이라 한다면 구경꾼 개별자의 폐부 깊숙이 찌르는 뭔가가 있을 때 우리는 그것을 푼크툼이라 부를 수 있다. 전자가 객관적이고, 평면적이고, 대중적이며, 이해되는 것이라면 후자는 지극히 주관적이고, 입체적이며, 개별자적이며, 소통 부재해도 되는 것이다.

 

   ...어떤 '세부 요소'가 나를 끌어당긴다. 나는 그것이 다만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나의 사진 읽기가 변하고 있음을, 또 내가 바라보는 것이 훌륭한 가치가 새겨진 새로운 사진임을 느낀다. 이 '세부 요소'는 푼크툼(나를 찌르는 것)이다. -59쪽

 

  스투디움이 의식적이라면 푼쿠툼은 무의식적이다. 스투디움이 대중적 갈망의 표현이라면 푼쿠툼은 개별자의 숨겨진 욕망이다. 갑자기 생각난 것 두 가지. 아주 먼 옛날 사진들을 하나하나 불러내 나만의 푼크툼을 섬세하게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 푼크툼은 사금파리로 팔뚝을 문질렀을 때 생기는 상처 같은 것이므로 아, 생각만해도 서늘하고 아름다울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아마추어 말고 식자입네 하는 사진가들 대개가 스투디움과 푼크툼을  생각하며 사진 작업을 하는지 궁금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꼼미 2012-07-31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위대한 것들'에 대한 책읽기는 어찌 돼가고 계신지^^ 더운 여름 잘 보내고 계세요? 미시건도 무척 더웠답니다.

다크아이즈 2012-08-13 2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리운 꼼미님 미시건에는 가을이 오고 있겠지요? 갱년기 앓느라 땀만 삐질, 서재질은 뒷전. 숙제하듯 분발해볼까 싶어요. 위대한 것들, 이 여전히 괴롭히지만 안 위대한 독자가 달려가야지요. 어쩌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