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뒤돌아 보면



뒤돌아 보면 후회뿐인 것을
그땐 아니라고 했다
날은 궂고
벗은 멀리에

봄이라고 나선 수선화도
지난 추억에 빠져든듯
좀처럼 고개를 들지 못하고

드물게 창으로 든 햇살이 비추어낸
수없는 먼지의 잔해들처럼
지난날에 대한 그 많은 후회도
생을 관통하는 사랑으로 하여
이렇게 짙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상하리만치
봄날이 궂고
벗들은 먼길로 떠난다

뒤돌아 보면 사랑뿐이었던 것을
그때는 한사코
아니라고만 했다

5. 18. 2010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느린산책 2010-05-25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뭔지 모르지만 그냥 무작정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여운이 있네요..

꼼미 2010-06-09 01:17   좋아요 0 | URL
여운이 있었다니 고맙...^^

2012-01-18 20: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창래의 소설 <Aloft> 의 주인공 제롬은 쉰아홉살 미국 남자다. 그는 여자친구를 걸고 필사의 테니스 시합을 제안한 연적 앞에 선 자신을 이렇게 생각한다.


"this fifty-nine-year-old idiot...killing himself on the court"

(오십 아홉의 바보같은 자식, 테니스 코트에서 죽으려고 작정한...)


제롬의 여자친구가 보기에도 이 두 남자의 테니스 시합은 철부지 소년들이나 벌일 충동적 기싸움에 불과했다. 그걸 제롬 스스로도 모르는 바 아니었겠지만, 그의 소년적 감성(또는 감정)이 그의 물리적 나이를 지배하는 걸 막을 순 없었다.


물리적 나이와 감성적 나이의 관계는 어떤걸까. 아직 채 스물이 못된 마일스란 청년에게 말하는 '나이 먹음'에 대한 제롬의 생각은 이렇다.


"You have to understand something here, buddy. You've got another twenty-five years before you're that age, so it's hard for you to fathom. But it's going to go quick. Before you even know it, you'll know up and suddenly your buddies will have beer guts and will be getting gray all over and they'll be talking about sex but not in great anticipation, but with dread."

(이걸 알아야되, 자넨 스물 다섯이 되기도 전에 또다시 스물 다섯살을 먹게 될꺼야. 스물 다섯살이 어떤 건지 그 깊이를 알기도 전에 말이지. 재빨리 가버리는 거라구. 그 나이를 채 실감하기도 전에, 어느 순간 나이를 더 먹고 자네 친구들이 술독에 빠지고, 머리카락 하얗게 덮히고, 여자얘기를 지껄여 대지만 뭔가 그럴듯한 여자관계를 가지지도 못한채 그저 벌벌떨기만 하는 거지)


"I'm not trying to scare you. That'll only be the surface. But what I'm really saying to you, Miles, is that, mostly, you won't change. At least not in the way you think of yourself. You'll stay in a dream, the Miles-dream."

(자넬 겁주자고 하는 얘기가 아냐. 이건 그저 맛뵈기에 불과해. 내가 진짜 해주고 싶은 말은 말야, 마일즈, 대체로 자네는 절대 변하지 않을꺼라는 말이지. 최소한 자네가 생각하는 어떤 모습으로는 말이야. 자넨 그저 환상, 그러니까 '마일스의 꿈' 속에 머무르게 될꺼라고)


"The Miles-dream. Maybe you'll have more than one. It's like this. You'll have an idea of yourself being a certain age, and for years and years when people ask you'll still think you're twenty-five, or thirty-five, or whatever age that seems right to you because that will be the truth of your feeling inside."

('마일스의 꿈.' 어쩌면 그 꿈은 하나 이상이 될지도 몰라. 그러니까 이런거지. 자넨 자네가 어떤 특정한 나이의 사람이란 생각을 갖게되는 거야. 몇년이 흐르고 또 흐른 후에, 사람들이 자네 나이를 물어봐도 자넨 여전히 자네가 스물 다섯이나, 아님 서른 다섯이라고 여기는 거지. 아님 그게 어떤 나이이든 그 나이가 자네에게 딱 맞다고 생각하는 거야. 왜냐하면 자네 마음속의 감정이 정말 그럴꺼거든)


물리적 나이 쉰 아홉의 제롬이 생각하는 그 자신의 감성나이는 서른 둘이나 서른 셋 쯤이다.


마일스가 제롬에게 묻는다.


"What, were you getting a lot of pussy back then?"

(그땐 많은 여자랑 놀아났던가 부지?)

"I wouldn't put it that way, exactly."

(그런 말을 하는게 아냐, 이놈아!)

"Yo, I was just kidding! I'm just fucking with you, man. But hey, you were happy, right?"

(에이~, 농담이야 아저씨~. 그저 장난 좀 해보려고 한거야. 그래도, 그땐 -제롬의 감성나이 서른몇 시절- 행복했다는 말이지? 그지?)

"Actually not really too happy, either."

(사실 별로 그리 행복하지 않았어. 그때도 말이지...)



이 소설은 여느 미국 환타지 소설이나 충격적 소재의 사실주의 소설과는 다르다. 특별한 소재도 없고 사건도 없다. 이 꽤 긴 장편소설을 이어가는 그럴듯한 소재들이 없는 건 아니지만 이 소설은 그 몇개의 소재들을 부추기기 위해 시시콜콜한 생각과 대화가 있는 게 아니라, 그 반대로 시시콜콜한 생각과 대화를 펼쳐 놓기 위해 사건들이 존재하는 식이다.


오십 아홉살 먹은 미국 남자가 생각하는 건 뭘까? 영웅? 범죄자? 청소년 희롱? 애정행각? 이 소설엔 이에 해당하는 그 어떤 내용도 없다. 제롬은 한국인 아내가 자살한 이후 오랜 세월동안이나 자기 아이들을 끔찍히 아끼며 돌보아준 여자친구 리타에게 청혼조차도 못하고 주저하는 남자다. 위로는 아버지도, 아래로는 딸과 아들에게도 그저 어찌해야 할지 잘 모르는. 충동적으로 경비행기 타는 법을 배우고 경비행기 훈련을 받은 첫날 충동적으로 경비행기를 사버린, 그런 아무 것도 아닌 남자다.


그런 제롬이 이야기하는 '나이 먹음'에 대한 이야기는 참으로 절묘하게 사실적이다.


텍사스에서 오년을 살고 미국에 온지 육년째 되는 해 미시건으로 온 나는, 중학교때 절친 했던 친구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그애는 대학때 미국으로 와 시카고에서 변호사일을 하는 친구다. 같은 미국에 살아도 텍사스에서는 만나는 일을 꿈도 꿀 수 없었지만 미시건에 오니 시카고는 한나절이면 갈 수 있는 곳이었고 일년도 못된 사이 우린 벌써 세 번이나 만났다. 그애를 만나면 내 나이는 열 댓살의 소녀가 된다.


평소의 '꼼미의 꿈 나이' '서른 살' 보다도 한참 어린 나이가 되어 버리는 거다. 그래서 시카고 그애 집, 그애의 아이들과 내 아이들이 시끄럽게 쿵쾅거리는 소리 사이를 비집고 그애가 만들어내는 음식 냄새며, 그애의 엄마다운 목소리가 외려 더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거다.


오늘은 서재 이곳 저곳을 돌다, 시인 최승자의 신간을 평한 어느 서재지기의 글에서 이와 똑같은 내용을 발견했다. 최승자 시인도 제롬이나 나처럼 '승자의 꿈 나이'를 지니신거다.



작년 어느 날

길거리에 버려진 신문지에서

내 나이가 56세라는 것을 알고

나는 깜짝 놀랐다

나는 아파서

그냥 병()과 놀고 있었는데

사람들은 내 나이만 세고 있었나 보다

그동안은 나는 늘 사십대였다


참 우습다

내가 57세라니

나는 아직 아이처럼 팔랑거릴 수 있고

소녀처럼 포르르포르르 할 수 있는데

진짜 할머니 맹키로 흐르르흐르르 해야 한다니


- 최승자, '참 우습다' 전문




사실, 이런 '꿈나이'를 갖고 사는 건 제롬이나 최승자나 나뿐만 아닐테다. 장담컨데, 서른이 넘어선 모든 이들일 것이다.


덧말: 알라딘에서 찾아 보니 한국 번역서로는 <가족1, 2> 로 출판되어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4-27 0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꼼미 2010-07-23 00:20   좋아요 0 | URL
흠, 아래 댓글에서 바로 또 댓글 달기가 안되네요. 전 아직도 알라딘 서재에 익숙치 않은듯....^^ 비밀글 뭘 썼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어디다 달았는지조차. 별 얘기 아니었을 듯 해요...

2010-04-29 04: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7-21 1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어제 오랜만에 서재에 들어와 꽤 긴글을 썼는데 편집이 되지 않았다. 끙끙 거리다 포기하고 오늘 다시 시도해 보는데 역시나 왜 전엔 있었던 것 같은 편집기들이 보이지 않는지 모르겠다. (이곳에 한 줄 띄어 놓았음) 글을 쓸 때 문단을 나누어도 글을 올리면 문단 띄기가 되어 있지 않고 빽빽한 글로 올라가 버리는 거다. 글에 색채를 덧쓰우는 것도 하지 못했다. 갑자기 바보가 된 기분. (여기도 한 줄 띄었음) 여태껏 서재에서 남편 도움없이 혼자 글쓰기를 하고 있었는데, 왜 갑자기 이러는 걸까. 누구 물어볼 사람도 없고.... 써 놓은 글도 올리지 못하고 있으려니 답답허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꼼미 2010-04-16 0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유를 알고 해결 봤다. 문제는 구글 크롬 때문이었던 것. 파이어 폭스에서 글쓰기를 하니 멀쩡하게 되는 걸... 난 구글 크롬이 안맞나보다...
 

최근 이현우의 <로쟈의 저공비행>과 유시민의 <청춘의 독서>를 읽으면서 책읽기의 폭이 넓어져 혼자 환호하고 있다. 두 책이 밝혀주는 다양한 문학과 인문학의 지도들을 들고 우선 무신론과 관련된 나의 관심을 바탕으로 존재론과 진화이론을 읽어 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관심의 근저에는 무엇보다 미국에 와서 한국 사람들의 강한 종교적 경향에 이젠 정말 지겨워져서 많은 시간을 혼자 지내게 된 내 최근 일상이 있을 것이다. 기독교계 사립 초등학교를 다닐 때 받은 세뇌(?)로 잠시 신의 존재를 인정했던 때를 제외하곤 철나면서 내내 신은 없고 종교는 사람에게 필수 요소가 아니라 비타민이나 수면제 같은 일상의 보조제로 생각해 온 것 같다. 그렇다고 아직까지 한번도 다윈의 진화론을 열심히 읽거나 공부해 본 적도 없고 인기 폭발의 저자 리차드 도킨스의 책을 읽은 적도 없었으니 시간 여유가 있는 지금 이들을 통해 홀로 공부의 깊이와 재미를 느껴보면 어떨까 싶은 거다.

그래서 잡은 책이 리차드 도킨스다. 꼼지가 구입하여 읽은 저자의 저작 두 권, The God Delusion 과 The Blind Watchmaker 가 있기 하지만 리차드 도킨스의 적지 않은 목록을 거꾸로 따라가 보기로 했다.  그에 관한 독서 첫 책으로 The Greatest Show on Earth 를 Barnes & Noble 서점에 가서 덥석 구입하고 읽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도킨스의 책이 왜 대중적으로 인기가 있는지 대번 느낄 수 있을 만큼, 가늠할 수 없을만큼 방대한 그의 지식이 거대한 실타래에서 가는 실가락이 술술 풀려 나오듯 글의 흐름이 좋고 편안했다.

The Greatest 를 읽으면서 도서관에서 함께 읽어 보면 좋을 것 같아 A Devil's Chaplain 을 도서관에서 대출했다. The Greatest 는 그가 서문에 밝힌 대로 다윈의 진화론을 증거하는 실례들을 마치 사진을 펼쳐 놓고 구경하며 수다떨듯 이야기 하는 책이라면 A Devil's Chaplain 은 그의 사상과 견해들을 현실의 다양한 논의에 적용한 에세이들을 모아 놓은 책이다.

A Devil's 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띈 제목은 "A prayer for my daughter" 였다. 이미 청소년이 되었지만 그의 딸이 열 살일 때 우연한 기회로 겸사 겸사 쓰게 된 이 편지형식의 글은 열 살 열 두 살인 번개와 호빵에게도 나중에 읽어 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갖게 했다.

이 편지의 내용이 어떠할 거라는 건 다음의 이야기를 보면 분명히 알 수 있다.

I had always been scrupulously careful to avoid the smallest suggestion of infant indoctrination, which I think is ultimately responsible for much of the evil in the world. Others, less close to her, showed no such scruples, which upset me, as I very much wanted her, as I want all children, to make up her own mind freely when she became old enough to do so. I would encourage her to think, without telling her what to think.

아무 것도 모르는 백지 같은 아이들에게 자신의 증명되지 않은 '믿음'을 전하면서 그들에게 얼마나 잘못된 시각과 편견과 믿음을 줄 수 있는가. 사회 전체가 그걸 방임하는 동안 아이들은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사실이 아닌지를 가리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제대로 키울 수는 없을테다. 그런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지 않고 어떻게 사람 종이 미래에 더 나은 진화를 맞이 할 수 있을까 하는 게 저자의 딸을 보며 느낀 안타까움이 아니었을까.

그의 딸에게 들려 주는 이야기는 그가 The Greatest 의 첫부분에서 강조하는 '사실'과 '믿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이다. 그가 설명하는 사실과 믿음의 차이에 대해 간단히 말하자면, 그건 증명된 모든 사실은 믿을 수 있되, 모든 믿음이 증명할 수 있는 사실이 되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과학은 우리가 믿고 진리로 여길 수 있는 '사실'이지만 종교나 전통 등은 사실 또는 진리가 될 수 없는 단순한 '믿음'이라는 말이다.

종교나 전통에 대한 그의 시각은 '만들어진 전통' 이나 에드워드 새드가 지적하는 문화라는 이름 아래 권위적 조직들이 전파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경고와도 통한다.

People believe things simply because people have believed the same thing over centuries. That's tradition.  ... If you make up a story that isn't true, handing it down over any number of centuries doesn't make it any truer! (p.243)

전통은 정당한 논리와 증거를 포함한 사실, 진리, 또는 진실이 아니다. 그저 누구라도 이야기를 만들어 몇 세대를 거쳐 전하게 되면 그게 마치 사실인양 많은 사람들이 믿고 따르며 때론 거역할 수 없는 전통이 된다고 리차드 도킨스는 말한다. 위의 인용구에서 보듯, 그건 처음부터 사실이나 진리가 아니었고 영원히 참이 될 수는 없는 만들어낸 이야기일 뿐이라고 강조하면서.

종종 사람들이 계시나 직감으로 자신의 믿음이 사실임을 주장하는 것도 되짚는다.

People sometimes say that you must believe in feelings deep inside, otherwise you'd never be confident of things like 'My wife loves me'. But this is a bad argument. There can be plenty of evidence that somebody loves you. All through the day when you are with somebody who loves you, you see and hear lots of little titbits of evidence, and they all add up. It isn't a purely inside feeling, like the feeling that priests call revelation. (p.246)

그가 전통이나 신념이나 직감 같은 것들을 무시하는 게 아니다. 동물들이 생존의 본능(관습 또는 관행)을 따라 살듯이 사람도 그렇다. 사람도 동물이니까. 전통은 사람이 살아가는 (생존해 가는) 모습 그 자체이기도 한거다. 하지만...

I want to try to explain why tradition is so important to us. All animals are built (by the process called evolution) to survive in the normal place in which their kind live. Lions are built to be good at surviving on the plains of Africa. Crayfish are built to be good at surviving in fresh water, while lobsters are built to be good at surviving in the salt sea. People are animals too, and we are built to be good at surviving in a world full of ... other people. .... We 'swim' through a 'sea of people.' Just as a fish needs gills to survive in water,r people need brains that make them able to deal with other people. Just as the sea is full of salt water, the sea of people is full of difficult things to learn. (p.246)

위에서 인용한 문단을 소리내서 읽어 보면 도킨스의 설명은 시적이고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딸에게 하는 말이라 더욱 그런가 싶게....  "사람은 사람의 바다 속에서 헤엄치는 동물이란다" 라는 그의 말에서는 거칠고 너른 사람의 바다 속에서 우리의 종(사람)이 잘 살아 남으려면 서로 더욱 협력하고 윤리적이 되어야 한다는 깊은 울림이 퍼져 나온다.

우리는 이 '사람의 바다에서 잘 헤엄치기' 위하여 각 언어를 배우고 문화를 배운다고 그는 말한다. 각각의 언어나 문화가 진리여서 믿고 따르고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건 단지 '전통'으로서 잘 생존하기 위한 수단이나 도구 같은 거라고.

... they (children) are likely to believe anything the grown-ups tell them is true and based on evidence, or at least sensible. But if some of it is false, silly or even wicked, there is nothing to stop the children believing that too. .... Well, of course, they tell it to the next generation of children. So, once something gets itself strongly believed  - even if it is completely untrue and there never was any reason to believe it in the first place - it can go on forever.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종교적 믿음을 갖고 그 차이 때문에 수없는 생명을 죽이며 싸운다. 하지만 그들이 가진 믿음의 실체라는 것은 그저 그들이 어릴때부터 듣고 또 들어온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며 그에 대한 믿도 끝도 없는 신뢰가 때론 우리의 종을 위기에 빠지게 한다는 점을 저자는 강조하고 또 강조한다.

... it can't be true that different religions are right in their own countries, because different religions claim that opposite things are true.

그러니까 그에게 fact, evidence, science 같은 것들은 사람이란 종의 바람직한 진화를 위해 사람 사회에서 belief, tradition, authority, revelation 보다 위에 놓여야 하는 하는 단어들인 것이다.

이 글의 마지막 문단은 다음과 같다.

And next time somebody tells you that something is true, why not say to them: 'What kind of evidence is there for that?' And if they can't give you a good answer, I hope you'll think very carefully before you believe a word they say.

Your loving
Daddy

번개와 호빵과 이 글을 함께 다시 읽어 보려고 한다. 나 역시 리차드 도킨스와 똑같은 마음이기 때문이다.

I want all children, to make up her own mind freely when she became old enough to do so. I would encourage her to think, without telling her what to think.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팜므느와르 2010-03-31 0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꼼미님, 아침에 자료 찾으러 알라딘 들렀다가 안부 물어요. 님 리뷰는 잘 못 읽은 상태에서 님 소식 궁금해서 들러 봤어요. 많이 바쁘신가 봐요.

꼼미 2010-04-02 01:25   좋아요 0 | URL
바쁜 건 아닌데, 난 왜 그냥 살지 못하고 블로그질(?)인가 하는 생각이 또 엄습해서 좀 멀리하고 있었죠.^^ 아이폰으로 들어온 팜므님 댓글 보았을 때 너무나 반갑고 좋았어요. 가슴이 울컥할 만큼...
 

수요일이라 도서관에 갈까 했는데 갈 수가 없었다. 우선 아이들 학교가 오늘 늦게 시작하는 날이라 아침 열시가 훌쩍 넘어서야 호빵과 번개가 각각 학교에 갔고, 기름 떨어진 내 차에 직장 근처 싼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어 오도록 꼼지에게 부탁해서 몰고 나갈 차도 없기 때문이다. 걸어 가기엔 불가능한 거리이고 다른 교통편은 없는 이 지역 (미국 대부분이 그렇지만...).

이런 건 떠올릴 때마다 그렇지만 기막히게 비인간적이다. 크다고 부러워 하지만 너무 큰나라. 1인당 운신할 땅이 넓다고 부러워 하지만 너무 넓고 뜨문 뜨문 살아 대중교통편이 제대로 갖춰질 수 없는 나라. 그것 보다는 더 많은 자동차를 팔기 위해 있던 전차도 다 사들여 폐기시킨 포드처럼 개인 (또는 소수) 의 이익을 위해 다수의 복지는 쉽게 버리는 나라.

어쨌든 도서관 가는 건 포기하고 집에서 독서와 일을 해보기로 한다. 번역일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머리에선 난리인데 마음은 최근 잡은 에드워드 새드 (Edward W. Said) 에 붙들려 있다. 그의 목소리가 가득 담긴 <Power, Politics, And Culture> 을 조금이라도 더 읽자고 한다.

.........


서문은 예전에 읽어 두었지만 다시 책을 잡은 후 아직도 Beginnings 에 머물러 있다. 사실 가우리 비스바나탄 (Gauri Viswanathan) 의 첫 질문에 대한 새드의 대답은 장장 열 세쪽에 다다른다.  반쪽 정도 되는 질문에 열 세쪽 달하는 대답이라. 그 대답이 또한 사변적인 얘기를 나열하는 게 아니라, 헤롤드 블룸 (Harold Bloom) 시학(시비평)의 철학적 근거와 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예일파 (Yale school) 비평가들, 아방가르드,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등등 여러 학파와 학자들 (하이데거, 데리다 등등) 을 나열하며 광범위한 이야기를 풀어 놓는 거다. 데리다야 로쟈의 책을 통해 이제 겨우 그 발가락 하나 만지는 정도이고 도대체 새드가 맞섰던 세계 문학비평계에 대해 대책없을 만큼 이해가 부족한 나로서는 만만치 않은 읽기였다.

질문의 핵심은 헤롤드 블룸의 비평에 대해 새드가 상당한 공감을 표시했던 일에 대해서다. 이 첫 질문과 대답을 통해 보자면 헤롤드 블룸이라는 학계나 독자들로부터 극단적 찬반을 불러 일으키는 문학비평가다. 질문자로선 제국주의 오만함과 왜곡을 엄청난 양의 문헌을 통해 밝히고 문학비평가로서 세계 정치사 최선방에서 (특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목소리를 높이며 적극적인 행동도 주저하지 않았던 새드가 정치, 사회, 역사적 맥락은 배제한 채 시와 시인들의 미학에 집중해 온 블룸의 시비평에 후한 점수를 준다는 것에 잘 수긍이 가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에 대한 새드의 대답은 문학비평계의 여러 갈래에 대한 설명과 비판으로 시작해 중간쯤 (그러니까 몇쪽을 훌쩍 넘긴 후) 블룸에 대한 본격적인 이야기를 한다. 블룸에 대한 긍정적 공감은 이런 것이었다.


"For me Bloom's criticism, when I first encountered it in its mature theoretical form as a critic was and still is extraordinarily invigorating.
My whole interest in beginnings and origins suddenly acquired
a new dimension for me, and many confirmations.
I found Blooom's reworking of the old influence topos powerful and elegant in the way
that Berg's Violin Concerto reworks that Bach chorale
and makes it disturbingly elegant and powerful.
Most of all, however, I was impressed with the way Bloom showed
that creation was a form of dealing with the past, redoing it in an original or beginning way,
so to speak, and since I was a devoted student of Vico the discovery of themes
like knowing is making, and the heroism of early poets,
in Bloom was quite an experience." (p.10)



난 여기서 새드가 블룸의 시비평 작업을 베르그의 작업을 예로 드는 게 무엇보다 인상 깊었다. 그가 블룸을 읽으면서 어떤 느낌이었는지 갑자기 확 알아버릴 것 같은 느낌이었달까. 베르그가 바하 코랄을 너무도 우아하면서도 강렬하게 재탄생 시켰던 것 같았다는 그의 말을 통해서 말이다. 새드는 블룸이 '창조란 과거를 다루는 하나의 형식'이라는 걸 상기시켜 주었다고 한다. 창조란 '원전과 출발지에 기반하여 뭔가를 다시 하는 것.' 그리고 블룸을 통한 새드의 이런 깨달음은 당시 '아는 것이 바로 만드는 것 (아는만큼 만들 수 있다는 말도 될 수 있지 않을까)'과 초기 시들에 대한 영웅주의에 대해 생각하고 있던 자신에게 상쾌하고 의욕적인 (vigorating) 경험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새드가 블룸에 대해 전적으로 신뢰하고 찬성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는 우리가 기대하는 '새드의 비판'을 져버리지 않는다.



"All he[Bloom] says is that poets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poetry,
which is their element and their life as poets." (p.10)

"Bloom nowhere takes account of the debt poetry owes to culture or history." (p.11)

"In short, Bloom's theory of poetic transmission conceals, I think,
a radically mythologized conception of the individual determinants of culture, and a total disregard for culture's anonymous and institutional supports,

which simply go on and on beyond individual efforts or life spans.
Insted of seeing culture as finally a more regular, and regularizing business than not,
Bloom holds to a notion that delegates tradition (and culture, by implication) to individual figures; I am saying that poetry makes poets,
whereas Bloom believes that poets make poetry." (p.12)



새드의 주장을 간단히 말하자면, 블룸은 시란 오로지 시인과 시인들의 관계를 통해 창조되는 것이라고 말했고 새드는 역시나 시인들 그 자체보다는 시인들을 둘러싼 (또는 그들이 몸담고 있는, 그러니까 그들의 물리적 세계라고 말할 수 있겠다) 정치적, 사회적, 역사적 통합채인 '문화'가 시 창조 (또는 문학의 창조, 또는 문헌적 창조) 근본적인 바탕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런 생각이 위의 마지막 문장을 낳는 거다.


"I am saying that poetry makes poets, whereas Bloom believes that poets make poetry."
저는 '시(그 자체로 문화이기도 한)'가 시인들을 만드는 거라고 말하는 겁니다.
블룸은 시인들이 시를 만드는 거라고 믿는 거구요.



시란 (또는 문학, 또는 그 어떤 문헌) 독자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말이다. 시인이 시를 쓰면 그 시는 시 자체의 생명력을 가지고 세대와 세대를 이어간다. 그때 시는 한 개인으로서 시인의 시 하나가 아니다. 시는 그 자체로 수많은 문화적 함축을 담은 생명체인 거다.

이 첫 질문에 대한 답 끝에 새드는 왜 자신이 정치, 사회, 역사, 그리고 문화의 문제에 집착하는 가에 대해 들려 준다.


"I will confess to no utopian notions about the end of the struggles I've just talked about, but I guess that what moves me mostly is anger at injustice, an intolerance of oppression, and some fairly unoriginal ideas about freedom and knowledge." (p.16)



위의 말은, 그의 집착과 연구의 이상향 (또는 종착점) 은 없고 영원히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들린다. 그리고 자신이 그걸 계속할 수 있는 힘과 이유는 불의에 대한 분노이며 억압에 대한 참을 수 없음이며 자유와 지식에 대한 근거도 없고 말도 안되는 생각들이라는 거다.

문화의 포괄성과 중대성에 대해 천착할 뿐 아니라 위와 같은 것들 (분노, 참을 수 없음) 이 자기 사상의 밑천이라고 뜨거운 가슴으로 말하는 그를 어찌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게 혼자서라도 이 책을 끝가지 읽어보리라 매일 다짐하는 이유라면 이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크아이즈 2010-02-04 0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꼼미님 정리를 보면서, 시의 정체성에 관한 한 블룸의 생각이 더 온전한 것 같고, 시의 존재 이유는 새드의 생각이 맞아야(?)한다고 생각해봅니다. '시가 시인들을 만들어야 진실이겠지만 시인들이 시를 만드는 것이 실체'에 가까우니까요. 개별자 시인들은 자신을 중얼거리는데 새드 같은 이는 통합체에 대한 믿음을 저버리지 않는다고나 할까요?
그나저나 시 비평 공부를 하면서, 번역일을 하시는 것 같아요. 애들 돌보면서 쉬운 일은 아닐텐데, 파이팅을 기원해봅니다.

꼼미 2010-02-04 23:15   좋아요 0 | URL
어쩌죠, 제 정체성이 영 모호해서... 사실 저는 음악이 전공이예요.^^ 시에 대한 관심은 좀 오래 됐지만 번역은 사람을 사귀는 대신 선택한 일이고요. 늘 시와 언어는 음악과 같다고 생각해온 터라 저에게 시의 정체성을 찾는 일은 음악의 정체성을 찾는 일과 같네요. 음악가가 음악을 만들기도 하지만 음악이 음악가를 만드는 것과도 같은. 파이팅 감사해요! 팜므님도 파이팅!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