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설주의보
윤대녕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대녕은 윤대녕에서 한발자국도 넘어서지 않는다.  내게 처음 느낌 그대로인 지점에서 진척이 안 되는 작가는 윤대녕이 처음이 아닐까 싶다. 감상의 걸음이 퇴보하거나 전진하거나 둘 중 하나여야 하지 않나? 실망하거나 혹하거나가 없는 이 느낌을 뭐라고 표현해야 하나?  

  딱히 누가 묻는다면? 나는 그(의 작품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답해야 할 것 같다.   

  그의 레퍼토리 (순전히 내 느낌임) 

  1. 작가이거나 프리랜서이거나 (고급)백수인 남자는 여행을 떠난다. 

  2. 그곳에서 여자를 만난다. 미리 약속되었거나 우연이거나. 이번에는 약속된 만남이 많네. 

  3. 남자는 하나 같이 60년대 대화체를 애용한다. 설사 남자가 1990년대 말에, 스물 아홉이고, 만나는 여자가 스물 일곱일지라도  여자에게 ~하오, 체를 쓴다.   

  4. 남자와 나이 차이 별로 없는 여자 주인공은 항상 남자에게 경어를 쓴다. 그것도 모자라 항상 남자보다 적극적이다.  남자가 주도권을 잡을 기회를 주지 않는다. 알아서 약속 장소를 정하고, 알아서 방(호텔)을 구하고, 알아서 음식까지 척척 마련한다. 이런 우라질~ 대개 유부남, 유부녀 이거나 유부남에 미혼인 경우가 많은데, 저렇게 적극적일 때까지 남자는 그저 묵묵히 여자를 따를 뿐이다.  

  하오체를 쓰는 나이 차 나지 않는 남자에게 경어를 꼬박꼬박 써가며, 주체적으로 남자를 리드한다. 그런데도 어쩐지 별로 주체적인 것 같지 않아 기분 꿀꿀하다. 남자는 잘 나서, 혹은 소심해서, 아님 귀찮아서 그런 여자를 잘 따라 주는 걸까.  

  꿈에라도 윤대녕이 그리는 남자상은 만나고 싶지 않다. 현실에서 윤대녕이 그리는 여자가 있을까봐 짜증난다. 가만 무료한 일상을 보내는데, 옛 여자가 전화해서 만나자니 한 번 만나 봐야지, 하는 남자 보다는, 옛 여자가 만나고 싶으면 쿨하게 전화하는 남자가 낫다. 물론, 안 하는 남자가 더 낫다!  

  참 쉽게 쓴다. 매우 빨리 읽힌다. 소설은 원래 이렇게 쉽게 써서, 대중에게 먹혀야 한다. 자고로 내가 생각하는 소설의 기능은 재미와 예술성이다. 재미도 있고, 예술성도 있으니 소설의 기능면에서는 만점이지만, 텍스트를 이루는 캐릭터들이 나는야 억지스럽게 보이누나. 내가 선호하는 캐릭터들이 아니라서 그런 걸 작가에게 원망해봤자 뭐 하랴. 보리의 수경도 내겐  와닿지 않는다. 왜 첫번째로 실었을까?  보리, 한 작품만 보고도 실망할 독자들이 있을 것 같다.  

  작가는 여자를 소설 속에 가두어 두려는 걸까?  작가는 여자를 여자만큼 잘 안다고 생각하고 쓴 것이겠지.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10-04-24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그래서 윤대녕 소설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뭐랄까, 토요일 오후에 아무 할 일이 없어서 심심한 사람, 그런 사람 같아요. 그 사람 소설은...
치열하지도 않고, 치열한 세상에서 동떨어져 있어 보이고... 그치만 끝없이 심심한... 욕망도 열정도 없는... 심심한 토요일... 그닥 피곤하지도 않은... 조금 피로한 중년의 남자의 심심한 토요일 오후...
술 한 잔 하기도 어색하고, 그렇다고 운동도 별로인... 프로야구도 즐기지 않는 심심한 남자의... ㅋㅋ

다크아이즈 2010-04-25 13:37   좋아요 0 | URL
아, 소심하게 감상문 올렸는데(윤대녕을 좋아하는 사람이 너무 많은 것 같아서) 글샘 같은 동지를 얻다니. 세상은 다양하고, 생각은 다 다르니 넘 소심해지지 않을랍니다. 맞아요. 싱겁거나 심심하거나 그의 작품이 왜 그런가 싶었더니 치열하지 않아서 라는 말이 정답이네요.

알로하 2010-05-07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 윤대녕씨 소설을 많이 읽은 건 아니지만 '제비를 기르다' 는 참 좋았습니다. 작가가 그리는 여성의 캐릭터는 감정을 주고받는 상대라기보다는 주인공 남자를 자극하는 추억이나 그리움? 같은것에 지나지 않는 것 같아요. 그래서 작가가 여자를 모른다, 라는 팜므님의 말씀이 마음에 와닿네요. 소설의 정조는 좋은데 여자든 남자든 너무 수동적이라는 거죠. 행동이 문제가 아니라 사고방식 자체가..

ugha 2010-12-17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콕 찍어서 쓰셨어요. 읽으면서 마죠마죠 하면서 손뼉을 쳤답니다.

다크아이즈 2010-12-18 12:09   좋아요 0 | URL
그런가요? 감사합니다. 요즘 <천지간> 다시 빼들고 있는데, 잘 쓴 느낌보다 윤대녕 차례가 되었으니 이상 문학상을 준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