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의 공중부양
이외수 지음 / 동방미디어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고를 때 그런 경우가 있다. 돈 주고 사서 책꽂이에 꽂아두고 보기는 아깝지만 호기심 때문에 읽지 않을 수는 없는 책. 이외수 선생에게는 무례한 짓거리가 되겠지만 이 책이 내겐 그런 종류였다. 참고로 나는 이외수 선생의 소설을 무척 좋아하고 그의 모든 책을 신뢰한다. 마니아 정도는 아니지만 아주 젊은 시절 소설 읽기를 시작할 때 감성적인 부분의 대가 두 사람을 꼽으라면 한수산과 이외수를 치곤 했다. 한수산의 감성은 한없이 여리고 아름다웠고, 이외수의 감성은 연민이 묻어나면서도 풍자를 잊지 않았다. 물론, 한수산을 잊을 때쯤에도 이외수는 내게 살아 남았다. 온전히 그의 감성적 문체 때문이었다.
그의 감성은 문장마다 살아 있되, 싸구려가 아니었고, 그의 문체는 물방울처럼 튀어오르되, 흙탕물인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군대 간(6개월 군인도 군인이다!) 오라버니가 말년에 무료함을 달래며 사서 읽다가 남겨온 책이 '꿈꾸는 식물'이었다. 세상에나, 이렇게 고급한 감성적 문체로 소설을 쓰는 작가가 있구나, 싶어 화들짝 놀란 기억이 난다. (정말이지 싸구려 감성도 역겨운데 거기다가 비문으로 점철된 문장을 쓰는 작가들이 하 얼마던고.)
서론이 길었다. 어쨌든 그가 개설한 공중부양 강좌의 청강생이 될 기회가 주어졌다. 누군가 가지고 있던 책을 빌릴 수 있었는데 내 판단이 맞다 싶었다. 독자로서 모든 챕터가 살이 되고 피가 되는 것은 사실이겠지만 내게는 3부 창작의 장이 현실감 있게 와 닿았다. 그 중에서도 자신의 작품을 예로 들어가며 살아있는 인물을 소설로 만드는 과정은 많은 도움이 되었다. 훈장, 개미귀신, 고수 등 오래된 그의 작품을 단편적으로나마 다시 접하니 숨죽어가던 감성이 새벽안개처럼 피어오르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 작가가 가르쳐준대로 실천만 한다면 끝내 미유기를 소금구이하는 여자(책을 읽어보면 무슨 말인지 알게 된다. 책도 사지 않은 주제에 스포일러가 될 수는 없지 않은가.)가 등장하는 소설 한 편은 쓰게 되지 않을까. 굳이 싱거운 스포일러가 되자면, 글쓰기의 공중부양은 부단한 노력 끝에 나온다고 작가는 거듭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