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폴 오스터를 만나러 가는 길은 망설임의 연속이었다.   팬 혹은 매니아층을  다수 확보한 작가일수록 그간 나는 적응하기 힘들었다.  입소문이 무성하던 무라카미 하루키에 입문할 때처럼 폴 오스터도 뭔가 찜찜함을 가져다주는 작가이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이 앞섰다. 

  어쨌거나 <빵 굽는 타자기>를 비롯해 <신탁의 밤>을 거쳐 <달의 궁전>까지 세 권을 주문했다.  엄격하게 말하면 달의 궁전과 신탁의 밤은 공공을 위한 책이고, 빵 굽는 타자기는 나만을 위한 책이다.  한 모임에서 전자 두 권을 원했기 때문에 공금으로 샀는데 산 김에 먼저 읽어 버렸다. 후자는 내가 원하던 나만의 책이기에 느긋하게 읽어도 좋다.  두 권을 읽은 결론? 찜찜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나 당신 팬이 되었소' 할 정도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폴 오스터는  내게 강렬한 파장을 남긴다.  천상 이야기꾼에다 타고난 글쟁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했으므로.

  우연의 남발과 꿰맞춘듯한 구성은 황당무계함 속에서도 나름의 질서를 갖춘 헐리웃 액션 영화를 떠올리게 한다.  고개를 갸우뚱하면서도 몰입하게 되는 이유는 기본기를 갖춘 문장력과 묘사력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그는 타고난 글쟁이로서의 길을 선택했지, 고매한 예술가를 원한 것 같지는 않다.  예술가로서가 아니라 소설가로서 그가 이해된다는 뜻이다.

  오호통재라!  세상에 이 소설을 삼부작으로 봤을 때, 차라리 나머지 두 뒷 부분은 없었더라면 하는 안타까움이 일었다. 주인공 포그와 빅터 삼촌과 짐머 그리고 더러 등장하는 키티까지만 있는 이야기가 더 소설답다. 나머지는 내 식으로 봤을 때 사족이다.  작위로 범벅이 된 토마스 에핑과 솔로몬 바버를 위한 액자는 영화 시나리오를 의식한 것 같은 억지처럼 눈길이 덜 간다.

  폭우 속에 내동댕이 친 빅터 삼촌의 클라리넷,  그 삼촌이 남긴 유품인 천 권의 책더미로 만든 침대 받침, 그것을 빼내어 생계 수단을 삼는 포그,  살아 있는 헌 책방 영감에 관한 묘사... 포그편(내 임의로 포그, 에핑, 바버  삼부로 나누었을 때) 만으로도 이토록 날 것이 가득한데 더 이상 무엇을 욕심낸단 말인가.  에핑과 바버에 관한 부분에선 과도한 허세가 우연의 장광설이란 다리를 넘은 것 같아 아쉽다. 

  그럼에도 그가 훌륭한 작가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은 다음과 같은 통찰이 빛나는 감식안 때문이다. 섬뜩할 정도로!  작가를 꿈꾸는 이들이여, '묘사의 섬세함'과 '문장의 조화'를 공부하고 싶은가? 폴 오스터를 읽어라.

  그런데 이제는 내가 곤경에 빠진 만큼, 짐머는 어쩌면 그것을 자기가 우위를 점하기 위한 기회, 즉 우리의 우정에서 내면적 균형을 이루기 위한 기회를 보았을 것이다. 그의 목소리에는 이제 어느 정도 우월감이 배어 있었다. 또 그가 나를 조롱하는 데서 즐거움을 끌어낸다는 것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었다. (129쪽 ~ 130쪽)    -   포그에 대한 짐머의 호의 장면.  순수한 우정 속에 숨어 있을 인간 내면의 심통을 이처럼 통찰할 수 있는 작가를 만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외에도 밑줄 그을 명장면은 수도 없이 많다.  애석하게도 지금 내 손엔 책이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ne 2007-01-23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장력, 참 좋죠? 타고난 이야기꾼이예요 전 이 사람 보면서 자꾸 이문열이 생각났답니다 건 그렇고... 전 에핑이 사막의 동굴에서 책 읽고 그림 그리면서 사는 삶이 그렇게 인상적일 수가 없었어요 바버도 그렇고 포그도 그렇지만 이 삼대의 인물들은 모두 책을 도피처로 삼고 나중에는 그 안에서 자기만의 세계를 완성하잖아요 "환상의 책" 보셨어요? 거기서도 헐리우드 배우였다가 부둣가 노동자로 전락한 헥터만이 뉴욕 공공 도서관에서 인생의 의미를 찾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런 점을 생생하게 묘사한다는 점에서 제가 폴 오스터를 좋아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