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유령작가입니다
김연수 지음 / 창비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내게도 출근 시간이 있다. 월급을 받는 직장이 있는 것도,  그렇다고 내세울만한 직업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나는 스스로가 정한 출근 시간을 지키려고 애쓴다. 남편과 아이들이 각각 직장과 학교로 떠난 집안을 후다닥 정리하면 아홉시. 보무도 당당히 컴퓨터가 있는 나만의 방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우리집 방 중 가장 큰 면적을 자랑한다.) 말하자면 나만의 출근인 셈이다.

  근무처(?)에서 내가 해야할 가장 중요한 업무는 당연 글쓰기이다. 대가들(박완서나 김원일이나 오르한 파묵 등)처럼 하루에 원고지 열 장 내지 스무 장씩 정해놓고 써야지, 하고 다짐을 한 적도 있다. 그렇게 하다보면 직장인의 업무처럼 글쓰기도 자연스레 내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되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누가 강요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원해서 하는 일이라 의지대로 될 줄 알았다.

  하지만 모니터 앞에만 앉으면 미숙한 업무처리로 질책을 앞둔 직장인처럼 안절부절못한다.  속이 울렁거리고 머리가 지끈거린다. 대가들을 벤치마킹하겠다던 불타던 의지는 온데간데 없다. 고백컨대, 정해진 원고 매수를 채우겠다는 그 약속은 지키는 날보다 지키지 못하는 날이 더 많다. 책상에 앉으면 곧바로 글쓰기 작업 파일을 클릭해야 하는 것이 순서일텐데 박약한 의지력은 언제나 인터넷에 먼저 접속하고야 한다. 이런저런 세상사, 간접 경험이라도 해야 쓸거리가 주어진다는 변명을 준비한 채...  움직이는 걸 지독히도 싫어하는 나에게 '간접경험'이라는 핑계는 더할나위 없는 방어벽이 되어준다.

  그러니 자연스레 의문 하나가 생긴다. 체험과 쓰는 것 사이에는 도대체 어떤 함수관계가 있나?  가만 생각하면 요즘 작가들은 90년대 이전의 작가들에 비해 체험의 리얼리티가  - 비록 시대적, 상황적 요청이 전제되긴 했지만 -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바꾸어 말하면 체험의 현장성이 문학적 소재의 우위를 점하던 시대가 끝났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 세기가 바뀐 만큼 다양한 문학적 시선들이 창작의 여러 경계를 무너뜨리기에 이르렀다.

  일례로 독자들에게 여전히 어필되는 작가 중의 한 사람인 김연수에 대해서 들어보자.  <나는 유령입니다>라는 작품집에서 일관되게 작가가 주장하는 것은 '체험의 직접성'이 아니라 '자료의 재구성력' 내지는 '자료의 작가적 해석'이다.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실크로드든 히말라야든 꼭 그 현장성을 획득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각종 텍스트나 미디어 등 일련의 정보가 제공해주는 간접 자료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을 그는 작품집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중요한 것은 체험이 아니라 글쓰기 자체의 순도純度이다.

  이러한 주장을 증거라도 하듯 한 문학지와의 인터뷰에서 작가는 스스로 '대필작가'라고 선언하기에 이른다. 작가가 하고 싶은 모든 말은 이미 과거에 있었거나 현재에 있는 것들이다. 작가란 주어진 자료를 자기 식으로 재구성하는 순수한 욕망의 대필자일 뿐이다. 결국 체험의 직접성이 문제가 아니라 자료의 해석을 밑바탕한 나름의 세계관이야말로 한 작가의 존재감을 말해준다. 작가의 직접 체험이 문학적 도구로 활용된다해도 그 자체가 소설이나 문학이 될 수는 없다. 거짓의 옷을 입은 진실, 즉 픽션이라는 가공을 거치지 않고서야 차라리 르포나, 수기를 쓰는 것이 낫지 않을까.

  굳이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우리가 바라보는 대상의 진본은 언제나 동굴 밖에 있고, 우리는 그 안에서 그림자를 보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하루에도 몇 번씩 깨닫는다. 따라서 진본을 찾는 끝없는 여정이 글쓰기의 숙명이라면 그것이 직접 체험이든, 간접 체험이든 그리 중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특히,  소설 쓰기의 돌이킬 수 없는  매력 중 하나는 허구의 합법적 담보에 있다. 소설 쓰기의 고통은 체험의 현장성 유무가 아니라 자신의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해 어떤 방식을 택할 것인가의 고민에 지나지 않는다. 숱하게 제공되는 날것의 자료들로 진실한 거짓을 재구성하는 것. 그것이 살아있는 창작의 과정이라고 김연수는(아니, 내가!)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경험의 깊이와 폭이 다양할수록 좋은 글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이제 그것이 직접 체험인지 간접 체험인지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문제는 게으름 때문에 그 중 어느 것도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하는 부끄러움이 있을 뿐.

  글이 써지지 않아 원고지를 붙잡고 울 수밖에 없는 것은 체험의 종류나 순도 때문이 아니라, 게으름 탓이라는 게 자명해지는 아침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6-12-17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저자 서명본 책 읽다가 문장이 지겨워서 중단했거든요.
예전에는 이 작가의 옛 글 산책 같은 걸 참 좋아했는데..
이 책은 진도 안나가 죽을뻔했어요. 결국 지금도 손이 선뜻 안가는 책인데
대단하세요!

다크아이즈 2006-12-17 2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뿌넝숴, 다시 한달을 가고~ 등은 문학적 성과와 상관없이 지겹긴해요. 잘 써야겠다는 강박 때문인지, 부러 순우리말의 향연을 펼친 노고가 그 지겨움에 일조한듯도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