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 창비시선 253
문성해 지음 / 창비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은 충격이다.

  문성해의 시집을 산 지는 한 달이 넘었고, 시간이 날 때마다 조금씩 들춰보았다. 간만에 알라딘에 들어와 독후감을 쓰려고 보니 그 어떤 리뷰도 없다. 조금 충격 받았다. 유명 시인은 아니지만 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문성해 시인 정도는 알고 있지 않을까, 그것도 아니라면 매니아 한 두명 정도는 리뷰를 남기지 않았을까, 내심 기대를 했던 것이다. 한데 아무도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시집이 나온지 일 년이 훨씬 넘었는데...

  시인이 대중적 인기가 없어서 그런가 싶어 그나마 대중적, 문학적 성과를 거뒀다고 회자되는 문태준 시인의 <맨발>을 클릭해보았다. 웬 걸? 그곳 사정도 여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겨우 세 편 정도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내가 알기로는 대한민국에 시를 사랑하는 인구가 소설이나, 여타 장르를 사랑하는 인구보다 훨씬 많은 걸로 안다. 한데 독후감 실적은 여타 장르에 비해 영 아니올시다, 이다. 알라디너들만 시에 대한 독후감을 쓰지 않을까, 아니면 시를 공부하거나 좋아하는 사람들은 독후감 따위에는 관심이 덜하다는 것일까. 괜한 호기심 하나 추가이다.

  각설하고, 문성해의 시를 좋아하게 된 것은 '공터에서 찾다'라는 시 때문이다. 언젠가 지방지 신춘문예 당선시에서 그 시를 발견하고  나는 전율에 휩싸였다. 시가 뭔지 잘 모르던 시절, 시를 이렇게 쓰는구나, 라고  한 방 먹이게 한 작품이 바로 '공터에서 찾다'라는 시였다. 혹 내가 시에 대한 편견을 갖고 이런 시를 좋아하나 싶어 심사위원을 살펴보니 이성복 시인이었다. 꼭 대가가 선택했기 때문에 믿음이 가는 것은 아니었지만, 문단에서 내로라 하는 시인이 뽑은 시를 내가 좋아하게 됐다는 것에 뿌듯함을 느끼기까지 하였다.  그 뒤 어느 문예지에서 발견한 '봄밤'이란 시도 나를 매료시켰다. 그 때 결심했다. 이 시인의 첫 시집을 꼭 사야겠다고. 시인은 내 결심에 화답이라도 하듯 몇 년 뒤 중앙지 신춘문예에 재당선 되었고(그 때 제목은 '귀로 듣는 눈'인가 그랬는데 그 시는 개인적으로 별로 와닿지 않았다. 독자로서의 내 마음을 아는지  이번 시집에 그 시가 수록되지 않은 것 같다.)

  어쨌든 늦은 감은 있지만 그녀의 시집이 내 손아귀에 들어온 것 자체가 행복하다. 돈 안 되는 시를 쓰는 시인들에게 가장 힘이 되는 것은 그들의 시집을 사주는 실존적 행위 자체일 것이다.  이렇게 당신의 시를 사서 읽고 있는 독자들이 있으니 힘내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두 번째, 세 번째 시인의 시집이 나오면 기꺼이 사서 읽을 용의가 있다고 고백까지 해보는 것이다.  일반 독자인 나 같은 사람말고 진짜 시를 좋아하거나, 시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시에 대한 독후감도 많이 올리기를 바라며.

  이제 고기가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 의심은 더욱 식욕을 부풀리고 나는 // 이것을 기꺼이 먹기로 작정한다 //  완강하던 페트병에 드디어 금이 가고 //  텅 빈 속살 들여다본 순간, 나는 // 속았음을 직감한다

  어둠 속을 휘적휘적 걸어갈 때 // 앗! 저기 또 푸른 슬리퍼 한 짝이...... //  내 야성의 턱뼈를 긴장시키고 있었다     

                                  문성해 - 공터에서 찾다, 부분 발췌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6-11-29 2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성해 시인은 처음 만나요. 허긴 처음 아는 작가가 어디 한 두명이래야 말이죠.
저도 예전에 시집 리뷰 한 세편 썼던가 그래요.
뭐, 다 제가 좋아하는 시인의 책만 썼으니 별로 반응이 없습니다.
한국문학, 특히 소설류에는 와르르 몰리면서 시인에게는 참 인색한 동네에요.
다만, 몇몇분은 시집을 아주 좋아하죠. 많지 않아서 자주 눈에 띄지 않을 뿐에요.
아, 저는 시집을 좋아하지만 '시집'은 가지 않았답니다.(왜 말하는건데?)ㅋ

다크아이즈 2006-11-29 22: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란여우님, 저도 '시집'은 가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살아요. '결혼'은 했구요. 너무 페미니스트적 발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