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 - 김민경 교수의 생활 속 화학이야기
김민경 지음 / 휴머니스트 / 2019년 4월
평점 :
-20210729 김민경.
문과 출신이지만 고3 때 화학1이랑 생물1을 열심히 공부해서 두 과목은 내신 1등을 했다. 애들이 쓸데 없는 짓 한다고 했다. 수능 때도 사탐은 2개 틀렸는데 과탐은 1개 틀렸어…왜 그랬니 문과생이여…
다 읽고 나서 저자의 말을 읽으니 이 책은 문과 출신의 대학생들을 위해 저자가 맡았던 교양 강의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이공계라고 문학 철학 사회과학 제끼고, 인문사회어문계열 전공이라고 수학 과학 등한시하는 건 세상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포기하는 일 같다. 그래도 이과생들은 나중에라도 문과생들 분야라 하는 것 잘 따라 가던데…공학 계열 출신 소설가나 번역자가 나오는 걸 보면 그렇게 보이던데…
문돌이들은 수학이랑 과학은 수능 보고나면 새까맣게 멀어지는 것 같다. 심지어 요즘 어린이들은 과탐도 안 본다지… 깜깜해지는 게 싫어서 가끔 과학책을 일부러 찾아본다. 몇 년 후에 큰꼬맹이가 중학생이 되면 중학수학부터 고교수학까지 다시 같이 공부할 생각도 있다.(그 결심이 얼마나 갈런지는 모르겠지만…)
이 책은 생활 속에 마주하는 다양한 현상, 생활용품, 식품, 기후변화 등 다방면에 걸쳐 사례와 화학을 연관 지어 설명해줘서 좋았다. 사실 엄청 재미있지는 않았지만 아이 키우는 엄마 화학자라고 층간소음 매트나 플라스틱 생활용품 사용 전 세척법(세제로 씻어내고, 햇볕에 잠시 말려 묻어 있을만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라든가), 살균과 세척에 관한 생각, 자외선 차단제 선택법 등 화학자의 견해를 바탕으로 소소한 생활의 팁을 주는 부분은 나름 유용해 보였다. 천연물 인공물 따지지 않고 적재적소정량이면 될 것들이 그렇지 못해서 문제가 생긴다고 말하는 부분은 최낙언 선생의 식품 안전에 대한 견해랑 일치해서 왠지 친숙했다. ㅋㅋㅋ
근거 없는 불안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러면서도 안전하게 화학물질 속에 살아가려면 과학 공부 열심히 해야겠다. 뇌과학이나 호르몬 책 보면 나 자체가 화학 물질로 돌아가는 기계 같다. 신체 활동 뿐 아니라 건강과 감정과 여러 선택과 학습과 인지와 기억조차 그렇다. 이 책에서도 생명체의 생명 유지 활동 또한 화학과 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다고 한다. 세상을 이해하고 나를 이해하는데 왜 이렇게 많은 것들을 알아야 하는지 ㅋㅋㅋ 다 제대로 알지 못하고 죽겠지. 그래도 자꾸 궁금하니까, 읽고 검색하고 끄덕끄덕 갸웃갸웃한다.
아! 산과 염기에 대한 부분 읽는데 적양배추즙 말고도 블루베리도 시약 쓴대서 아까 꼬맹이들 냉동 블루베리 씻어주면서 나온 보라색 과즙물 그릇 두 개에 따라 남겨 놨다. 한 쪽에 식초를 넣으니 빨갛게!!! 화장실가서 비누칠한 손을 다른 쪽에 넣으니 파랗게!!! 변했어!!! 얘들아 이게 산과 염기다!!! 신기하지 않냐!!!! 하는데 큰꼬맹이는 아 그래, 정말이네, 하고는 무덤덤하게 블루베리를 주워먹기 바빴다… 작은꼬맹이는 블루베리 다 먹고 나서야 식초 어디갔어? 하고 식초병을 찾았다. (늦었어…) 나는 너희를 이과생으로 키우고 싶은데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