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안나 카레니나 1 ㅣ 펭귄클래식 128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윤새라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2년 3월
평점 :
판매중지
-20210404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이아립-누구도 일러주지 않았네
https://youtu.be/N2anJRDSen8
안나 카레니나를 처음 알게 된 건 밀란 쿤데라 할아버지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읽을 때였다. 가련한 테레자는 조그만 마을에 찾아든 토마시가 평범한 사람들 틈에서 혼자서만 책을 읽고 있다는 이유로 호감을 가지고 다가선다. 그를 만나기 위해 짐가방을 들고 프라하로 찾아가서는 손에 쥔 ‘안나 카레니나’가 그의 세계로 가는 유일한, 보잘것 없고 비참한 입장권이라 생각하며 조바심 내기도 한다. 귀엽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한 그녀는 토마시의 사랑을 얻지만 동시에 그의 방만한 육체 관계 때문에 오래도록 고통 받는다.
사랑은 그렇게 한 사람에게 행복과 기쁨과 번민과 고통을 동시에 혹은 번갈아가며 줄 수 있고, 인생의 방향을 이리저리 틀어버릴 만큼 강력한 감정이고 경험인데. 그 중요한 사랑을 시작하는 방법은 커녕 유지하는 법, 끝맺는 법을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다. 다만 책과 영화와 드라마 같은 서사가 사랑의 일대기, 흥망성쇄,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을 반복해서 보여주었다. 사랑을, 연애를 글로 배웠습니다. 농담처럼 말하지만 종이장의 사랑 두 글자를 핥거나 모니터 위 빛나는 입술을 핥듯 그저 남의 사랑 놀음을 구경하는 수준일 뿐 실제로 거기서 뭔가를 배우지는 못했다. 직접 부닥치고 선택하고 망하고를 다시 반복하는 수 밖에 없었다. 어려서부터 누구보다 사랑 받길 열망했지만 그 방법을 몰랐고 내가 나라는 이유 만으로 사랑 받을 수 있다고는 꿈에서도 믿지 않았다. 열망하는 상대방이 배부르고 안락하고 기쁨을 누리도록 맛있는 걸 잔뜩 먹이고 이것저것 사다주고 안아주고 그리워하며 혼자서 우는 것 말고는 할 줄 몰랐다. 그런 방식은 대개 망해서 배만 부른 채 떠나게 만들 뿐 마음을 얻지 못할 때가 더 많았다.
막상 약하고 부족한 나라도 내내 다정하게 대하는 이를 드디어 만났을 때, 그런 마음과 관계가 어떻게 어디까지 이어지는지 또한 몰랐다. 그냥 아이를 낳고 싶어서 낳고 길렀다. 같이 있을 수 있도록 돈을 벌고 생활을 유지했다. 같이 있다고 해서 외롭지 않은 건 아니었다. 그 사이사이를 음악이든 게임이든 책이든 글쓰기든 소일거리들로 채웠다. 안온하고 여유있고 자리잡힌 채로 늙을 일만 남았구나, 하고 생각하면 약간 서글프면서도 이것이 내가, 우리가 바라는 삶이 아니었나, 다 이루었다 하면서 스스로를 달랬다.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았다. 열망과 바람과 다른 삶의 가능성과 잔잔함을 휘젓는 새로운 경험이 어느 구석에나 도사리고 있는 것을 굳이 말하지 않았다. 그저 수많은 이야기들이 보여주었다. 결국 망할 걸 알면서도, 파국 속에 허우적거릴 걸(계란 풀고 파 송송한 속에 둥둥 떠다니는 건 왜냐...그 파국 아니다…) 알면서도 뭔가를 저지르고 잠시 행복하다가 깊은 어둠에 잠기거나 간단하게 죽어버리는 인물들은 픽션에도 논픽션에도 너무도 많았다. 솔직히 오래도록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보다는 남이 망하고 괴로워하는 이야기가 더 재미있었다. 본디 인간이 그런 존재인지 내가 사악해서인지는 모르겠다. 고대 그리스 비극부터 셰익스피어의 비극, 근현대의 소설들, 이대로 시간이 잠시 멈췄으면 좋겠어요 하는 하이킥의 카페베네 결말까지, 새드 엔딩이 득세하는 걸 보면 나만 사악한 건 아닌 거 같아서 위안이 된다. 그래도 내 이야기는 배드엔딩이 아니면 좋겠다.
몇 년 전에 안나카레니나 영화를 본 것 같은데, 기억에 남은 게 거의 없다. 무도회에서 끝나지 않을 듯한 춤을 추는 두 사람과, 마지막 기차역에서 서늘한 분위기로 죽음에 몸을 맡길 준비를 하는 안나의 모습 정도만 어렴풋이 떠오른다. 망할 결말을 알면서도 만남을 이어가는 두 사람을 지켜보는 게 독서에 한해서는 재미있었다. 톨스토이가 자기 분신인 양 그려놓은 레빈도 멋있는 척 소박한 척 하는 게 오히려 웃기고, 뭐만 하면 툭 튀어나오는 오블론스키도 재미있는 캐릭터였다. 다만 비슷한 상황에 놓이고도 여동생 안나는 번민에 근심에 환멸에 시달리는데 오빠 오블론스키는 전혀 흔들림 없고 내내 유쾌한 게 대조적이었다. 달린 자식이 줄줄인데도 오블론스키는 죄책감 자괴감은 커녕 마냥 해맑아서 오히려 얄밉더라. ‘귀부인’이라는, 그나마 고상한 자격이나 지위가 본인에게 속하지 않고, 남편의 ‘백작’이니 ‘공작’이니 하는 신분과 사회적 명망에 따라 ‘백작 부인’, ‘공작 부인’하고 주어지던, 그런 정체성에만 기댈 수 있던 시대라 그랬을까. 그렇다면 백사십 년 쯤 지난 지금의 이야기였다면 끝이 달랐을까? 안나는 죽지 않고 다른 가능성을 찾아 나설 수 있었을까? 시대가 변해도 결혼제도가 존재하고 남 이야기 좋아하는 인간의 특성은 그대로라서 어떤 식으로든 평탄하게 흘러가지는 않았을 것 같다. (그리고 잔잔하면 그건 이야기 거리가 되지도 않는다…)
아직 두 권이나 남았으니 다 타버릴 때까지 두 사람이 열심히 불 지피는 모습이나 한참 구경해야겠다. 밀란 쿤데라 소설 읽은 지가 20년이나 되었는데 안나 카레니나를 이제야 읽다니...이제라도 읽다니 다행이고 생각보다 더 재미있다. 아 심지어 멍멍이 카레닌 이름이 카레니나의 남편에게서 따온 것도 이번에 처음 알았다...미안해 카레닌 예전에 밀란쿠 할아버지가 그린 네 모습 ㄱㅊ같다고 심통부려서 미안해...
영화 ’안나카레니나’ 무도회 장면
https://youtu.be/RqyuLxJDZyA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04/pimg_792167114290069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04/pimg_792167114290069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04/pimg_792167114290069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404/pimg_792167114290069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