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1 - 우리민족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 1
이이화 지음 / 한길사 / 199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이후 한국사와 담을 쌓고 지내왔던 나인데 언제부터인가 우리 역사에 대해 내가 너무 모른다는 사실이 심히 불편하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태종이나 성종이 어느 시대의 몇대 왕인지 잘 알지 못해서 불편한 것은 물론이고 중국이 말도 안되는 논리로 고구려 역사를 중국사의 한 부분으로 편입하려는 주장을 펼친다는 기사를 읽었을 때도 감정적으로는 화가 치밀어 올랐지만 속으로는 ' 고구려가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고 중국과는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가 있지? 그것은 결국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해석하기 나름 아닌가?'하는 안이한 생각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런 일상에서 부딪치는 불편함에 더해 과거 우리의 발자취를 알지 못하고는 미래를 내다볼 수도 없다는 일반론적인 생각때문에 언젠가는 체계적으로 우리 역사를 공부해보고자 하는 욕망이 있었다.

그리고 신문지상을 통해 이이화 선생이 10여년에 걸쳐 한국사를 민중의 문화사를 중심으로 21권의 전집을 펴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어떤 책으로부터 교양으로서의 역사를 공부할 지 모르던 나는 무심코 이이화 선생의 한국사 이야기 1권을 사서 읽기 시작했다.

작가는 머릿말에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 역사는 특정인이나 특별한 계층의 독점물이 아닙니다. 오늘의 현실생활과 동떨어져 존재한다면 그것 또한 바람직한 역사의 모습이 아닐 것'이라고 말이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작가가 전문가가 아닌 일반 독자가 우리의 역사를 흥미를 가지고 탐구할 수 있도록, 그리고 과거 우리의 조상들이 어떤 모습으로 생활했는지 우리 머릿속에 그려질 수 있도록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책을 서술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역사적으로 논의가 있는 부분에는 다양한 학설을 치우침 없이 소개했고 작가의 견해도 간단히 논거를 달아 밝혀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시각적인 자료도 꽤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는데 사진자료를 설명하는 어휘역시 역사적 용어이거나 옛날 말이어서 이해가 좀 어려운 점이 아쉬웠다. 그리고 기원전후 한반도 남쪽에서 일어난 국가들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한나라의 사군 명칭 뿐 아니라 진한, 진국 등 여러 국가의 이름을 두서없이 나열하여 이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다양한 이야기를 알기 쉽게 풀어 넣으려다보니 약간 서술의 체계성이 부족한 면이 약간 있지만 우리 역사를 우리 민족의 기원부터 당시 조상들의 실생활을 중심으로 찬찬히 살펴보고 싶다면 읽어볼만한 책인 것 같다. 지금 겨우 1권을 읽었지만 꿋꿋이 21권까지 완독할 계획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