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제목으로 글을 쓰려고 한건 아니었다. 생일 축하합니다, 히라노씨.

사실 이런저런 이야기를 쓰려고 글쓰기를 눌렀는데, 그 와중에 스마트폰으로는 오늘 내 타임라인에 올라온 트위터를 훑고 있었다. 순간 업데이트 되는 글이 멘션이 있었으니, 6/22 히라노 게이치로 작가의 생일을 축하하는 한 독자의 글이다. 이런 세상에!!! 오늘이 히라노 게이치로의 생일이었어. 6월 22일이 그의 생일이었어. '아 달력에 표시해놔야겠어' 라고 생각했다.

히라노 게이치로의 한국 트윗을 팔로우 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그의 시간이 문고본으로도 나왔는데 아직 한국에서는 언제 나올지 모르는 이 상황. 그리고보니 작년 문학동네 트위터에서 히라노 게이치로의 신간을 출간한다는 이야기를 하길래 리플을 달아서 '내년에 출간할 책을 벌써 알려주면 어떻게 기다리라는 거냐!'라고 잔뜩 항의를 했던 기억이 나는데, 언제 출간되는거냐. 흑. 책 제목도 <결괴>라는데. 제발, 지치기 전에 출간되어 주세요. 예전 책을 읽기도 질린다구요.

이번 주말에는 그의 책을 골라서 읽어봐야지.
내가 생각하는 히라노씨의 최고 작은 단연 <장송>.이 책을 읽었을 때 감상은 다음과 같다.
'이런 작품은 다시는 쓰지 못할거야. 이런 책을 그 나이에 쓰다니 여한이 없겠어.'(누구 마음대로)   

영화로 말하자면 <아마데우스>를 보는 느낌이랄까나. 물론 다르지만.

 

 

 

  

문득 위에 책을 보니, 히라노 게이치로가 국내 출간한 책은 모두 읽었구나 싶다. 그리고보면 난 꽤나 소설에 관한 전작주의 경향이 강해서 일단 괜찮다 싶으면 몰아서 끝장을 보는 주의에 가깝다.

이 전작주의는 대학 시절에 생긴건데, 도서관에 접근성이 절대적으로 가까운 대학생 시절에 전작주의를 하기에는 최고의 환경이었기 때문이었지 싶다. 닥치는 대로 책을 일던 시절이었고 , 지금도 그렇지만, 원하는 책을 시간만 들이면 구할 수 있는 시절이었기 때문에 그 시절에 전작주의 경향이 만들어진건데, 이 버릇이 사회에 나와여서는 영 고질병 처럼 되어 버렸다. 쉽사리 고칠수가 없는데,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자니 영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고나 할까. 약간 집착적인 성향이라고 해야할지, 다른 사람을 투입하는데 들이는 귀차니즘 때문인지, 어떤 이유가 크려나.

이번 주말에는 장마비가 내린다는데, <장송>을 읽으면서 주말을 보내야겠다.
음, 주말을 보내는데는 <장송>만한 책이 없겠다. 역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1-06-22 08: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달] 한권읽고 히라노 게이치로 읽기를 포기했는데 주변에 그의 글이 좋다는 사람들이 꽤 있어요, 하루님. [장송]이 그렇게 좋다면, 흐음, 저도 읽어볼까요? 저는 [달]을 다 읽기도 정말 엄청나게 힘들었거든요.

하루 2011-06-22 09:34   좋아요 0 | URL
음 전 <일식>이 정말 힘들었고, <달>은 정말 좋았어요.
<달>에서는 아직도 외우고 있는 구절이 있을 정도예요 >_<
그런데 히라노씨의 책 중에서 가장 애지중지 하는건 <장송>인데, 읽으면서 손이 덜덜 떨릴 정도예요.(아.. 이런 발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