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를 리뷰해주세요.
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 - 티베트에서 보낸 평범한 삶, 그 낯설고도 특별한 일 년
쑨수윈 지음, 이순주 옮김 / 에이지21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티베트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라고는 잊을만하면 독립을 말하는 달라이 라마라는 인물이 하나이고, 세상에서 하늘과 가장 가까운 기차역이 있는 곳이라는 것 정도이다. (당연히 얼핏 들은 이야기라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실 어떤 감정을 갖기에는 너무나 아는 것이 없는 나라이고, 땅이다. 나에게 티베트는 그렇다. 적어도 티베트라는 나라를 혹은 지역을 앞으로 생각한다면, <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를 읽기 전과 후가 있을 거라고 난 생각한다. 분명히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는 티베트에서 1년 동안 다큐멘터리를 촬영한 감독의 이야기이다. TV 화면으로 전달하는 다큐멘터리에서는 말할 수 없었고, 편집과정에서 다 넣지 못한 이야기를 넣고 싶은 마음이 한껏 느껴진다. 1년 동안 한 마을에서 한 가정을 중심으로 티베트의 평범한 - 물론 이 평범한이라는 단어를 정말 사용할 수 있는지까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 일상들을 그리고 대소사를 전한다. 티베트 가정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아이가 태어나고 자라고 결혼을 하고 죽는 과정에서 어떻게 사람들은 대처하는지 그들의 풍습을 무엇인지를 하나하나 끈기있게 전한다. 티베트에 대해서 거의 아는 것이 없는 나에게는 이 모든 과정이 하나하나 '티베트의 풍습'이라는 이름으로 차곡차곡 갈무리되고 정리됐다.

 

나에게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티베트의 조장풍습과 결혼제도에 대한 부분이다. 죽은 자의 시체를 모두 원초적인 형태로 짓이겨서 새에게 나눠주는 풍습은 분명 문명권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야만의 풍습이라고 생각될 법 하다. 글을 적는 감독은 이런 풍습을 힘들게 관찰하며 글로 옮겨 적으면서 야만적이라는 느낌이 아닌 그 이면의 다른 의미가 있음을 분명히 깨닫고 그 점을 전달하려고 한다. 바로 그 점이 이 책이 혹은 이 글이 가지고 있는 강점이다. 분명히 그들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것을 전달하되 자신의 감정은 적당한 선에서 절제했다는 점이다.

 

이 책은 아무리 반복해서 읽고 있어도 감동적이라거나 하는 감정은 사실 느끼기 힘들다. 아무리 안타까워도 사실이니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은 읽고 있노라면 책을 덮고 한번쯤은 긴 한 숨을 쉬게 한다. 깊고 깊은 한 숨 한 자락을 말이다. 사람이 사는 것은 어디나 내 한가지이니 어쩔 수 없는 문제라고 하지만 한 가족에서도 다르게 사는 것이 가족이다. 하물며 저 멀리 멀고 먼 나라, 그리고 하늘과 가까운 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은 내가 상상도 할 수 없는 그런 종류의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들의 나의 삶을 본질적으로는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태어나서 가족의 품안에서 자라고 학교를 다니고, 진로를 고민하고 결혼을 하고 가족을 만들고, 자식이 생기면 자식걱정을 하며 그렇게 일생을 살아간다. 보잘 것 없는 의료현실과 교육현실이 답답하기도 하지만 조금은 더 나아질거라는 그런 현실에 대한 조금의 믿음을 가져 보기도 한다.

 

1년 동안 평범한 티베트 한 마을 속 한 가정의 일상에 가능한 가까이 하며 꾹꾹 눌어 담아 놓은 이야기를 풀어놓은 <바로 이 몸에서, 이 생에서>는 읽고 있는 내내 진지한 생각을 하게 한다. 그야말로 순수하게 '살아가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