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를 리뷰해주세요
-
-
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그런 것들이 있게 마련이다. 사람에게는.
세상에 아름답고 좋고 명랑한 것들이 넘치고 넘쳤는데 내가 왜 이걸 보고, 듣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과 짜증과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것들이.
혹자는 그 불편함을 세상과 정면으로 마주하는데서 오는 불편함이라 말하기도 하지만 누군가에게 이런 불편함은 그저 피곤함일 뿐이다. 왜 세상에 좋은 것들도 많은데 이런 불편한 것을 보아야 하고 부대끼며 불편해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다 말하는 이들도 있다. 가끔씩 건드리지 않았으면 하는 것들을 콕콕 건드리는걸 왜 읽고, 읽으면서 부담스러워해야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평소 한없이 가벼운 작가라고 생각했던 공지영이 그 부담스러움과 불편함을 이야기하는 소설 <도가니>이다.
대한민국의 어느 작은 학교, 그 안에서 벌어진 일들
한국에서 공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적어도 이름은 들어보았을 소설 <무진기행>을 다분히 의식한듯 소설은 무진 속 안개를 배경으로 시작한다. 주인공 강인호는 이래버래 밥은 먹고 살수 있을 정도로 돌아가던 사업이 기울어지면서 뒤늦게 아내의 백으로 무진시에 있는 특수학교에 교사로 취직을 해서 막 무진시로 내려오는 길이다. 도착해서 갓 만난 안개만큼이나 그를 맞이하는건 인간으로서 맛볼 수 있는 모든 비굴함일 뿐이다. 그는 뒤늦게 아내가 학교에 돈을 내고 교사로 취직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 학교 교장과 행정실장에게도 모욕적인 언사를 들으면서도 학교에 남는다. 왜냐니. 당연히 벌어 먹고 살기 위해서다. 그가 취직한 학교는 무진시에서 장애 아동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기숙사 학교 자애학원이다.
그는 이 학원에 숨겨진 안개같은 기운이 있을음 감지한다. 교장에서 수위까지 이어진 모종의 연결고리를 깨닫고 자신에게 무언가 말하고 도움을 요청하고 싶어하는 아이들을 발견한다. 이 소설에서 사실 끔찍하다고까지 이야기할 수 있는 학교내의 숨겨진 이야기는 읽는 내내 끔찍하다는 말 외에는 할 수 없을 정도이다. 자애학원에서 아이들에게 벌어진 일을 안 강인호는 대학시절 선배가 무진시에서 인권운동을 하고 있는걸 알고 그녀에게 도움을 청한다. 선배와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몇명은 도움을 청한 경찰과 검찰, 교육청에게서 차가운 냉대를 받고 무진시에 교묘하게 만들어진 '평범한 사람'들의 그물을 비로소 느낀다. 결국 그들은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사건은 공론화 하게 되고, 그 공론화의 결과 사건은 재판에까지 넘겨지게 된다는 것이 소설의 주된 줄거리이다.
사실 이 소설이 실화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읽고 있으면 소설은 '있음직한 이야기'를 쓰다는 정의에 공감하게 된다. 정말이다, 공지영은 한국 사회에서 충분히 있음직한 일을 쓰고 있다. 단순히 자애학원 안에서 벌어진 끔찍한 '보통 사람들'의 행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 보통 사람들이 촘촘한 그들만의 카르텔로 만들어 놓아 옴짝달삭 할 수 없는 그 숨막히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말이다. 자애학원의 교장은 그가 다니는 교회를 통해 그리고 친인척을 통해, 돈을 통해 경찰과 검찰,판사와 변호사, 교육청등 무진시 자체를 원군으로 삼고 있는 그 끔찍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말이다.
세상과 나, 사람들과 나, 그리고 우리
|
|
|
|
세상 같은거 바꾸고 싶은 마음, 아버지 돌아가시면서 다 접었어요.
난 그들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고 싸우는 거예요.
|
|
|
|
|
극 중 강인호의 요청으로 이 싸움에 함께 하게 된 서유진의 말이다. 싸워봐야 바위에 계란치기일 뿐이고, 정말 세상이 바뀔 거냐고 묻는 누군가의 말에 그녀는 이렇게 답했다. 강인호는 이 싸움을 계속해 가던 중 부인의 설득으로 가족과 이 싸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 찾아온다.(그리고보면 이런 외로운 싸움을 하는 사람들은 이런 선택을 강요당하지 않는가) 그는 부인에게 쓰는 편지에서 이렇게 적었다.
|
|
|
|
세상에 태어나 처음으로 돈도 아니고 쾌락도 아니며 심지어 고통스럽기 까지한 어떤 것을 향해 노력하는 나 자신을 발견한거야. 그 과정에서 뜻밖에도 나는 내가 인간이라는 것, 그것도 아주 존엄한 인간이라는 것을 온몸으로 깨단는 어떤 기쁨을 맛보았어. 그리고 그것은 내가 평생 느껴보지 못한 낯설고 고귀한 감정이 아니라 그냥 인간인 내 속에 원래 그런 것들이 있었다는 것을, 이웃을 위해, 더불어 함께 하기 위해 싸울 때 내가 스스로를 가장 사랑하게 된 다는 것을 안 거야. 그리하여 한 존엄한 인간으로서,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다른 존엄한 생명들을 짓밟는 자들과 싸우고 싶어졌던 거야. 이것은 내 인생에서 결코 하찮은 일이 아니었어. 그러니까 나는 다른 누구를 위해서보다 나 자신을 위해 꼭 이 일을 마치고 싶어. 아이들이 다시는 그런 일을 당하지 않는 조건에서 공부하고 있는 것을 본다면 이 고생도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을 거 같아.
새미엄마, 내가 가려는 이 길이 우리 가족에게도 결국 옳은 길임을 진작 말해주지 못한 것이 안타까워. 내가 새미를 위해 이 일을 하려고 한다면 당신을 믿을까.
|
|
|
|
|
강인호와 서유진은 말한다. 이 일을 나를 위한 일이고 내 가족을 위한 일이라고. 무슨 부귀영화를 위해 이런 고되고 추악하기 까지한 이런 싸움을 하느냐고 묻는 세상에 말한다. 착각하지 마라. 이건 나를 위한 일이고, 내 가족을 위한 일이다. 이건 내가 살아있는 인간이고, 가치있는 인간임을 일깨워주는 일인건 왜 몰라주느냐, 라고 그들은 묻는다.
누군가는 그 싸움을 계속하고, 누군가는 그 싸움을 포기하고, 누군가는 그 싸움 속에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고, 누구는 그 싸움 속에서 다시 한번 좌절을 맛본다. 세상은 공평하지 않은지라 사람마다 같은 사건을 겪고서도 같은 감정으로 남은 세월을 살아갈 수 없다. 그리고 그 싸움에 누군가를 죽을 때까지 시대에 사람들에게 부채의식을 가지고 살아가야 할 것이다. 그 누구보다도 무거운 짊을 지고 말이다.
준비된 자만이 읽을 지어다
그리고보면 <도가니>는 1980년대 학생운동을 하던 시절의 이야기와 비슷하다. 시대를 위해서가 아닌 내 옆에 있는 사람이 좀 더 사람답게 사는 세상이 오기를 바라면서 그렇게 끊임없이 구호를 외쳤던 그 시절의 사람들과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와 맣이 닮았다. 어쩌면 이 책은 공지영이 첫 작품집으로 써냈던 <인간에 대한 예의>의 연장선상에 있는, 슬프게도 소재만 바뀐 이야기인지도 모르겠다. 난 공지영이란 작가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밀도가 있어서 한번 읽은 책을 또 읽고 싶게 만드는 그런 밀도감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난 이 책도 그럴거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편치 않았고 외면하고 싶은 대한민국의 현실 때문인지도 모르고, 공지영에 대한 내 평소의 평가 때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은 누구에게나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이야기인 것만은 분명하다. 불편한 대한민국, 그 현실, 그 현실을 만드는 사람들을 만날 준비가 된자만이 그리고 그 속에 감히 희망을 볼 수 있는 사람만이 그리고 시대의 부채의식을 짊어질 수 있는 사람만이 이 책을 읽을 지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