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2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미처 오주석 선생 본인이 마무리하지 못한 책이라 하여
1권에 비해 격이 떨어질 거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오히려 퇴고를 거듭하지 않았기에 선생의 진실어린 감정이 낱낱이 드러나있다.

우리 그림에 대한 선생의 사랑은 두 말 할 것도 없고,
갈피갈피 구구절절 녹아있는 선생의 반일 의식 역시 큰 배움이었다.
일제 시대에 조직적인 호랑이 박멸 작전이 있었는 줄도 난 몰랐고,
우리 표구와 일본 표구를 구별할 줄도 몰랐다.
이조란 일제가 만든 표현인 줄만 알았지, 왜 틀린 것인 줄은 말할 줄 몰랐다.
사대주의가 나쁘다는 말만 떠벌렸을 뿐, 사소주의와 연결하여 호혜평등을 바라지도 못했다.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진작에 오주석 선생을 나의 스승으로 모시지 못한 게 한스럽고,
친근하게 오선생님! 이라 쓰지 못하는 것도 아깝고 아까워서 입술을 잘근 깨물게 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나서는 버릇을 주체하지 못 하고 내 마음대로 그림 읽기를 또 시도해본다.
마상청앵도를 보면 봄날 물안개 핀 길을 걸어가는 선비와 동자의 모습이 있다.
선생은 물안개를 과감하게 온통 여백으로 처리한 화가를 경애하는데,
나는 오히려 한 길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자욱한 안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게 아닌가 싶다.
즉, 그리고 싶어도 보이지 않아 그릴 수 없는 배경인 것은 아닌지.
그렇다면 어떻게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가 보일까.
혹시 꾀꼬리를 보고 그린 것이 아니라 그 소리를 공감각적으로 표현한 것은 아닌가.
버드나무의 가지가 그려지지 않은 것도, 병아리인지 꾀꼬리인지도 구별 안 가게 대충 그린 것도,
다 안개에 가려 보이지 않는 것을 새소리만으로 연상하여 시각적으로 그린 까닭으로 생각해 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4-18 0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국경을넘어 2006-04-18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난 해 초던가요. <한겨레> 궂긴 소식에 선생의 이야기가 있더군요. 구수한 막걸리 목소리에 후덕한 인상...

조선인 2006-04-18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닥이신 분, 님의 서재에 글 남겼습니다.
폐인촌님, 저 분을 못 뵌 게 너무 아쉬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