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여관
임철우 지음 / 한겨레출판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무섭다. 무서워서 잠이 안 왔고, 무서워서 눈을 감을 수도 없었고, 무서워서 불을 끌 수도 없었다.
무서워서 침묵이 싫었고, 무서워서 TV를 틀었다.
무사히 아침을 맞았을 때의 안도감이라니.
난 다행히 어둠 속의 푸른 손을 보지도, '시간이 없어'라는 환청을 듣지도 않았다.
아, 안도의 한숨.

소설의 결말대로라면 사실 내가 겁먹을 이유는 없다.
푸른 손들을 떠나보내는 씻김굿은 이미 이루어졌으니까.
하지만 씻김굿이 곧 화해와 용서의 대단원이요, 끝일까.
작가는 끝까지 기억할 것을 요구하지 않았던가.

"그래. 결코 지난 날들을 잊어서는 안 돼. 망각하는 자에게 미래는 존재하지 않아. 기억해. 기억해야만 해. 하지만 친구야. 그 기억 때문에 네 영혼을 피 흘리게 하지는 마."

작가는 역사를 말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기억하는 사람들에 대해 쓰고 싶었다고 말했지만,
그가 남긴 구절을 보면 결국 역사를 잊지 말라는 호소가 배어나온다.
기억은 희미해질 수도 있고, 덧칠이 될 수도 있지만,
역사야말로 시효나 유통기한이 없기 때문.
하기에 4.3항쟁이나 보도연맹사건이나 5.18을 기억하는 사람만 백년여관의 독자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 땅의 역사를 알거나 모르는 사람이 백년여관의 독자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뒤숭숭했던 밤을 보내고 아침 햇살 속에 씻김굿 대목을 다시 보니 뒤늦게 서운함이 밀려온다.
나로선 푸른 빛으로만 남은 존재라 하더라도 보고 싶은 이들이 있기에.
하기에 나의 씻김굿은 아직 이르며, 백년 여관 안에 그들이 남아있는지 정신차릴 일이다.
올해는 노수석 열사 10주기라고 참으로 부지런히 문자가 날라오고, 이메일이 날라오고 있는데,
수고한다고, 내가 혹시 도울 일은 없냐고 전화 한 통이라도 넣어봐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06-02-27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나, 이 사람 글은 너무 힘들어요.
기억도 잊은 단행본을 보면서 섬찟함에 가슴을 떨었던 기억이 있어요.
나름대로 늘 같은 주제로 같은 글로 ...남아 있는 그가 가끔은 참 안쓰럽기도 자랑
스럽기도 합니다..(바다 건너에 있던 그의 고향마을을 알아요)

조선인 2006-02-27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아 있는 그가 안쓰럽기도, 자랑스럽기도... 맞아요, 제가 하고픈 말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