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에는 시전이 있고, 한강에는 난전이 있죠.

종로는 조선시대의 시전중에서도 육의전이 있던 곳입니다. 육의전이란 공식적인 시장인 시전중에서도 반드시 나라의 허가를 받아서 판매하는 물품, 즉 비단, 무명, 종이, 명주, 모시, 어물 등 6가지의 점포를 말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상인이 양반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육의전을 운영하는 상인은 나라의 권세를 등에 엎고 상당히 위세를 부렸다고 합니다. 요새로 치면 공기업이 국가기관인 양 하는 꼴이겠죠.
반면 한강은... 그중에서도 지금의 마포, 노량진, 서강 등은 물길을 이용해 전국의 물물이 서울로 들어오는 입구입니다. 그 영향으로 비공식적인 시장, 즉 난전이 형성되었습니다. 난전은 애초 불법이지만 서민들을 위해 묵인을 해주곤 했지만, 중요한 물품의 암거래나 난전의 지나친 성장을 저지하기 위해 때때로 단속을 하곤 했답니다. 지금으로치면 평소에는 묵과하다가 한번씩 노점상 단속을 하는 것과 비교될 수 있겠죠.
즉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화풀이 한다는 것은 종로의 시전에서 흥정끝에 위세높은 상인과 시비가 벌어져도 암소리 못하다가 한강의 난전에 가서 힘없는 노점상(?)에게 화풀이하는 거죠. 


한때... 네이버 지식인에 폭 빠져 살았던 적이 있다. 잘난 척하고 싶다는 욕망을 한껏 만족시킬 수 있었기에. 지금은 딸랑구 미니홈피와 알라딘 나의 서재에 폭 빠져 발을 끊었다. 그러나 모스포츠신문에 네이버 지식인 답변이 연재되기 시작하면서 지금껏 2번의 행운이 있었다. 이건 처음으로 실렸던 내 답변. 당시 네이버에서는 등재에 동의할 경우 모종의 사례를 하겠다고 정중한 메일을 보냈었다. 난 행여나 모스포츠신문 1년 정기구독권 같은게 날라올까봐 걱정했는데 2달만에 배달된 건 문화상품권 2장.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6-04 1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달만이라도 100만원 짜리 문화상품권이 두 장이라면 10년이라도 기다릴텐데...그런데..얼마짜리 상품권이라는 말씀은 없으신지요? 만약 5000원 짜리 상품권이었다면 아마도 "---(중략)---2달만에 배달된건 문화상품권 달랑 2장" 이라고 쓰셨을것 같은데요?

조선인 2004-06-04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00만원짜리 문화상품권도 있나요.
가난한 저는 5000원짜리 상품권밖에 몰라서... ^^;;

panda78 2004-06-04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5000원 짜리 문화상품권 두 장이면 벼르던 책 한 권 살 수 있잖아요.. ^-^
쓰잘데기 없는 물건보다 훨---씬 좋네요! (그런데 정말 100만원 짜리 문화상품권도 있나요? 그런 거 받으면 오페라도 로얄석에서 보고.. 발레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