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의 이매진>을 리뷰해주세요.
-
-
진중권의 이매진 - 영화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문학적 상상
진중권 지음 / 씨네21북스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예술 장르 중 대중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장르가 영화가 아닐까 한다. 20세기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구상에 나타난 영화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 빠르게 전파되고 사랑을 받았다. 태생부터 과학과 함께 한 영화는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계속 진화 발전하여 지금은 배우나 카메라가 없이도 영화가 만들어지는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런 시대적 변화는 영화에 대한 미학적 기준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그 미학적 논의는 현재 진행형이다.
지은이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변화하는 영화의 모습을 인문학의 입장에서 풀어내고 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영화비평에 대한 글은 아니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하는 영화에 있어 형식과 내용 면에 있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영화적 미학을 인문학의 관점에서 써내려가고 있다.
‘씨네21’에 1년 간 기고한 글을 “영화의 죽음, 복제에서 생성으로, 서사의 파괴, 해석에 반대한다, 시각적인 것에서 촉각적인 것으로, 기술과 신체, 미디어와 권력, 이성과 광기, 영원한 소년, 역사와 기억” 이라는 10개의 장으로 나누어 영화를 들여다보고 있다. 이 책에서 지은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은, 서두에서 인용한 “전통적 영화는 이미 뇌사상태에 빠졌다. 텍스트와 프레임, 배우와 카메라 등 영화의 ‘4대 폭군’으로부터 해방된 영화가 재탄생된다.” 라는 피터 그리너웨이의 말로 집약된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지은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들이 디지털 시대에 문제되는 논의들이기는 하지만, 아날로그 시대에서도 논의된 내용들이다. 디지털 시대에서 논의되는 내용들은 특수효과 등 아날로그 시대에서 기술상의 부족으로 재현할 수 없었던 것이 중심이 될 수 밖에 없다. 그 이외의 것들은 이미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어서 이 책에서 새롭게 이야기된 것은 아니다.
책에 등장하는 영화는 일반적인 기준에서 볼 때 함량미달(?)인 영화도 많다. 이는 지은이도 인정하는 내용이다. 지은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된 영화를 다루다보니, 영화적 완성도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쉽고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들이 많다. 소위 예술영화라고 하는 것들은 없다. 그런데 영화는 쉬운데 그 영화를 읽어 내려가는 지은이의 글은 무지 어려운 느낌이다.
지은이는 벤야민 등 외국 학자들이 한 말을 많이 인용하고 있다. 외국에서 공부를 하고 온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들이 공부를 한 곳의 언어로 현재 우리나라의 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다보니 자연히 글을 읽는 사람으로서는 무슨 말을 하려고 하는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마치 말장난을 하는 듯한 현학적인 내용으로 가득하다.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내용도 말을 비틀고 꼬아서 비슷한 내용의 말을 표현만 달리하여 쓰고 있다. 물론 잡지에 편안하게 기고한 글이어서 그렇다고는 할 수 있지만 그간 지은이가 각종 미학관련 서적에서 보여준 글들과는 너무나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실망스러움을 금할 길이 없다.
디지털 시대를 읊고 있음에도 지은이는 아날로그적인 글쓰기를 하고 있는 느낌이다. 무엇을 이야기하려고 하지만 제대로 들리지 않는다. 그저 공허하게 한 쪽 방향으로만 울릴뿐이다. 아마 이는 영화에 대한 제대로 된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인문학을 접목시키려다보니 소화불량이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한다. 많이 아쉬운 대목이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영화를 새롭게 볼 수 있는 눈을 가지게 합니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영화를 새로운 시각에서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라면 볼 만하지만 그다지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이미지는 설득하지 않는다. 그저 도취시킬 뿐이다. 이성은 마비되고, 그래서 정신은 황홀하다(3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