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대교 랍비인 렙 제불룬은 “오늘 우리는 산다. 그러나 내일이면 오늘은 이야기가 될 것이다. 온 세상은, 모든 인생사는 하나의 긴 이야기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말처럼 오늘의 삶은 내일의 이야기가 될 것이고, 결국 우리의 삶은 이야기로 남을 것입니다. 그 이야기는 비극이 될 수도 있고, 희극이 될 수도 있겠지요. 우리의 자손들에게 우리의 생애는 숨기고 싶은 이야기가 될 수도 있고, 자랑스런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깨달아야 합니다. 딱 한 번뿐인 인생을 닥치는대로 막 살아버릴 수는 없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우리는 오늘도 한 순간 한 순간의 삶으로써 이야기를 써 나가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삶을 평가하려면 그의 돈과 시간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보면 된다고 합니다. 오늘날 우리를 지배하는 시대의 분위기는 ‘이기주의’입니다.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참을 수 없다’는 말이 대변하는 것처럼, 현대인들은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벌어서 부지런히 모으고, 모여진 돈을 자신을 위해 폼 나게 쓰고, 남에겐 전혀 관심을 갖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모두의 꿈은 ‘부자’가 되는 것입니다.
성경은 부와 부자를 결코 정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돈이 주인이 되고, 돈이 목표가 되고, 돈이 최상의 가치가 될 때, 그것을 명백히 죄라고 선언합니다. 그리스도인임에도 불구하고 부자가 되고 싶어 안달이 난 사람들, 세상의 것에 유혹을 받고 사는 목적을 부의 축적에 두는 사람들, 많은 재산을 가진 사람들을 부러워하고 시샘하며 더 많은 돈을 모으려고 기를 쓰는 사람들을 향하여 야고보는 다음과 같은 경고를 하였습니다.
1. 그리스도의 제자는 결코 부당한 방법으로 재물을 모으지 않습니다(4)
2. 그리스도의 제자는 재물을 자신만을 위해 쌓아두지 않습니다(2-3)
3. 그리스도의 제자는 사치와 쾌락을 누리기 위해 살지 않습니다(5)
4. 그리스도의 제자는 돈 때문에 남을 짓밟거나 억울하게 하지 않습니다.(6)
그리스도의 제자인 우리는 이야기를 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삶은 이야기로 남아 두고 두고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우리의 삶은 어떤 이야기를 남길까요? 적어도 누가복음 12장에 나오는 부자처럼 “재물에 대해서는 부요했지만 하나님께 대하여는 부요하지 못한 자”(눅12:21)였다는 이야기를 남기지는 말아야 할 것입니다. 구약의 아간이나 신약의 아나니아와 삽비라같은 이야기는 남기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수단방법 가리지 않고 벌고, 모으고, 마음껏 즐기고 사치하고, 남이 어떻게 되든 상관없이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틈 속에서,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시대의 분위기(trend)와 보편적인 사람들의 가치관을 거부하고 마음 속 가장 깊은 곳에 말씀을 담고, 용감하게 적용하고 순종하며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하나님과 사람들에게 부요했던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남겨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