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려움과 걱정이 몰려올 때(창32:7-13)

고향으로 돌아가야 할 야곱은 형 에서를 만날 일이 두려웠을 것이다. 그리하여 선물과 함께 전령을 보내 형을 달래려고 하였다. 그러나 돌아온 전령들은 형 에서가 4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자신을 치러 온다는 무시무시한 소식을 전하였다. 야곱의 입장에서는 엄청난 공포와 압박을 느꼈을 것이다. 성경은 야곱이 너무나 두렵고 걱정이 되었다고 보고한다(7).

이렇게 두려움과 걱정이 몰려올 때 야곱은 어떻게 반응을 했는가? 이미 여러 굴곡을 넘어 견고한 신앙을 얻은 야곱은 예전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다.

우선 야곱은 비상조치를 취한다(7-8). 자기의 무리를 두 떼로 나눈 것이다.

그 후 전쟁준비를 하거나, 원군을 요청하거나, 전략을 짜기에 앞서 기도를 드렸다(9). 특히 그는 하나님의 약속을 붙들고 기도한다. 은혜를 베풀기로 하신 하나님의 약속을 붙들고 간절히 기도한다(9-12). 아마도 밤을 세워 기도하며 하나님께 매달린 듯하다(13).

비상조치와 기도가 끝나자 야곱은 전략을 세운다(13-21). 자기의 무리를 몇 떼로 나누고 선물을 준비하여 형의 마음을 누그러뜨리기로 한 것이다. 그리하여 형의 분노가 풀리면 만나고자 자신의 무리는 최후방에 배치하였다.


모세가 여호수아에게 말하였다. "장정들을 뽑아서 아말렉과 싸우러 나가시오. 내일 내가 하나님의 지팡이를 손에 들고, 산꼭대기에 서 있겠소." 출17:9


야곱의 반응은 아말렉 군대와의 전투를 준비하던 모세의 자세와 비슷하다. 모세는 전쟁을 준비하는 일과, 하나님께 나아가 간절히 기도하는 일을 병행했던 것이다.

전쟁에 맞닥뜨릴 때, 두려움과 걱정이 몰려올 때, 비상조치와 기도와 전략 모두가 필요하다. 하나님은 기도하지 않고 움직이는 것도 싫어하시지만, 기도만 하고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것도 싫어하신다. 기도하고 믿고 생각하고 상황을 파악하고 움직여야 한다.


2. 제자를 부르신 이유(막3:14-19)

주님께서는 밤새 기도하신 후에 제자들을 뽑으셨다(눅6:12-16). 그분께는 제자들을 뽑는 일이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제자들을 부르시고 그들을 사도라고 명명하셨다. “너희는 내가 보낸 자들이다”라는 의미를 담아 주신 것이었다. 그런데 성경은 예수님이 제자들을 부르신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예수께서 열둘을 세우시고 [그들을 또한 사도라고 이름하셨다.] 이것은, 예수께서 그들을 자기와 함께 있게 하시고, 또 그들을 내보내어서 말씀을 전파하게 하시며, 귀신을 쫓아내는 권능을 가지게 하시려는 것이었다.” 막3:14-15.


자기와 함께 있게 하시고, 말씀을 전파하게 하시며, 권능을 가지게 하시려고 부르셨다.

그리스도의 제자는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이 최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의 제자는 그리스도와 동행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고, 배우고, 닮아가야 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제자는 복음을 전해야 한다. 그것의 삶의 목적이자 꿈이며 존재이유이다.

그리스도의 제자는 권능의 사람(powerful man)이 되어야 한다. 죄와 사탄과 악한 문화와 부조리에 맞서야 한다. 아울러 영성과 인격과 실력에 있어 능력을 날마다 배양해야 한다. 끊임없이 성장해가야 한다.


3. 덧붙여주신 이름(막3:16-17)

예수님이 시몬에게는 ‘반석’이라는 의미의 ‘베드로’라는 이름을, 야고보와 요한에게는 ‘천둥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보아너게’라는 이름을 덧붙여 주셨다. 아마도 베드로에게서 미래의 교회의 반석이 될 장래성을 보고 비전을 주기 위해 그 이름을 주셨을 것이고, 야고보와 요한은 워낙 다혈질이고 폭발적이기에 그 이름을 주셨을 것이다. 주님이 덧붙여주신 이름처럼 시몬 베드로는 반석 같은 교회의 지도자가 되었다. 한 때 세 번이나 주님을 부인했지만 최초의 설교자가 되어 삼천 명을 제자로 삼고, 최초의 교회를 주도적으로 세워 나갔으며, 훗날에는 장로가 되어 교회와 형제자매들을 돌보고 베드로전후서를 기록하기도 했다. 야고보와 요한 역시 주님이 덧붙여주신 이름처럼 성질이 급하고 폭발적이었고 다혈질적이었다(눅9:54-56). 그러나 급하고 불같은 성격은 방향만 잘 잡으면 엄청난 열정으로 바뀔 수 있었다. 야고보는 이 불같은 성격을 하나님 나라를 위한 열정으로 승화시켰고, 가장 눈에 띄는 전도자가 되어 헤롯을 불편케 한 듯하다. 결국 야고보는 사도들 중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행12:2). 열정을 불태우고 간 것이다.


 안드레와 빌립과 바돌로매와 마태와 도마와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다대오와 열혈당원 시몬과, 예수를 넘겨준 가룟 유다이다.

  그리스도의 제자인 나에게 주님은 어떤 이름을 덧붙여주실까? 아니 나는 그리스도의 제자로써 어떤 이름이 덧붙여질 수 있을까? 반석과 열정이라는 명예로운 이름을 덧붙일 수 있을까? 아니면 시몬이나 가룟 유다처럼 열혈당원이나, 예수를 넘겨준 사람이라는 불명예스런 이름이 덧붙여질 수 있을까? 내 남은 삶이 덧붙여질 이름을 결정할 것이다.


4. 소문(막3:8-10, 21-22)

예수님에 대한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다. 병들고 약하고 가난한 민중들은 예수를 만나면 새로운 인생의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예수님께 나아왔다(8-10). 그러나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 같은 기득권자들은 예수님을 ‘미친 사람, 귀신 들린 사람’이라고 소문을 냈다(21-22).

예수님은 치유자, 다윗의 후손, 이스라엘의 해방자라는 소문도 들었고, 미친 사람, 귀신 들린 사람, 반역자라는 소문도 들어야했다. 어느 쪽이 맞는가?

소문은 진실이 아니다. 소문은 어떤 형태로든 퍼져나갈 수 있다. 소문에 민감해서는 신실한 사역자가 될 수 없다. 예수님도 미친 사람 취급을 받았다면, 기대이하의 소문과 평판에 대해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어떤 평가에도 그 평가에 흔들리거나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 만일 높은 평가에 반응한다면 교만해질 위험이 있고, 낮은 평가에 반응한다면 자존감과 용기를 상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람들의 말을 멈추게 할 수는 없습니다. 사람들은 항상 말을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분의 귀를 멈추게 하는 것입니다. 듣는 것에 마음을 두지 마십시오. 그리고 하나님께서 여러분을 통해서 하시고자 하는 일들을 하십시오.”

위와 같은 찰스 스펄젼의 말을 가슴에 새길 필요가 있다. 소문은 진짜 내가 아니다. 소문에 귀를 막고 하나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