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장난>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못된 장난 ㅣ 마음이 자라는 나무 22
브리기테 블로벨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사는 아파트단지의 뒤에는 고등학교가 있다. 그 옆에는 중학교가 있고 또 그 옆에는 우리아이가 다니는 초등학교가 있다. 내가 여기서 계속 살게 된다면 우리아이는 그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그 옆의 중학교에 들어가고 그 옆의 고등학교에 다니게 될 텐데, 그 중,고등학교 아이들을 보고 있자면 더럭 겁이 날 때가 많다. 아직은 너무나 순진한 초등1학년인 우리아이가 저렇게 험하게 말하고 거침없이 행동하는 아이들처럼 커버리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생겨서다. 우리아이는 아닐 거라고 마음을 다독여 보지만 부모가 모르는 어떤 상황에서 피해자가 될 수도 가해자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아이는 소심한 성격 탓에 남자보다는 여자아이들과 잘 어울리는 경우가 많아서 내심 그러다 왕따를 당하게 되는 건 아닌가 걱정한 적도 있다. 왕따라는 문제가 너무나 공공연하게 나타나 있고 거기다 사이버테러까지 가세해 그를 이겨내지 못하고 자살하는 경우를 뉴스에서 종종 보기도 한다. 문학이 세태를 반영하듯 요즘은 그런 내용을 주제로 하는 책들도 많이 나오고 있어 마음이 씁쓸하기도 하다. <못된 장난>이라는 제목의 이 책도 사이버 스토킹을 당한 열네 살 소녀가 죽음의 문턱에서 극적으로 살아나 자신의 이야기를 고백하며 펼치고 있는 성장소설이다.
주인공 스페트라나는 우크라이나에서 독일로 이주해온 이주민이다. 자신을 위해 힘들게 일하시는 부모님을 생각하며 열심히 공부해온 스페트라나는 장학금을 받으며 명문학교 에를렌호프 김나지움으로 전학을 가게 된다. 가공육상점에서 일하는 엄마와 화물 일을 하시는 아빠에게 그런 딸은 크나큰 자랑거리였지만, 그것이 스페트라나가 병들어 가는 출발점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던 것이다.
김나지움의 학생들은 처음부터 자신들과는 다른 스페트라나를 친구로 맞이하고 싶지 않았다. 스페트라나가 우크라이나 이주민인데다 허름한 옷을 입고 다니지만 공부는 잘해서 선생님들의 사랑과 칭찬을 독차지 하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거기다 자신들은 가정불화로 인하여 기숙학교에 버려졌다 생각하는데 스페트라나는 학교가 끝나면 부모님이 계시는 집으로 간다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언어로 시작한 폭력은 눈짓으로 행동으로 이어지다 결국은 핸드폰 문자폭력과 사이버폭력까지 이르게 된다. 똑똑하고 씩씩한 소녀 스페트라나가 처음에는 그런 친구들을 이겨 나가는 듯 보였지만 결국은 조금씩 조금씩 몸과 마음이 병들어 가게 된다. 그리고 그런 상황을 엄마가 속상해 할까봐 얘기하지 않고 혼자가 감당하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너무나 속이 상했다.
내가 스페트라나였다면 어떻게 했을까? 내가 스페트라나의 엄마였다면 어떻게 했을까?하며 별별 생각이 다 떠올랐다. 그도 저도 아니라면 선생님께라도 도움을 청했다면 이렇게까지 되지는 않았을 텐데 라는 아쉬움도 남는다. 처음에는 장난처럼 시작했을지 모르지만 이 정도의 결과를 가져오는 상황은 장난이 아니라 범죄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지금도 어딘가에서 이런 일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책을 읽는 내내 마음 한쪽이 무거웠다. 가해자인 김나지움의 학생들도 그들만의 아픔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 우리 아이들이 맑고 고운 마음으로 커갈 수 있도록 가정과 사회에서 좀 더 관심을 갖고 도와준다면 이런 일이 줄어 들 수 있을까? 아이들과 진실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