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을 위한 교회, 세이비어 이야기 ㅣ IVP 모던 클래식스 14
엘리자베스 오코너 지음, 전의우 옮김 / IVP / 2016년 10월
평점 :
[세상을 위한 교회, 세이비어 이야기](엘리자베스 오코너/전의우 옮김, IVP)
-다북다복 10th.
처음 읽을 때는 떠오르는 교회가 있어서 괴로웠다. 이 책의 말을 빌리면, 내적여정은 없고 외적여정만 있는 교회여서다. 뭐, 모르지. 그 교회에도 내적여정이 있는지도. 그런데 그 교회를 롤모델로 한 시스템을 따른 교회를 살펴보면, 내적여정을 강조하는 것 같지 않았다. 그리고 이 교회만큼 내적여정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 같지도 않았다.
책의 앞부분에는 내적여정과 외적여정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외적여정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갔기 때문에 계속 물음표가 생겼다. 외적여정만 있는 교회를 교회로 볼 수 있나? 그 물음에 대한 답은 책 끝에 있었다. 아, 이런 과정이 있었다면 인정.
교회의 문턱 이야기를 많이 한다. 교회의 문턱이 낮아질 필요는 있다. 그런데, 일주일에 한 번 겨우 다같이 모여 드리는 예배가 새로 오는 사람에 초점이 맞춰지는 걸 예배로 볼 수 있는지 늘 의문이었다. 그건 평일에 신앙생활 열심히 한 사람들에게나 가능한 일인데, 선데이 크리스천으로 사는 사람들의 비율이 많으면서 외적여정을 강조하면 그게 교회인지 사회복지시설인지, 그걸 예배라고 부를 수 있는지 늘 고민이었다. 낮아진 교회 문턱으로 새신자(제자를 삼았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아서)가 많이 늘었나 하면 그것도 아닌 것 같고, 기존 신자들의 신앙도 떨어지게 만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 원인을 이 책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사람들이 복음을 거부하는 까닭은 우리가 한 사람의 본질인 은사를 끌어내기보다 여태껏 사람들을 선하게 만들려 했고, 사람들이 각자 의무를 다하도록 독려하려 했으며, 사람들에게 새로운 짐을 지웠기 때문입니다.‘(76쪽) 외적여정(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도 의문이지만)에만 신경을 쓴 것이다. 선하게 만들기, 의무, 새로운 짐. 내적여정이 있으면 행동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는 것을 못 믿는 게 아닐까.
우리가 교회(the Church)로서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까닭은 내주하시는 교회의 주님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타인을 그분의 임재 속으로 불러들이지 못하는 까닭은 우리 자신이 그분의 임재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우리는 순간의 하나님(the moment God)과 함께 서 있는 대신, 수많은 길을 달려 내려온다.(125쪽)
하나님의 부르심을 자신의 내면의 목소리 듣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도 신선했다.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것, 그게 부르심이 된다는 것을 잊고 산 게 오래되어, 아니,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내 한 몸 건사할 수 있는 경제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 직업 선택 기준은 아이들 사랑하는 마음보다는 경제력이 우선이었다. 가르치는 게 좋았다는 부수적 이유도 있었지만, 지금도 아이들을 사랑하지 못하는 내가, 이 직업을 가지고 사는 것을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볼 수 있나 하는 생각을 한다. 기독교사대회에서 하나님이 부어주시는 은혜가 없었다면, 진작 도망가고도 남았을 거다. 독서모임에서 이 얘기를 했을 때, 내게 책임감이 있다고 해주셔서 위로가 됐었다.
한 가지, 내면의 목소리를 듣는 것과 성령님의 조명하심으로 깨닫는 것 사이에 차이가 있을 텐데, 많은 사람들이 내면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성령님의 조명하심으로 깨달았다고 할 때, 그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 때가 많다. 대표적인 게 내적치유고, 나는 이 부분을 아직도 잘 모르겠다.
우리가 사람들을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있는 모습 그대로의 사람들 곁에 있으면 된다. 우리 자신에 관해서도, 우리는 우리를 변화시키려는 사람들이 필요한 게 아니다. 우리를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 주고 곁에 있어 줄 사람들이 필요할 뿐이다. 은사는 이렇게 끌어내진다. 소통은 이렇게 이루어진다. 성령께서 만남의 공동체 안에 계시고, 그 공동체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신지 발견한다.(277쪽)
외적여정의 핵심이다. 내가 뭔가 해서 복음의 역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해야할 일을 했을 뿐이고, 무익한 종이다. 진짜 좋아하는 일은, 주변에서 아무리 고생한다고 말을 하더라도 고생하는 것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내가 좋아하는 일이기 때문이다(그게 나에게는 반주고, 독서모임이다.).
독서모임을 하면서 영적 지도자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영적 권위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건 당연한 말이겠고, 손수 겸손의 모범을 보이며 분별력을 가지고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고든 목사님이 대단해 보였다. 한 가지 궁금했던 건, 외적여정으로 프로젝트 사업을 벌이면서 그 사업이 실패인지, 노력이 필요할 때인지 어떻게 분별했을까 하는 점이다. 해마다 학급경영을 하며 새롭게 시도하는 것들이 있는데, 때로는 실패했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 해만 시도하고 그만둔 것들이, 아이들이 받아들이기에는 인상적이고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도 하는 것 같아서다. 눈에 띄는 결과물이 안 보이면 곧잘 실망하게 되는데, 사업의 유지 여부를 어떤 기준으로 판단했을지 궁금하다.
내가 생각하는 교회란 같은 신앙을 고백하는 공동체라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보니 수정이 조금 필요할 것 같다. 그 ‘같은 신앙‘이 어떤 신앙인가.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이 표현되는 신앙으로 성장하는 공동체였으면 좋겠다는 소망도 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