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을 훔친 화가 빈센트 반 고흐 그림으로 만난 세계의 미술가들 외국편 1
염명순 지음 / 미래엔아이세움 / 200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릴레이 책이라서 빨리 읽어야겠다는 생각에 대충 읽었다..;;

난 평소에 고흐에 대해서 안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 이유는, 고흐가 자살을 했기 때문이다. 그가 자살을 하도록 만든 환경이 있긴 했지만, 그의 색깔은 너무 어둡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 물론 잠시 밝은 적도 있었다. 그러나 네덜란드에서의 생활 동안 색깔이 너무 어두워서 싫었다. 그리고 자살하기 직전의 그림들도 색깔이 어두워짐을 느낄 수 있었다. 병원이라든지.. 요양소 안이라든지.. 자살 직전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에서도.. 우울함과 외로움이 너무 묻어나서 싫었다. 그만큼 그의 사상은 좀 특이했던 것 같다. 다른 사람과 부딪히는 것이 많을 만큼. 그러나 한편으로 그런 '다름' 때문에 사람들이 인정하지 않았고 사랑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런 그를 포용할 수 있는 사람이 단 다섯 명이라도 있었으면 그가 자살을 선택했을까. 아니.. 단 한 명이라도 그의 곁에 있어서 위로를 해주었다면.. 그는 그림에 너무 열정적이었다. 지나치게 열정적이었다. 아침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내내 그림만 그린다는 것..은 그림에 미치지 않고서야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 열정이 있는 것은 좋으나, 정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긴 그가 '임시 전도사' 시절을 할 때도 그렇긴 했다. 지금은 지나치다고 해고(?)하지는 않았을 것 같지만.. 그 시대에 내가 살았다면.. 나도 반 고흐를 그렇게 평했을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도.. 사실 반 고흐에 대해 좋은 감정은 들지 않는다. 내 머릿속에 반 고흐에 대해 안 좋은 이미지가 잔뜩 서려 있는 까닭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밝음을 좋아하는 내 성격상, 반 고흐의 어두운 필치는 나와 안 맞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어쨌든, 반 고흐의 환경을 더 잘 알게 된 것만은 틀림없다. 무엇이 반 고흐를 그렇게 만들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벨 박사님 즐거운 지식 (비룡소 청소년) 32
주디스 조지 지음, 서계순 옮김 / 비룡소 / 199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헬런 켈러에 관한 이야기였다. 유명한 발명가 벨과 헬렌 켈러가 그렇게 깊은 관계에 있는 사이인 줄 몰랐다. 벨에 대해 그동안 오해하고 있었던 부분을바로잡는 계기가 되었다. 벨이 농아인들에 대해 관심이 그렇게 많은지도 몰랐고.. 헬렌 켈러가 애니 설리번을 만나게 한 것도 벨이었다.

헬렌 켈러의 일생을 다루고 있긴 하지만, 벨의 일생도 함께 다루고 있다. 그만큼 헬렌 켈러와 벨이 관련이 많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벨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하이타니 겐지로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양철북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한 번에 다 읽은 책. 정말 재미있었다. 교사라면, 예비교사라면 읽어볼 만한 책이었다. 작가의 책답게 글쓰기 교육에 관한 글이 있었다. 그 부분을 읽었을 때 정말 신선했다. 나도 그렇게 글쓰기 교육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 일었다. 내가 학교에서 하는 교육은 왕 딱딱이기에 아이들이 지루해 하는 것 같기도 하다. 어떻게 하면 깨는 수업을 할 수 있을 것인가..가 내 평소 생각인데, 글쓰기에 있어서만큼은 이 작가의 수업 방법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나도 일단 진도부터 나가고 시간 남으면 좀 해야겠다;;).

사실 이 책의 초점은 거기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건 부차적인 것이고, 고다니 선생님과 데쯔오의 관계에 있어서 작가가 비중을 더 두고 있는 것 같다. 보통 특수아동이라 하면 선생님들이 기피하기 마련이다. 사실 나도 그랬다. 작년에 초임인데다 말이 전혀 통하지 않는ㅠㅠ 아이를 맡으려니 너무 힘들었다. 게다가 40명 가량의 아이들, 나하고 맞지 않는 것 같은 2학년들. 산만한 덩치와 산만한 분위기를 감당해낼 자신이 없었고, 그건 1년을 이어갔다. 특수아 한 명. 그 아이에게 관심을 많이 쏟을 수 없었다. 그 아이가 더 힘들게 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나는 어쩌면 아이들을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편견을 가지고 세상을 본다는 것은 정말 두려운 일이다. 색안경. 사실 내가 문제아라고 보는 아이들은 소외된 아이들이다. 우리반에도 몇 명 있다. 그러나.. 더 파고 들어야 할 아이들임을 안다. 어떻게 다가가는 것이 좋은 방법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편지 1 - 원시 사회부터 통일 신라와 발해까지 12살부터 읽는 책과함께 역사편지
박은봉 지음 / 웅진주니어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사 편지2]에서 감동(?)한 나머지 [한국사 편지1]도 괜찮을 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밖으로 조금은 지루한 감이 있었다. 나는 역시나 역사를 좋아하는 모양이다. 정확하지 않은 건(사람이 쓴 역사는 정확하지 않은 거겠지만;;)-구석기, 신석기 이런 걸 말한다;;- 정말 지루했다. 뒤에 책장을 좀 넘겨서야 그나마 술술 읽히긴 했다(그런데 이거 다 시간 내로 읽는다고 고생 좀 했다;;). 뭔가 내가 잘못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이 또 있었나 하는 생각에서 책을 끝까지 읽어야겠다는 의지를 계속 불태웠던 것 같다. 뭐.. 나름 읽을 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다 큰 어른이 읽는 아이들 책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편지 2 - 후삼국 시대에서 고려 시대까지
박은봉 지음 / 웅진주니어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빌 아저씨의 과학 교실] 책 보고는 아연실색, 정말 읽기 싫었기 때문에 이 책도 그러면 어쩌나 하고 걱정을 했다. 그러나 걱정과는 달리 술술 읽어 내려갔다. 그건 아마 내가 국사를 좋아하고 과학을 싫어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아마 국사나 과학이나 다 싫어하는 아이들은 이 책도 싫어할 것 같은 생각도 좀 든다.ㅡ_ㅡ;;(편지 형식이긴 하지만 말이다..)

어쨌든, 이 책에서는 후삼국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를 다루고 있는데 고등학교 국사 시간에 배운 내용이 많이 나왔다. 새록새록 떠오르는 이 기억들^^ㅋ 그런데 6학년이 읽기에는 조금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중학생 수준이면 적당할 것 같다. 6학년도 수준 있는 6학년이면 좀 괜찮으려나ㅡ_ㅡ;;

아무튼, 내가 잘못 알고 있었던 이야기들도 바로잡을 수 있게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을 근거로 이 책을 지은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이거 한 번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