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추석 연휴를 이 책과 보냈나 보다.
2026년 말띠의 해에는 이런 소비 트렌드가 될 거란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트렌드 코리아.
처음 읽었을 땐 와~ 재미있고 내가 잘 모르는 것들이 많아서 나만 트렌드에 뒤처지는 건가 싶긴 했었다.

#옴니보어, #아보하, #토핑경제, #페이스테크, #무해력, #그라데이션K, #물성매력, #기후감수성, #공진화전략, #원포인트업
2025의 트렌트를 예견한 10개의 키워드는 글쎄... 맞는 것도 같고, 아닌 것도 같고. ㅋ
맞다기 보다 끼워 맞춘다는 느낌이 더 많이 들었다.
2~3년 뒤에 보면 그래, 맞네! 할지도 모르겠다만.
특히 '아보하'는 많이 와닿았던 부분인데 올해 이 단어를 쓰는 매체나 주변인을 하나도 보지 못했다는 거. ㅋ

#휴먼인더루프, #필코노미, #제로클릭, #레디코어, #AX조직, #픽셀라이프, #프라이스디코딩, #건강지능, #HQ, #1.5가구, #근본이즘
10개의 키워드로 정의한 트렌트 코리아 2026도 역시 예견인가, 트렌트를 선도하려는 것인가, 작년과 같은 느낌이다.

트렌드가 없는 것이 트렌드라며 10개나 되는 키워드로 트렌드를 설명하는 건 뭐지? ㅎㅎ
PPL이 많다고 느꼈던 작년에 비해서는 올해는 많이 느끼지 못했다. 그만큼 휘리릭 넘겨서이기도 싶지만.
그래서 올해는 밑줄 긋기 한 부분이 별로 없네.
그럼에도 트렌드 코리아 2027도 읽어볼 생각이다.

작년에 이 책을 읽고 삘받아서 종이 다이어리를 써보겠다고 사놓고 그대로 시간이 흘러버렸다.

이젠 그런 결심은 그만!
대신 매일 감사일기를 쓰고 있는데 나도 모르게 트렌드를 따라가는 건가?
'텍스트힙', '라이팅힙'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그게 요즘 SNS에서 힙한 거였어?
러닝이 요즘 대세란 건 여러 매체를 통해 알고 있었는데 '땀맹'이란 표현도 처음 들었다.
헌데 라이딩을 하고 있어서인지 그 표현이 확 와닿네.
2025 나의 키워드, 라이딩 땀맹
땀 흘리며 쌓인 전우애 같은 것 때문에 다른 모임보다 더 끈끈한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0929.

넷플릭스를 왜 보냐, 성해나 책 보면 되는데.

특별히 밑줄 그을만한 맘에 드는 문장은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꽤 재미있긴 했다.

단편집이라 끊어 읽기 편했다.

모처럼 편하게 읽은 책이다.

몰입감에 있어서는 표제작 '혼모노'도 좋았지만 남영동이 생각나는 '구의 집'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음...

그래도 난 넷플릭스도 볼 건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저축을 권장하고 부채는 기피하지만 저축이 가능한 건 누군가가 그 돈을 빌려가기 때문이다. 부채나 빚이 없으면 저축도 불가능하다. (...) 그러니 경제가 활발하게 돌아가려면 누군가가 끊임없이 대출을받아서 우리 사회에 필요한 돈의 유동성을 계속 공급해 줘야 한다. 빚이라는 존재의 실체, 그동안 어두운 면만 비춰 왔던 그 진짜 얼굴을 되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 P172

부채는 결국 ‘시간을 사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먼 미래에 해야 할 투자를 빚을 이용해서 오늘부터 하는 것이다. 
- P186

빚은 기본적으로 나쁜 것이지만 신중하게 쓰면 괜찮을 수도 있는 게 아니라, 빚은 기본적으로 좋은 것이거나 필수적인 것이다. 하지만 조심해야 될 분야가 있다고 생각을 조금 옮겨가는 게 필요하다.
- P190

빚은 규모 그 자체만으로 위험함을 판단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고소득자들은 전체소득에서 약 37%를 차지하고 있는데, 전체 부채에서 이들 상위 20%가 차지하는 비율은 무려 53%나 된다. 우리나라 가계 부채의 대부분은 상위 20% 고소득자들이 지고 있다는 의미다. 
(...)
그러나 바꿔 말하면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는 대부분 고소득층이 주택이라는 자산을 담보로 차입한 것이어서 대출 상환에 문제가 생기거나 대출로 인한 가처분소득 감소, 그리고 그로 인한 소비 위축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
요약하면 가계 부채는 그 규모 자체보다 누가 그 부채를 짊어지고 있느냐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진다. 
- P193

가계 부채와 관련해 생각해 볼 문제는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기금이 약 1,000조 원쯤 쌓여 있다는 사실이다. 
(...)
우리나라 국민들이 1,000조 원을 국민연금이라는 주머니에 따로쌓아두지 않았다면 국민들의 금융자산은 지금보다 1,000조원정도 더 많을 것이다. 
(...)
물론 국민연금 기금을 운영하는 나라는 일본, 호주 등 여러 나라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쌓아 놓은 1,000조 원의 국민연금 기금은 그 절대 규모만으로도 일본,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3위 규모이고 GDP 대비로 계산하면 단연 세계 1위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GDP 대비 세계 4위가 된 배경에는 GDP 대비 세계 1위 규모로 쌓아 놓은 미래를 위한 금융자산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앞서 언급한 가계 금융자산과는 별도의 돈이다.
또 하나 살펴봐야 할 것은 우리나라 주택임대사업의 특성이다.
우리나라는 외국과는 다르게 임대업자의 80%가 일반 개인이다.
- P197

우리나라는 외국과는 다르게 임대업자의 80%가 일반 개인이다.
(...)
개인이든 국가든 기업이든 임대업을 하기 위해서는 은행에서 대출받아 주택을 매입하는 것은 모두 비슷하다. 따라서 주택임대업을 개인이 하지 않고 국가가 하게 되면 국가가 어딘가에서 돈을 빌려와야 하므로 국가 부채가 늘어나게 되고, 기업이 그 일을 하게 되면 기업 부채가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개인이 주택임대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가계 부채가 늘어난 것이다. (...) 이것은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가 대부분 주택이라는 안전한 담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그러므로 상황이 다른 외국의 가계 부채와 그 규모를 일대일로 비교하는 것이 가계 부채의 실제 문제를 파악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논증한다.
- P198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비교적 적은 국가 부채를 갖고 있었던 이유는 사회복지제도가 부실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사회복지제도의 혜택을 받을 노인인구 비중이 낮았기 때문에 생긴 결과일 수도 있다.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다주택자들이 집값을 올린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는 구간에서는 다주택자들은 집을 추가로 매입하지 않는다. 대부분 무주택자가 집값이 더 오를까 봐 공포를 느끼며 신고가에 매입한다. 다주택자들은 오히려 집값이 내리는 시기에 멀리 내다보고 집을 구매하며, 가파르게 집값이 오르는 시기에는 차익을 현실화하기 위해 집을 내다 판다.
다주택자들이 없으면 집값이 오르는 시기에 매물이 자취를 감춘다. 무주택자는 집이 없으니 팔지 못하고, 1주택자는 집을 팔아도 다시 사야 하니 수급 균형에 도움이 안 된다. 다주택자들의 차익 매물이 있어야 집값이 오르는 구간에서도 매물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전 세계의 어떤 선진국도 다주택자들만을 별도로 압박하는 정책을 펴지 않는 건 이런 원리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
집을 매수하거나, 보유하거나, 빌려주는 사람들을 부담스럽고 고통스럽게 만드는 모든 정책은 그 이름이 임대차보호법이든, 보유세 강화이든, 대출 규제이든 항상 집값을 올리는 쪽으로 작동한다. 그래서 부동산 가격이 올라서 고민이 깊은 수많은 국가에서는집값 안정을 위해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편다. 임대사업자의 세금부담을 줄이거나, 집을 짓는 건설업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부동산 정책의 대부분이다. 세금과 규제로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는 것은 전례도 없고, 합리적으로 생각해도 작동되기 어려운 정책들이다. 다만 매우 단기적으로는 그로 인해 수요가 위축돼서 집값이 잡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그러나 그런 수요는 다이어트의 요요현상처럼 곧 다시 고개를 쳐들고 살아나기 마련이다.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어렵지만 공급을 꾸준히 늘리는 것밖에는 없으며, 그 이외의 모든 정책은 장기적으로는 공급을 부족하게 만든다. 
- P14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5-10-20 05: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집값 상승을 다주택자에게로 탓을 돌리는 건 순전히 정치권의 몰상식한 사이비 정치인들의 선동 정치에 의한 마녀 사냥인 거지요. 경제학의 기본원리인 수요와 공급이라는 기본적인 지식도 갖추지 못하고 입만 털고 있는 이런 사이비들이 정치권에서 퇴출되어야 미래세대들의 밝은 내일이 찾아옵니다.
 

주가는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사람들의 심리를 반영한 결과일 뿐이다. 경기가 좋아도 어떤 이유로 사람들이 불안해하기 시작하면 주가는 내린다. 경기는 나쁘지만 이미 주가도 많이 내려서 더 이상 내릴 여지가 작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경제지표가 나쁜 한밤중이지만 용기 있게 주식을 사들이기도 한다.
(...)
주식투자에서 늘 참인 명제는 주가는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는것뿐이다. 여기서 말하는 주가는 특정 종목의 가격이 아니라 주식시장 전체의 가치를 의미한다. 특정 종목의 주가는 수십 년간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하락한다. 100년 가는 기업은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목표는 주식을 사서 최대한 길게 보유하는 것이다.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