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라면 그들처럼 - 아이를 1% 인재로 키운 평범한 부모들의 특별한 교육법
김민태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2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23/pimg_7960121631869238.jpg)
EBS <아이의 사생활>로 자녀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꾼 김민태 PD의 책 <부모라면 그들처럼>. <아이의 사생활>로 자존감이라는 육아 키워드를 널리 퍼뜨렸다면 이번에는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잠재력에 초점 맞췄습니다.
대부분의 부모는 훌륭하거나 부족하거나 그 중간 어딘가에 존재하며 오갑니다. 김민태 저자는 성공한 사람들의 부모에게는 어떤 훌륭한 점이 있었을까라는 해답을 위해 전 세계 수백 명의 인물을 리서치했다고 합니다. 이 정도만이라면 다른 책과 별반 다를 바 없겠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23/pimg_7960121631869240.jpg)
김민태 저자는 부모가 '나는 아이를 이렇게 키웠다' 대신 성공한 자녀가 직접 밝히는 감사의 이유에 집중했습니다. 숨은 재능을 일깨운 부모와 자식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겁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23/pimg_7960121631869241.jpg)
이 책은 재능의 정의를 다시 일깨웁니다. 천재 신화를 깨뜨립니다. 타고난 능력 대신 변화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 재능, 즉 잠재력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평범한 사람과 비범한 사람의 차이는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인 재능을 키워내느냐, 그렇지 못하냐에 달려있었습니다. <부모라면 그들처럼>은 아이만의 잠재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는 부모의 올바른 자세를 짚어줍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23/pimg_7960121631869242.jpg)
현대 동기 이론 중 가장 폭넓은 지지를 받는 에드워드 데시의 자기결정성 이론. 자기가 결정한 것이 어떤 동기보다 더 강력하다는 겁니다. 매슬로의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인간의 욕구를 알면 부모의 길이 보입니다.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말하는 세 가지 심리적 욕구는 유능성 욕구, 자율성 욕구, 관계성 욕구입니다. 마음의 3대 영양소라고 부릅니다.
어제보다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인 유능성 욕구는 결과보다 과정을 더 지향합니다.
자기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려는 자율성 욕구는 내적 동기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아이의 발달은 부모가 이끌어가는 게 아니라 부모의 도움을 받아 주도적으로 해내는 겁니다. 자율성을 높이려면 사소한 간섭 대신 선택의 기회를 자주 줘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남들과 친밀감을 유지하려는 관계성 욕구는 자신을 믿어주는,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욕구 세 가지 심리적 욕구를 활용하면 목표 도전하고 성공하는데 유리해질 거라고 합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0323/pimg_7960121631869243.jpg)
제가 잘 된 것은 다 부모님 덕분이에요."라고 말한 성공한 사람들.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 빌 게이츠, 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 제인 구달, 소설가 스티븐 킹 등 해외 인사들 외에도 게임 크리에이터 양띵, 한국인 최초 맨부커상 수상 작가 한강 등 한국인 사례까지 두루 소개하고 있습니다.
자녀 교육에 정답은 없지만 원칙은 있다는 걸 짚어준 <부모라면 그들처럼>.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부모는 아이의 잠재력을 일깨울 수도 욕구를 꺾어버릴 수도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