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찾아서 - 바로크 음악의 걸작을 따라서 떠나는 여행
에릭 시블린 지음, 정지현 옮김, 장혜리 감수 / 21세기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음악 문맹인 저도 흥미진진하게 읽은 책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찾아서>. 클래식 마니아는 물론 바흐 세계에 입문하는 자 혹은 특이한 주제를 파고들어가는 저널리스트의 책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흡족하게 읽을만한 책입니다.

 

바흐 곡은 공부에 도움 되고 뇌를 튜닝한다며 여하튼 좋은 곡이라는 정도로만 알고 있는 수준이라 과연 이 책을 읽어내려갈 수 있을까 걱정되었지만, 저자 역시 바흐 전문가는 아니었던 터라 이 책을 따라가는데 문제 될 건 없었습니다.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총 6개로 저마다 프렐류드부터 지그까지 6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첼리스트 양성원 연주 1분 미리 듣기 QR코드가 있으니 어떤 분위기의 곡인지 짧게나마 들어볼 수 있습니다.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200년 가까이 소수의 음악가와 바흐 전문 학자들에게 테크닉 연습곡 모음으로만 인식되었다고 합니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계기는 20세기 초 첼로 거장 카잘스가 13살 때 중고 악기점에서 필사 악보를 연구한 후 명작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거장 카잘스도 악보 입수 후 12년간 매일 연습한 뒤에야 비로소 사람들 앞에서 연주할 용기를 얻었을 정도라니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 얼마나 어려운지 짐작하게 합니다. 바흐가 손으로 그린 원본 악보인 매뉴스크립트가 없다는 것도 한몫합니다. 템포, 강약, 보잉, 연주 스타일, 다양한 장식음 등 기보법이 존재하지 않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첼리스트의 해석에 따라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건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685~1750). 바로크 거장으로 알려진 바흐는 살아생전 유명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모차르트, 베토벤에 비해 개인사가 별로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기도 합니다. 음악가 집안의 막내로 태어난 바흐는 학업보다 직업 음악가의 길을 걸었습니다. 학력이 뛰어나지 못하다는 불리한 점을 인식한 바흐는 아들들에게는 최상의 교육을 시켜 음악가의 길을 걷게 합니다.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찾아서>는 바흐의 생애를 따라가며 이 곡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진실을 찾아갑니다. 바흐가 살던 곳, 만났던 이들, 그 시대의 음악사와 정치사 등을 총망라하며 단서를 따라갑니다. 지금 보면 민망스러울 정도의 아부 발언쯤은 거뜬히 하는 그 시대의 일상적인 모습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전국마다 맨 앞에 붙어 이야기의 정수가 압축된 1악장 프렐류드, 춤곡 2악장 알망드, 경쾌하고 활기찬 3악장 쿠랑트, 정신적 기둥인 4악장 사라반드, 인기 있는 춤곡들이 모인 5악장 가보트, 경쾌한 마침표의 6악장 지그.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찾아서>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6곡을 6악장 구성에 따라 이 곡을 만든 바흐의 생애, 이 곡을 유명하게 만든 카잘스의 생애 그리고 이 곡에 담긴 미스터리를 밝혀내려는 에릭 시블린 저자의 여정을 번갈아가며 진행합니다.

 

 

 

스페인 카탈루냐 출신의 유명 첼리스트 카잘스. 그가 입수한 악보는 바흐의 아내 안나 막달레나 바흐가 필사한 버전이었습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솔로 비올론첼로를 위한 6개의 소나타 또는 모음곡'이란 제목으로 말이죠. 어린 나이에 첼로 명연주자로 자리매김하며 스페인 왕실의 붙박이 같은 존재가 되었지만 정작 그는 왕실 분위기와 가식을 싫어해 정치적으로 충돌하게 됩니다. 왕실의 애국주의 도구가 되는 대신 전문 첼리스트의 길을 갑니다. 스페인의 정치적 상황이 어려워지면서 국제적인 커리어를 시작했는데 이후 세계적인 첼리스트로 거듭나게 됩니다.

 

인간의 목소리와 가장 닮은 악기라는 첼로. 바흐가 살던 시기의 첼로는 주류 악기들에게 천대받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런데 첼로만을 위한 모음곡이라니. 바흐의 원본 악보인 매뉴스크립트의 행방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과연 이 곡이 첼로를 위한 모음곡인지조차 의문스럽습니다. 마지막 6번은 다섯 줄 악기를 위한 곡이었기에 더더욱 미스터리합니다. 바흐 사후에 사라진 비올라와 비슷한 '비올론첼로 피콜로' 악기가 네 줄과 다섯 줄 버전이 있기에 그 악기를 위한 곡은 아니었을지. 미스터리는 더해갑니다.

 

무반주이면서도 바흐의 특기인 화성을 펼쳐야 하는 곡. 연주자가 숨을 곳은 아무 데도 없어 첼리스트들에게 에베레스트산 같은 존재인 『무반주 첼로 모음곡』. 알려지지 않은 이 곡을 참고할 만한 첼리스트와 음반 없이 스스로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첼리스트 카잘스의 위대함이 더욱 돋보입니다.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얽힌 이야기에는 2차 세계대전 중 도서관 사서들이 온 힘을 다해 역사적 자료들을 숨겼던 배경이 더해져 결국 어딘가에 여전히 숨겨져 있을지는 모를 일입니다. 하지만 산성 성분이 강한 잉크로 쓰인 바흐의 악보는 이제 나타나더라도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니 마음이 아프긴 합니다.

 

모차르트, 멘델스존, 슈만 등 거장들의 편곡은 물론이고 20세기 재즈, 로큰롤 버전 등 바흐의 음악에 내재된 가능성은 폭발적입니다. 시대에 따라 바흐 음악은 새로운 상상이 입혀져 변형되었습니다. 이번 기회에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연주한 영상을 유튜브로 찾아봤는데 첼리스트의 해석이 확실히 다양한 곡이라는 걸 음악 문맹인 저도 눈치챌 정도였어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원본 악보의 진실을 찾아가는 저널리스트 에릭 시블린 저자의 행보 덕분에 바흐와 카잘스의 생애를 쭉 살펴볼 수 있었어요. 유명 첼리스트들과 바흐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는 물론 바로크 시대 음악 이야기까지 배울 수 있어 풍성한 음악 여행을 마친 기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