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의 정원 - 좌우를 넘어 새 시대를 여는 시민 교과서
에릭 리우.닉 하나우어 지음, 김문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좌우를 넘어 새 시대를 여는 시민 교과서 <민주주의의 정원>. 경제와 정치 이야기를 어려워했던 분이라면 에릭 리우, 닉 하나우어 저자가 경제와 정치를 정원으로 묘사해 설명하는 이 책 추천해드려요. 청소년들도 읽을만한 책입니다.

 

<민주주의 정원>은 경제와 정치를 여러 가지 변화가 조합된 복잡 적응 시스템인 정원으로 표현합니다. 정원의 생태계를 가꾸는 정원사는 바로 시민입니다.

 

 

 

우리는 그동안 고리타분한 이데올로기에서 제한적인 선택만 해왔습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중도를 지향하는 것은 아닙니다. 편협한 선택, 오래된 패러다임, 제로섬 승부 등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정치와 경제가 정확히 어떻게 돌아가는지 세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과 그에 맞는 새로운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민주주의의 정원>은 능력 있는 정원사가 되려면 어떻게 관점을 바꿔야 하는지 보여주는 책입니다.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관점은 기계형 지성이라 부르고, <민주주의의 정원>에서 제안하는 관점은 정원형 지성으로 구분합니다. 생각, 행동, 인식 면에서 어떻게 차이 나는지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들어맞았던 것들이 이제는 통하지 않는데, 우리는 여전히 과거 패러다임에 갇혀 생각합니다. 예전 세계관과 오늘날을 비교해 설명하면서 인간행동의 추진력이 되는 사익에 관한 개념부터 바꿔버립니다. 이제는 진정한 사익은 공동의 이익이라는 것을요.

 

 

 

경제는 완벽하고 스스로 교정이 가능한 기계가 아니라는 걸 이제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경제도 하나의 정원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부에 대한 생각, 시장에 대한 생각 등을 기계형 지성과 정원형 지성 간에 비교해보면 우리가 변화해야 할 관점이 어떤 것인지 선명하게 다가옵니다.

 

부의 편중은 사회 전체를 병들게 합니다. 부유한 자본가로부터 보통의 시민들을 향해 물 흐르듯 흘러가는 개념은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는 걸 우리는 극단적인 소득 불평등 세계를 맞이하며 실감하고 있습니다. 부자들이 왜 지금 이 순간 세금을 조금 더 내는 편이 결과적으로 좋은 투자인지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부 담론에 관해서도 큰 정부냐 작은 정부냐의 논쟁보다는 목표 설정과 달성 방식을 구분해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정부는 우리가 각자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가 만들어낸 존재입니다. 정부는 그들이 아닌 '우리'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정치, 경제, 시민의식 등 민주주의 사회를 지탱하는 방식을 이해하게 되면 이런 의문이 남습니다. '나 한 사람만 바뀐다고 이 세계가 바뀔까?'. 결국 나 몰라라 손 놓고, 내가 할 일이 아니라며 미루는 이런 사고방식 자체가 과거의 패러다임에 갇히면 나오는 생각이라는 걸 <민주주의의 정원>을 읽고서야 깨달았습니다.

 

이 책에서는 전염학적 관점으로 해결합니다. 사회적 네트워크 속에서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큽니다. 촛불시위를 통해 정권교체를 이룬 최근 우리 사회를 보면 가능한 일이라는 걸 느낍니다. 모방의 사슬이 되는 인간 행동은 결국 이 사회가 내가 행동하는 대로 만들어질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은 일상의 아주 작은 리더십이라는 책임감을 가졌을 때 발휘합니다.

 

우리가 행동하는 대로 사회가 만들어지는 것처럼 사고하라는 게 <민주주의의 정원>이 말하고자 하는 바입니다. 정원사는 정원을 절대 내버려 두지 않습니다. 자연을 '만드는'것도 아닙니다. 대신 '가꾸는'겁니다. 이건 자신의 적극적인 손길에 달려 있습니다.

 

세상을 이해하고 행동하는 새로운 방식은 좌파, 우파, 중도로 나뉘는 게 아니라 보수적일 때도, 진보적일 때도 있습니다. 우리는 사익을 추구하는 개인이 아닌 상호의존적인 사회적 인간입니다. 상호의존, 상호협력, 상호이익을 인지해 건강한 공동체와 사회를 위해 진정한 시민의식이 필요합니다.

 

우리 손으로 이 세계를 돌보는 방법을 보여준 <민주주의의 정원>. 사회는 당신이 행동하는 대로 만들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