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젊은 부자들 - 무일푼에서 100억 원대 회사 만든 61인의 현재 진행형 성공기
이신영 지음 / 메이븐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공하는 사람은 뭐가 다를까요.

돈, 경험, 기술, 학벌이 빵빵해야 할까요. 이런 고정관념을 확 깨뜨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국의 젊은 부자들>에 소개된 사람들은 출발점이 특별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해 성공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기업가들을 인터뷰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왜 이런 사람들이 나오지 않을까 의문을 품었다는 조선일보 경제부 기자 이신영 저자. 네이버 JOB& 기사를 위해 한국의 젊은 부자 100여 명을 만난 후 고정관념은 깨졌습니다. 특출난 스펙이 아닌데도 성공한 비결은 무엇인지 젊은 부자들의 창업 스토리와 성공 비결을 소개한 <한국의 젊은 부자들>에서 확인해보세요.

 

 

 

이들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결국 성공 창업의 결정적 요소는 우리가 평소 생각했던 것과는 달랐습니다. 우리는 보통 젊은 창업자가 성공할 만한 일이라 하면 주로 IT 분야부터 생각하게 되는데, 책에 등장한 젊은 부자들의 업종은 무척 다양했습니다. 첨단이든 전통이든 가리지 않고 말이죠.

 

스펙은 어떨까요. 중졸에서부터 해외 대학원생까지 출신학교도 다양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그 어렵다는 시기에 대부분 시작했고, 사업이 정상 궤도에 돌입하기까지 최소 2년에서 평균 5~6년 정도 걸렸다고 합니다. 그동안 숱한 실패를 했고, 이들의 성공은 현재 진행형일 뿐입니다. 지금의 성공 역시 더 큰 꿈을 이루기 위한 과정일 뿐이라는 사고방식이 공통적이었어요.

 

 

 

이 책을 보면서 이토록 젊지만 쟁쟁한 업체가 많았구나 새삼 놀랐어요. 기사로 접했던 곳도 있고, 제가 이용하는 곳도 있지만 대체로 낯선 업체가 많긴 했습니다. 헬스케어 분야 토종 스타트업이 미국 정부의 대규모 사업을 따낼 정도로 글로벌 행진을 하는 곳도 있었고요.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스베누 몰락 사태. 출혈 마케팅과 불량으로 3년 만에 대박 신화와 몰락을 겪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젊은 부자들>의 젊은 부자들로부터 그들이 가진 가치와 철학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게 중요했습니다. '돈만 추종하지 않는 삶'을 살아야 진정한 성공이 따라온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자투리 원단을 이용해 옷을 만든다는 발상으로 비용 절감에 성공한 SYJ, 모두가 망할 거라며 반대하는 아이템으로 성공 신화를 세운 제이준, 스크래치펜 나이트뷰를 만든 공대생의 라고디자인, 열등감을 기회로 만들어 탈모샴푸를 개발한 휴메이저. 정리해고 이후 취미생활하다 뒤늦게 재능 발견한 마망갸또 등 남들이 다 가는 길, 스펙 경쟁에 매몰되지 않고 창업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한 젊은 부자들. 접근 방식을 다르게, 단점을 성공을 위한 기회로 삼는, 코뿔소처럼 나아가는 정신력이 대단한 사람들이었어요.

 

 

 

<한국의 젊은 부자들>에서 들려주는 생각법, 창업기, 성공 비결, 실패 극복법까지 61인의 현재 진행형 성공기는 용기와 에너지를 줍니다. 저자는 말합니다. 이들처럼 하라는 게 아니라고. 그들이 보여준 가능성에 집중하라고 합니다. 다음 젊은 부자는 당신 차례일 수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