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력 - 사람을 얻는 힘
다사카 히로시 지음, 장은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 <인간력>. 인간의 됨됨이, 인간으로서의 궁극적 역량을 뜻하는 인간력은 사회생활에서 진가를 발휘합니다. 인간력이 높은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실수나 잘못을 해도 크게 밉지 않다는 공통점을 가졌죠. 타인에 대한 호불호가 심한 사람, 순간적인 감정에 휘둘리는 사람, 마음속 작은 자아가 강한 사람은 인간관계가 서툴다고 합니다. (뜨끔뜨끔)
인간에게 무결점의 상태란 불가능하다는 것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무의식중에 우리는 자기 자신에게 잘못도 결점도 없는 상태를 원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그동안 관계에 관한 노력을 나름 한다고 했지만, 정작 닥치는 상황에선 왜 그렇게도 실천이 힘든지. 다사카 히로시 저자는 인간관계의 지혜를 실천하는데 방해되는 몇 가지를 짚어주고, 인간력을 기를 수 있는 7가지 마음습관 실천법을 알려줍니다.
그런데 상대방이 마음을 열어주지 않는다면? 체면이나 얕보이고 싶지 않아 애초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마음을 열어 사과하고 싶은 기분이 들지 않는다면? 아무래도 좋아지지 않는 사람이라면? <인간력>에서 말하는 마음습관은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을 고치려 들지 않고 (그럴 수도 없지만), 상대방에게 휘둘리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가능한 일들입니다.
사람을 얻는 마음습관 실천법 7가지
1. 자신이 미숙한 존재임을 인정한다.
2. 먼저 말을 걸고 눈을 맞춘다.
3. 마음속 작은 자아를 객관적으로 바라본다.
4. 상대방의 결점을 개성으로 볼 줄 안다.
5. 말의 두려움을 알고 말의 힘을 살린다.
6. 멀어져도 영원히 인연을 끊지 않는다.
7. 악연의 의미를 깊이 생각한다.
이 중 어떤 것이 가장 힘든지는 저마다 다를 테죠. 개인적으로 6, 7번은 특히 실천하기 힘든 (아니, 실천하고 싶지 않은?) 것인데, 이 책 읽으며 마음을 다독여봅니다.
유연한 마음을 가지는 게 인간력을 높이는 마음습관의 핵심입니다. 결점이 없는 사람이 되려 하고, 결점이 없는 사람이라 믿으며, 결점이 없는 사람처럼 행동하려 하는 우리들. 먼저 완벽이라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저자가 인간력에 대해 크게 깨우친 계기는 학창 시절 교수님에게 들은 "자네는 붙임성이 없어."라는 한 마디였다고 합니다. 충돌 후 먼저 말 거는 마음수행이 필요합니다. 사과는 내가 하는 게 늘 옳다는 생각을 해야 한대요. 그러려면 마음속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태도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잘못이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의미가 있지만 속내는 자신이 미숙한 존재임을 인정하는 걸 의미합니다.
자신감과 자만심은 한 끗 차이일 뿐. 내면의 진짜 자신감이 있어야 겸허함이 드러납니다. 반대로도 가능합니다. 겸허함 수행이 바로 자신의 잘못 인정하기입니다. 책임 전가하지 말라는 겁니다. 자신의 잘못, 결점, 미숙함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하나하나 극복하면서 성장해가려는 자세야말로 진짜 겸허함입니다.
싫은 건 죽어도 싫다는 말을 하는 사람이라면 적어도 좋아하기 위해 죽을 만큼 노력은 해봤는지 묻습니다. 상대를 좋아하도록 노력하는 것은 인간관계를 대처하는 중요한 마음습관 중 하나입니다. 결점은 존재하지 않고 개성만이 존재한다는 것, 싫어하는 사람은 사실 자신과 닮았다는 것, 공감이란 상대의 모습을 자기 모습처럼 생각하는 것이라는 것, 상대의 마음에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만으로도 관계는 좋아진다는 것, 상대를 좋아하게 되는 것은 최고의 선물이라는 시점을 가져야 한다고 합니다.
말이 씨가 된다고 하듯 말과 마음의 관계는 밀접합니다. 혐오의 말을 하면 더 싫어지고, 호감의 말을 하면 좋아질 여지가 있습니다. 말을 함으로써 마음이 움직이는 원리죠. 그렇게 호감을 가지게 되면 말 외에 표정, 행동, 태도, 분위기 등으로도 전해지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실수를 덜하게 됩니다.
언제든 누구와도 화해할 수 있는 사람이 현명하다는 건 심리 책에서도 줄곧 접했던 말이지만 실천이 정말 힘든 부분이기도 했어요. 용서, 화해... 저는 인간관계에서 이 부분이 너무 힘들거든요. 불화와 불신, 미움과 반발, 대립과 충돌이 생겼을 때 화해의 여지를 남겨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우리는 언제 어디서건 타인과 부딪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관계가 서툰 사람은 타인과 부딪친 다음 화해하지 못하고, 화해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화해의 여지를 남기는 지혜와 함께 유연한 마음을 믿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내가 먼저 마음을 닿지 않으면 됩니다. 화해는 결국 자기 자신과의 화해인 셈입니다.
악연이 나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흥미로웠는데요. 만남의 의미를 깊이 생각해보게 합니다. 왜 내 인생에서 그 사람을 만난 것일까라는 생각 대신, 인생에서 타인과의 만남은 모두 자신이라는 인간의 성장을 위해 주어진 거라는 믿음을 가지라고 하는군요.
이 사람과의 만남, 이 괴로운 경험은 어떤 성장을 위한 것인지. 그 만남과 정면으로 마주하라고 합니다. 의미와 가치를 회피하지 말고요. 인간관계에 문제에 생겼을 땐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를 묻지 말고, 왜 이런 문제가 일어났을까 시점에서 생각하라고 합니다. 모든 것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니까요.
인간관계가 서툰 사람이란 타인과 부딪치는 사람이 아니다.
타인과 부딪친 다음 화해하지 못하는 사람이며,
타인과 부딪친 다음 화해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 사람이다.
고전을 읽고 수행한다 해서 저절로 해결되진 않습니다. 매일 인연으로 만난 사람과 정면으로 마주하라고 합니다. 실천법 중 한 가지 만이라도 바로 그날 실천해보라고 합니다. 인간력은 작은 자아로 흐려지는 마음의 거울을 닦을 때 가능합니다. 우리 마음속 작은 자아는 사라질 일이 없지만, 버리지도 없애지도 말고 한마디로 부정하지 말고 작은 자아의 움직임을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은 유연해집니다. 마음습관 7가지 실천법으로 사회생활에 필요한 인간관계 지혜를 배워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