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나를 안아 준다 - 잠들기 전 시 한 편, 베갯머리 시
신현림 엮음 / 판미동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아이가 읽는 동시집 중 신현림 시인의 <초코파이 자전거>가 있습니다.

시 취향 아닌 저보다 우리 아이에게 더 익숙한 신현림 시인이 엮은 베갯머리 시 <시가 나를 안아준다>.

 

시와 친하지 않은 저 같은 사람에게는 이렇게 여러 시인의 시를 엮은 시집이 그나마 접하기 편해서 이 시집은 그럭저럭 읽히네요. 시 읽고 사색하는 일 따위는 없던 제게 "시가 나를 안아준다"라는 제목만으로도 편안함을 얻은 시집입니다.

 

 

 

지독한 우울증과 불면증에 빠졌던 신현림 시인에겐 시가 약이었다고 합니다. 영혼의 성장에는 시만한 게 없었다고요. 매일 밤 자유로워지고, 본래의 자신에 가까워질 수 있는 시 읽기의 매력. 저는 언제쯤 익숙해지려나요.

 

<시가 나를 안아준다>에서는 밤, 고독, 사랑, 감사, 희망을 이야기한 시들이 모였습니다. 적막한 밤에 읽기 좋은 주제인 만큼 사색하는 시간을 누리라고 합니다.

 

 

 

시를 읽고 공감한다는 건 그 시가 내 깊숙한 속내를 건드리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그동안 제가 시를 가까이하지 않았던 건 어쩌면 마음속 깊숙이 자리 잡은 무언가를 건드리고 싶지 않거나 외면하느라 그랬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지독한 외로움은 저주가 아니라 은총이라는 데 말입니다. 혼자 있는 시간을 성찰의 시간으로, 사색하는 시간으로 허용하지 않을 만큼 팍팍하게 산 것 같아요.

 

윤동주 시인의 시 <길>의  "내가 사는 것은 다만, 잃은 것을 찾는 까닭이다."라는 마지막 문장을 읽으며 인생의 방향을 생각하기도 하고. 에리히 케스트너의 <자살에 대한 경고>에서 "최소한 오래 살아 놈들에게 약이라도 올려야 하지 않겠어?"라는 심각한 주제인데도 피식 웃음 짓게 합니다.

 

사랑까지 포기하는 시대. 사랑하는 법을 연습하고 훈련하는 데도 시는 특효약입니다.

시의 뿌리는 사랑이라죠. 신현림 시인이 시를 통해 마음을 회복했듯, 시를 읽고 사색하면서 자기 자신을 만나야 하고 그래야 나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됩니다.

 

시 읽기는 소중함을 깨닫는 일인 것 같습니다.
사랑, 감사, 희망의 시는 삶의 의미와 방향을 살피며 내가 가진 것들에 감사하라고 합니다.

 

"사람은 사람과 어떻게 사는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묻는 휴틴의 시 <사람에게 묻는다>처럼 베갯머리 시에는 묵직한 질문도 있고, 가볍게 즐길만한 휴식 같은 시도 있습니다. 프란시스 잠, 프리드리히 니체, 에쿠니 가오니, 미켈란젤로, 괴테, 헤르만 헤세, 신현림, 이해인, 정호승 등 국내외 전문 시인뿐만 아니라 소설가, 철학가, 예술가들의 글귀도 소개되고요. 

 

 

 

함께 등장한 그림과의 궁합 참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그림에 푹 빠져 이 시집을 완독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파울 클레, 앙리 마틴, 에드와르 뷔야, 모리스 드니 등 폴 고갱의 영향을 받은 나비파 중심의 그림이 글과 잘 어울립니다.

 

살다 보면 버티기 힘들 만큼 지치는 날도 오기 마련이죠. 일상을 쫓아가는 것만으로도 버거운 이들에게 잠시 멈춤을 알려주는 <시가 나를 안아준다>. 지친 영혼에 희망을, 내일을 살아갈 힘을 살포시 안겨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