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별 엄마표 놀이 - 학교 수업 완벽 적응, 놀이로 영재를 키운 따랑해의 하루 10분 놀이법 74
김주연 지음 / 다온북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생들은 엄마와 놀면 안 되나요?! 유아 대상 엄마표 놀이는 수두룩한데, 초등학생 대상 엄마표 놀이는 희귀템이군요. 초등학교 입학했다고 우리 아이가 갑자기 달라지는 건 아닌데 말입니다. <과목별 엄마표 놀이>는 6~10세 아이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수업 적응을 위한 엄마표 놀이로 꽉 채워졌습니다.

 

네이버 육아 파워블로거 따랑해 김주연 저자의 경험과 실용적인 정보 믿을만합니다. 우리 아이 지금 초등 6학년이어서 이 책에 나온 이야기들을 어느 정도 검증(?) 할 수 있겠더라고요. 공감 꾹~!

 

 

 

초등 저학년 때는 엄마들이 흔히 생각하는 그 공부 모드는 솔직히 힘들어요. 집중 가능한 학습 시간도 짧고요. 이 시기에는 교과서에 나오는 주제를 놀이로 접근하면서 학습의 바탕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하루 10분이면 충분! 아이들이 아니라 엄마 입장에서도 말이죠. 10분 넘어서면 엄마가 먼저 지쳐버리기 일쑤입니다. 이 책에서 소개한 놀이법을 쭉 살펴보니 유아용 엄마표 놀이보다 신체활동이 덜한 놀이들이긴 해요. 그런 장점(?)은 있지만 반대로 이걸 너무 학습적인 면으로 끌고 가버리면 서로 스트레스받게 되죠. 놀이는 놀이일 뿐이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아이와 10분간 마주하면 좋겠습니다.

 

 

 

<과목별 엄마표 놀이> 책은 국어, 수학, 과학, 영어, 사회 과목 엄마표 놀이를 다룹니다. 국어 놀이의 바탕은 뭐니 뭐니 해도 책입니다. 독서만 잘해도 모든 과목의 기본 바탕은 다져집니다. 동시도 읽어보고 과학, 사회, 예술 등 다양한 영역을 책으로 접하면 결국 다 도움 되더라고요. 국어 놀이에서 중요한 건 아이가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게 아닐까 싶어요.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게 말이죠.

 

특히 과학동화는 저학년 때 많이 읽어두니 고학년 과학에서 제대로 힘을 내더라고요. 자연관찰 책은 유치 시절에 많이 읽히는데 그건 초등 3학년 과학에 효과 발휘했고요.

 

따랑해 김주연 저자가 알려주는 책과 친해지는 단계별 놀이는 독후 활동입니다. 책 속 중심 단어를 기억해내는 빙고 게임도 유용해 보이네요. 이건 우리 아이와 해봐야겠습니다.

 

 

 

수포자 엄마라면 아이의 수학 걱정부터 들기 마련인데요. 수학은 학년이 올라가면서도 계속 그전에 배웠던 걸 바탕으로 쌓이는 방식이라 기본 튼튼히 하는 게 관건입니다. 우리 아이의 경우 해당 단원 공부할 땐 개념 이해한 것처럼 보여도 단원이 섞이면 멘붕되기도 하더라고요.

 

초등수학 놀이는 비싼 교구가 있어야만 가능한 게 아니라 집에 있는 용품으로 충분히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과자, 젤리, 양말 등으로 분류 개념 배울 수 있는 놀이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규칙, 패턴 등 다양한 응용 놀이로 수학 일부 영역 수월하게 이해 가능해요. 집에 있는 상자란 상자는 그때그때 잘라버리면 전개도를 배울 수 있고요. 이때는 여러 방식으로 잘라 최대한 다양한 모습의 전개도가 나오게 하면 요것도 또 나중에 큰 도움 됩니다. 사면 좋은 교구도 분명 있어요. 1~2만 원 대로 구입 가능한 실용적인 교구들 콕 짚어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엄마표 놀이에는 아무래도 엄마 취향이 반영되기 마련이죠. <과목별 엄마표 놀이>에서 소개하는 놀이 중 몇 가지는 끌리지 않은 놀이도 있었어요. 종이컵 성, 색종이 폭죽. 이름만 들어도 감잡히지 않나요. ㅋㅋㅋ 정리도 놀이처럼 할 수 있는 맘이라면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겁니다.

 

 

 

수학이 엄마들 고민이 가장 커서인지 이 책에서도 수학 파트는 읽을거리가 유난히 많네요. 초등 수학 문제집을 분야별, 단계별, 출판사별로 특징과 구성을 소개하고 있어 간단하게 비교 참고하기 좋더라고요.

 

 

 

과학의 꽃은 실험이죠! 원리를 설명하려 들지 말고 그저 놀이처럼 접하는 과학실험. 대신 관찰 결과는 짤막하게라도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영어놀이는 엄마표 유아 영어 관련 책이 워낙 많이 나와있는데, 이 책에 더 특별한 뭔가가 있는 건 아닙니다. 영어와 친해지는 기초 단계 수준의 영어놀이입니다.

 

 

 

사회 과목은 저학년 때는 우리 동네 위주로 주변 탐색, 생활 경제 쪽으로 접근하면 됩니다. 한국사를 굳이 저학년 때부터 공부하듯 할 필요는 없어요.

유치 시절에는 체험 위주로, 초등 이후엔 박물관 견학 위주로 하면 좋다고 합니다. 박물관도 다녀보니 한 번에 박물관 전체 끝장 보려 하지 말고, 한 번 견학 때 한 분야씩만 가볍게 보면서 몇 번 다녀와야 제대로 도움 되더라고요.

 

 

 

이것저것 만드는 게 구질구질해서 싫어하는 맘들도 만족시킬 부록도 있으니 너무 번거롭지 않을까 하는 걱정 안 하셔도 돼요.

 

놀이로 자극하면서 아이와 함께 성장한 엄마의 기록을 담은 <과목별 엄마표 놀이>.

체험, 놀이로 체득한 건 확실히 아이가 기억도 잘 해내고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하더라고요. 아이 눈높이에 맞춘 초등 놀이, 저는 이렇게 다양하게 못 놀아줘서 아쉽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나중에 더 후회하지 말고 응용해서 할만한 건 지금이라도 함께 놀아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