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절대지식 - 천만년을 버텨갈 우리 속담의 품격
김승용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소장가치 있는 책, 우리말 절대지식.
속담 책이라니 에이~ 재미있을 리가 없잖아?! 싶었는데 읽는 재미까지 있으니 애정줄 수밖에 없는 책이에요.

 

컬러 사진이 먼저 눈에 띄어 깜짝 놀랐어요.

사진 자료가 많아 시각적으로도 너무 빡빡하지 않고 자연스레 들춰보고 싶게 하는 구성입니다. 자세하기는 얼마나 자세한지. 백과사전보다 자세하고 국어사전만큼 깊이 있고 이야기책처럼 재미있다는 문구가 정확히 들어맞는 책입니다. 특히 옛 속담과 뜻이 같지만 인터넷, SNS에서 많이 사용하는 현대 속담을 표기한 부분이야말로 이 책의 백미였어요. 고리타분한 느낌이 들지 않고 생생합니다.

 

 


가난과 관련한 대표 속담만 해도 참 많았어요.

가난 가난 해도 인물 가난이 제일 서럽다. 가난과 거지는 사촌 간이다. 가난 구제는 나라님도 못 한다. 가난도 비단가난. 가난도 암가난 수가난이 있다. 가난이 싸움 붙인다. 가난한 상주 방갓 대가리 같다. 가난한 양반 향성에 들어가듯.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등 대표 속담을 하나씩 소개하면서 서로 반대되는 속담은 친절히 알려주기도 하고, 대표 속담과 비슷한 의미의 속담도 함께 알려줍니다.

 

가난한 양반 향청에 들어가듯 이란 속담을 살펴보면, 향청의 뜻은 물론 왜 초라하고 가난한 양반이 향청에 들어가기 싫은지 잘 풀어내고 있어요. 하기 싫은 일을 주저하고 머뭇거리거나 맥없이 하는 모양을 뜻하는데, 이것을 현대 속담으로 바꿔보면 명절 청문회! 친척들 모이는 명절에 결혼, 취업 등 온갖 곤란한 일들이 벌어지니 요즘은 젊은 청년들에게도 명절 증후군이 생길 정도입니다.

 

 

 

[成語] 부분은 우리말 속담이 한자성어와 딱 들어맞는 경우가 있을 때 소개하는데 우리말 속담을 읽다가 방대한 양의 한자성어까지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니 참 좋더라고요.

갈수록 태산이라는 우리말 속담을 한자성어로는 설상가상, 병상첨병, 점입가경으로 나타낼 수 있고, 현대 속담으로는 월급 빼고 다 오른다, 흰 바지 입은 날 비 맞고 팬티까지 컬러, 입술 찢어졌는데 하품 나온다로 소개되어 있어요. 비슷한 말로는 산 넘어 산, 엎친 데 덮친 격이 있습니다. 우리말 속담 책 읽다가 빵 터질 일이 있을 거라곤 생각 안 했는데 정말 재미있었어요.


 

정신은 꽁무니에 찼나라는 속담도 기억에 남는데요. 현대말로는 어머님 은혜로 시작해 스승의 은혜로 끝난다는 말이라고 해요. 강풀 웹툰 <일쌍다반사> "어머님 은혜" 편에 나오는 이미지를 자료로 소개하는데 어머니의 마음과 스승의 은혜 노래가 후렴에 이를수록 비슷한 것 때문에 벌어지는 일입니다. 사실 제목조차 어머니의 마음이 아니라 어머님 은혜로 잘못 알고 있는 실정이라고 알려줘서 저도 헉~! ;;;;;

 

 

대표속담, 한자성어 찾아가기 코너로 가나다순 한 번에 정리됩니다.


현대적인 감각이 탁월한 우리말 속담책 <우리말 절대지식>.

영화, 드라마, 명화 등 다양한 문화매체 자료와 신문, 온라인 자료 등을 아낌없이 넣은 책입니다. 그러다 보니 그저 잊힌 옛 속담이 아니라 현재 우리의 말문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사전식 구성이지만 이야기책처럼 재미있는 <우리말 절대지식>. 소장할만한 책으로 강추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