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닮고 싶은 창의융합 인재 3
김창회 지음, 강윤정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손영운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이즈만북스 닮고 싶은 창의융합 인재 시리즈 세 번째. 읽지 않았더라도 그의 작품 이름은 누구나 아는 위대한 극작가 셰익스피어~! 유년시절, 작가로서 주목받은 시기, 은퇴 후 말년 시기로 구분해 셰익스피어의 일생과 그의 대표 작품이 탄생한 배경을 알려줍니다.

 

올해가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이 되는 해였습니다.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던 영국의 자랑. 그의 작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기 있죠.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 멘델스존의 결혼행진곡 등 여러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준 셰익스피어. 하지만 그의 일생에 관해서는 의외로 아는 게 없었습니다. 우리 아이 책이지만 엄마인 저도 무척 진지!하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이었어요.

 

셰익스피어를 왜 창의융합 인재로 선정했을까요. 독서의 힘, 배려하고 공감하는 바른 인성, 새로운 지식을 창조한 노력, 다양한 지식을 융합한 예술성, 경험과 관찰을 결합시킨 창의력,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눈. 이렇게 여섯 가지 항목으로 설명합니다.

 

셰익스피어는 대학을 다니지 않았습니다. 어렸을 때 아버지의 극성에 문법학교를 다녔지만, 집안이 기울어 학업은 결국 그만두게 됩니다. 하지만 극단을 따라 런던으로 가 무명 배우를 거치며 초보 극작가로 꿈을 키워나가게 됩니다. 당시엔 대학 출신 극작가들이 연극계를 꽉 잡고 있던 시기여서 셰익스피어의 성공은 그야말로 엄청난 사건이었다고 해요.

 

 

 

셰익스피어가 쓴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푹 빠져있었던 신화를 바탕으로 한 것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다른 이들처럼 그저 차용한 수준이 아니라 새로운 눈으로 현실의 경험과 신화 속 이야기를 잘 섞었다는 게 그만의 특징이었어요.


<로미오와 줄리엣>은 유럽 문학의 뿌리인 오비디우스의 <변신>에 나오는 피라모스와 티스베 사랑 이야기를 바탕으로 합니다. 셰익스피어는 인간의 행동과 심리에 초점을 맞춰 기존의 전통을 깨기 시작했죠. 그의 나이 스물여덟 살 때입니다.

 

 

 

몸소 세상을 경험했고, 특유의 언어감각과 재치 있는 입담이 더해져 그의 작품은 여왕뿐만 아니라 대중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작품 속 등장인물의 직업, 독창적인 캐릭터 등은 불완전한 인간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객을 가르치는 식이었던 기존 연극계의 전통을 깨뜨리고 관객의 눈높이에 맞춘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성공할 수밖에 없겠더라고요.

 

어린 나이에 죽은 외아들 햄닛을 그리며 쓴 <햄릿>은 탄생 비화가 있더군요. 아들의 죽음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탐구를 하기 시작한 거였어요. 진실한 연극을 위해 인간의 삶과 죽음의 본질을 들여다보게 된 겁니다. 이어 <오셀로>, <리어왕>, <맥베스>까지 그 유명한 셰익스피어 4대 비극이 이어졌습니다.

 

그가 쓴 첫 시 <비너스와 아도니스>도 너무 아름답더라고요. 게다가 신조어의 달인이었어요. 그가 창조한 단어가 무려 2,000여 개. Knock, Knock~ 이것도 셰익스피어가 만든 단어라고 합니다.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 말하는 창의융합 인재는 인문, 사회, 과학 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을 함양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기술 창조력을 갖춘 사람을 의미합니다. <닮고 싶은 창의융합 인재 셰익스피어>편을 읽으며 시인이자 극작가였던 셰익스피어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며 그가 가진 힘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셰익스피어는 멘토로 삼을만한 인물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