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교육대기획 시험 - 최상위 1% 엘리트들의 충격적이고 생생한 민낯!
EBS <시험> 제작팀 지음 / 북하우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상위 1% 엘리트들의 충격적이고 생생한 민낯을 보여준 EBS 교육대기획 <시험>.

시험을 낱낱이 파헤쳐 현재 대한민국 교육의 방향, 우리가 하는 공부의 본질을 생각하게 한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좋은 내용이 많아 책으로 찬찬히 다시 한 번 되새겨 봅니다. <시험> 책에서는 교육의 본질을 왜곡하는 시험 시스템을 살펴보며 공부를 잘한다는 것의 의미와 우리가 공부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무엇을 위한 교육을 해야 하는가 문제 제기합니다.

 

대한민국 시험만 목숨 거는 줄 알았는데 일부 다른 나라에서도 그렇더군요.
죽느냐 사느냐 누군가에게 시험은 생과 사의 문제. 인도 불가촉천민의 유일한 삶의 탈출구인 시험에서 천 명의 대리 시험자가 체포되었고, 컨닝페이퍼 전달하는 사람들의 사진은 고개를 절래절래하게 만듭니다.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대입 시험 역시 개인의 인생과 가문의 역사를 바꿀 기회로 생각하고요.

 

시험의 좋은 예로 불리는 프랑스와 독일의 대입 자격시험은 질문의 정답은 없이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근거를 대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보여줍니다. 그들의 시험 문제를 보면 자기 생각이 얼마나 중요한지 스스로 인지할 수밖에 없겠더라고요. 시험이 평가의 목적이 아닌, 성장의 기회로 삼는 시험입니다.

물론 좋아 보이는 제도도 문제점은 있습니다. 이 세상에 완벽한 시험이란 없죠. 시험은 실력을 평가하는 목적을 가졌지만 '선별'을 위해 가장 간편하게 책정된 방법이니까요. 하지만 좀 더 나은 시험 제도란, 교육의 목표와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는 과정이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우리의 시험은 어떤가요?
얼마나 많이 공부했는가, 얼마나 많이 유형에 익숙한가를 묻습니다.

 

시험 잘 보는 유전자가 있다는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바로 시험에서의 긴장 처리와 관련한 것인데, 뇌에 적정 수준의 도파민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콤트 유전자라고 합니다. 전사형, 걱정쟁이형, 중간형으로 나뉘며 이것은 시험 하나로 평가하는 것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의미가 되는 겁니다.

 

 


 

지혜로운 인간이란 질문을 하는 인간이지, 정해진 답을 맞히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
이 말은 가슴으로는 이해하지만, 솔직히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죠. 우리의 시험은 시험 테크닉을 배워 높은 점수를 얻는 방식입니다. 예전에 읽은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을까> 책 내용이 여기에도 언급되는데, 그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모인 서울대에서도 A+를 받는 공부기술은 그야말로 경악 수준이었잖아요. 수동적인 방식의 학점 따기 테크닉일 뿐이었습니다.

 

여기서 교육의 본질과 시험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생각해봅니다.
교육이 인간에게 가르쳐야 할 본질적인 마음가짐은 '의심하는 능력', 즉 질문하는 인간이지만 우리의 학습 문화는 왜 공부를 하는지에 대한 학생들 스스로의 답이 없는 상태고, 사회가 그렇게 만들어 왔습니다.

 

대학교 들어가면 학문이 아닌 입사 준비하고, 젊은 세대가 모두 공시생인 현실.

학벌에 대한 차별이 있는 사회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게 이 방법뿐이라는 건 우리 사회와 교육에 관한 인식의 대전환이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데세코 프로젝트라는 연구가 있는데, 수능 만점자 2명과 내신 9등급 등 다양한 성적의 아이들을 모아놓고 문제해결능력을 살펴본 실험이었어요. 여기서 자칭 전문가라는 분들이 모두 수능 만점자를 찾아내지 못했고, 오히려 인재라고 평가한 유형은 실생활에 연관된 문제를 해결할 때 복합적 역량을 보여준 아이였습니다. 그 유형은 평소 공부 이외 다양한 경험을 쌓았던 아이였고요.


이 프로젝트는 핵심을 파악하고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줬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실패와 도전이라는 과정이 있어야 했고요.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가 나옵니다. 우리 사회는 과연 실패를 불편하게 여기지 않게 하는 사회인가? (아... 또다시 암울해지네요)

 

<시험> 책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부분만큼은 정말 속 시원하게 알리고 있습니다.

시험에 대한 맹신의 위험성, 시험이 곧 교육이 아니라는 것 등 시험의 본질을 살펴본 다음, 우리가 평가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인재의 조건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합니다. 우리나라에 이런 변화가 이뤄지겠어?라는 사고방식에 갇히기보다는 교육 개선 필요성을 다 같이 인식하는 게 먼저이기에 <시험>책은 그 목적에 잘 맞게 풀어내고 있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