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아도 행복한 프랑스 육아 - 유럽 출산율 1위, 프랑스에서 답을 찾다
안니카 외레스 지음, 남기철 옮김 / 북폴리오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일과 양육을 조화롭게 병행하는 여유로운 삶.
꿈만 같은 일이 프랑스에서는 이뤄지고 있습니다. 유럽 출산율 1위 프랑스. 아이를 둘 이상 키워도 취미와 직장 일을 포기하지 않는 프랑스인. 출산을 부담스러워 하지 않고 다자녀 가정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지 <아이를 낳아도 행복한 프랑스 육아>에서 파헤쳐봅니다.

 

"프랑스 사람들은 아이 때문에 인생이 완전히 바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책 속에서

 

 

 

프랑스에 사는 독일 출신 기자 워킹맘이 바라본 프랑스 엄마들 이야기. 책에서는 독일과 프랑스를 비교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저자가 쓴 것처럼 독일 저출산 현상과 정부 정책, 육아 사고방식이 우리나라와 무척 닮아있어 깜짝 놀랐습니다.

프랑스 인들은 일단 계급의식이 없고, 자의식이 강한 편이라고 해요. 그래서 완벽한 조건의 파트너를 찾으려 애쓰지 않고 개방적입니다. 상대 직업보다 자신의 직업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고방식을 가졌다고 합니다. 개인의 사고방식도 이렇고, 정부도 마찬가지입니다. 남편은 돈을 버는 사람이 아니라 아이의 아빠 또는 인생의 동반자라는 사고방식이 바탕이 된 정책을 펼친다고 합니다.

그만큼 유연한 사고방식을 가진 프랑스에 비해 독일이나 우리나라는 엄마가 아이의 모든 것을 책임져야 하는 태도로, 아이를 낳아도 예전 생활을 다시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기 힘든 사회에서 살고 있죠.

저출산은 자녀를 직접 돌봐야 한다는 잘못된 신념이 큰 문제라고 해요. 프랑스 정부에서는 그 도시에서 태어난 아이는 시에서 책임진다고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맡겨도 될까 염려하는 대신 언제, 누구에게, 어디에 맡길지만 결정하면 된다는군요. 이렇게 보육문제를 사회적 합의사항으로 만들었습니다. 사회적이라는 개념에는 부모가 부담을 떨쳐버린다는 의미가 있고요.

 

 

 

물론 프랑스인들도 육아가 힘든 건 마찬가지입니다. 다시 일하려고 아이와 떨어져 지내는 것도 힘들어하지만 결국, 다시 일을 시작하는 문제를 유연하게 받아들인다고 해요. 다섯 살 이하 자녀를 둔 프랑스 여성 다섯 중 넷은 임신 전과 다름없이 정규직으로 복귀할 정도랍니다.

여자들이 집에 있는 것은 자연의 법칙이 아니다.
오히려 정부의 정치적인 책임이다.

 

 

 

아이는 엄마 혼자서 기르는 게 아니라 부부가 함께, 사회가, 정부가 기르는 것이라는 개념이 확고한 곳입니다. 우리 고정관념에는 아이는 무조건 보살핌을 받는 존재로 여기지만, 프랑스는 권리와 의무가 있는 온전한 인격체로 여깁니다. 아이들의 이해력이 뛰어나다고 믿기도 하고요.

프랑스 초등학교 메뉴는 일반 고급식당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메뉴라고 합니다. 아이들을 위한 어린이 메뉴가 있을 이유가 없다는 거죠. 어른과 똑같이 식탁에 앉아 어른과 같은 음식을 먹습니다. 그저 그릇 크기만 작을 뿐. 게다가 물은 얼마든지 언제라도 마실 수 있게 하지만, 스낵과 설탕이 든 음료 같은 간식은 피한다고 해요.

상호 독립성,
그것은 프랑스가 나와 남편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개념이다.

 

임신 때 체중조절에도 신경 쓰니 출산 후 임신 전 몸매로 돌아가는 것도 쉬운 편이라고 합니다. 모든 면에서 임신 전의 생활로 되돌아가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에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없지 않겠어요? 여성은 엄마 역할만 있는 게 아니라 모든 역할에 동등한 중요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완벽한 엄마의 허상에서 벗어나는 것, 중요하죠. 그 전에... 포기가 당연시된 N포세대에게는 결혼부터 난관인데 아이가 웬 말이냐... 게다가 결혼 후 무자녀 가정의 원인이 다른 개인적인 이유가 아닌, 그렇게 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사회가 원인인 경우가 많으니 지금 상태로라면 저출산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이 키우기가 부담스럽지 않은, 아이를 낳아도 행복한 육아가 가능한 프랑스 보육 정책과 사고방식, 부럽긴합니다. 이 모든 것은 엄마의 심신이 건강하면 아이도 건강하다는 대원칙을 바탕으로 가능한 일인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