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아 연출의 사회학 -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어빙 고프먼 지음, 진수미 옮김 / 현암사 / 2016년 1월
평점 :
일상이라는 무대에서 우리는 어떻게 연기하는가, 곧 사회적 삶은 연극이라는 말일까요.
제목부터 뭔가 묘하게 수긍하게 됩니다.
1959년에 출간된 사회학 고전 <자아 연출의 사회학>이 드디어 번역판으로 나왔습니다.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은 이 책에서 개인이 일상에서 남들에게 자신을 표현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이야기하고 있어요. 당시 주류와는 다른 형태의 연구를 통해 학교, 군대, 병원, 가정, 정계 등 사회 곳곳의 사례를 파헤치며 비주류로서 미국 사회학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쳤다는 점이 인상 깊었네요.
어빙 고프먼은 고전 문학에서 사례를 많이 뽑아내기도 했는데 사회학자로서 문학에 상당한 조예가 보여 딱딱하지 않게 읽을 수 있었고, 문학 속 사례는 일상 사례보다 오히려 더 흥미롭게 다가오기도 했을 정도입니다.
개인은 자신을 표현하는 행동을 하게 마련이고 상대방은 그 인상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하지만 의도적으로 거짓 정보를 전하기도 하는 속임수, 위장도 있게 마련인데요. <자아 연출의 사회학>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자신을 '연출'하는 개인의 관점으로 즉, 개인이 남들 앞에서 행동할 때 택하는 극적 연출의 문제를 사회학적 분석으로 다룬 책이랍니다. 특이하게 연극 용어를 사용하며 설명하고 있는데 이게 장점이자 단점이 되기도 했어요. 연극 무대로 한번 꼬아 설명하는 게 더 적절한 비유가 될 때도 있었고, 오히려 낯설게 다가오는 부분도 있었단 말이죠. 하지만 대체로 비유는 절묘하긴 했어요.
자아 연출 방법을 진심으로 자기가 연출하는 인상이 진정한 실체라고 확신하는 경우와 가면극처럼 냉소적인 경우로 나눠 설명하는데, 결국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보는 사람은 겉모습과 몸가짐으로 인상을 판단하게 됩니다. 겉모습은 사회적 지위나 개인적 의례 상황을 알려주고, 몸가짐은 어떤 역할을 할지 예상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서비스직은 청결함, 세련됨, 유능함, 진실함을 부각하고 표현하듯 말이죠.
이런 연기는 사회가 이해하고 기대하는 틀에 들어맞도록 이루어지고 수정된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