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2011년 출간되어 국제 베스트셀러가 된 유발 노아 하라리 박사의 <사피엔스>가 김영사에서 출간되네요.

가제본으로 미리 읽었습니다.


처음엔 그저 호모 사피엔스의 생물학적 진화에 관한 책인가 싶었는데, 스케일이 장난 아니었어요. 빅히스토리입니다.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처럼 <사피엔스>에서는 호모 사피엔스 종의 운명이란 큰 질문을 제기하고 인류문화가 발전해온 과정인 '역사' 속에서 힌트를 찾아봅니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솔로엔시스, 호모 데니소바, 호모 루돌펜시스, 호모 에르가스터, 호모 사피엔스... 모두가 호모 속에 속한 종이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이 진화해 사피엔스가 된 게 아니라 다양한 인간 종이 동시에 살았던 적이 많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생태계 전반적으로 봐도 단 한 종만 있는 것이 오히려 더 이상한데, 바로 이 시대 유일한 인간종, 호모 사피엔스... 우리가 그렇지요


개인적으로 <잃어버린 게놈을 찾아서 : 네안데르탈인에서 데니소바인까지 / 부키 / 2015> 책을 읽어둔 게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되었어요. 근래 진화 관련 책에서 빠짐없이 언급되는 네안데르탈인 DNA를 밝힌 그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스반테 페보 박사의 책입니다. 여기서 현생인류를 인간답게 만든 본질에 관해 생각해보게 하는데, <사피엔스>에서는 이런 본질이 어떻게 생겨났고, 어떻게 변화했고,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를 다루었다고 보면 되겠네요.

 

왜 다른 인간 종은 멸종했고, 호모 사피엔스 종만이 살아남았을까.

1만 년 간 유일한 인간 종이었던 호모 사피엔스의 성공 비결은 무엇인가를 인지혁명, 농업혁명, 과학혁명을 거친 역사에서 찾습니다. 사피엔스의 행동을 이해하려면 이들의 행동이 역사적으로 진화해 온 경로를 살펴봐야 한다는 겁니다.

저자는 사피엔스의 성공비결로 언어를 꼽습니다. 인지능력에 혁명이 일어난 결과라고 말이지요. 무엇 때문에 촉발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닌 허구를 말할 수 있는 능력, 즉 언어의 유연성이 바로 문화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허구'라는 것을 자주 언급하는데, 거짓말이라기에는 미묘한... 전설, 신화, 신, 종교 등 가치관, 믿음과 가까운 의미입니다. 공통의 신화를 믿으면 성공적 협력이 가능해진다는 거죠. 이 협력은 이 책에서도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호모 사피엔스의 본질과도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협력은 다양한 원인으로 신속하게 바뀌기도 합니다.

 

 

 

 

농업혁명 이후 수렵채집인에서 농부로 삶이 바뀐 삶. 그때부터 인류는 생태계의 연쇄살인범이 됩니다. 초강력 포식자로서, 너무 빨리 정점에 올라 이런 인간에 대항할 진화를 겪지도 못한 채 멸종된 종이 어마어마했지요. 생물학 연대기에서 단연코 가장 치명적인 종이 되었습니다.


저자는 농업혁명을 역사상 최대의 사기라고 말하는데요, 밀이 호모 사피엔스를 길들인 거라고 하는군요. 농경 덕분에 인구가 너무 빠르게 늘어났고, 한번 늘어난 이후엔 이전의 방식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인지혁명에서 허구를 만들어 낸 능력에 관해 이야기했는데 이런 상상의 질서를 바탕으로 한 사회는 붕괴 위험이 있다고 말합니다. 인간이 만든 모든 질서는 내적 모순을 지니지만, 우리는 인식하지 못하고 삽니다. 기독교, 민주주의, 자본주의 등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보편적 질서 개념의 탄생은 경제적으로 화폐의 가치와 영향, 정치적으로 제국주의 탄생과 그 이후의 역사, 종교 면에서 신 중심과 신 없는 이데올로기 등 인간의 사고체제 변화를 일으킵니다.

 

 

 

1500년경 과학혁명을 맞이한 이후로 인간은 이제 불멸에 도전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40억 년이 자연선택의 기간이었다면 이제는 지적설계가 지배하는 시대가 열린 거죠. 생명공학, 사이보그 공학, 비유기물 공학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젠가 더이상 호모 사피엔스가 아니게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인간적'이라는 개념 자체의 변화도 예상하지요.


저자는 행복론 개념도 끌어옵니다. 수렵채집인의 행복지수와 현대인의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을까 하고요.

이런 변화가 우리를 행복하게 해줬는지 묻습니다. 사람이 역사를 향해 물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질문이라고 합니다. 집단의 힘은 커졌을지 몰라도 개인의 삶은 어떤 지를요. 행복은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기대 사이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는데, 결국 행복은 외부에서 오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역자는 이런 방식이 새로운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답을 찾으려 노력하는 과정 자체에 의미가 있는 책이라고 합니다. 지적설계로 신이 되려는 인간. 인류의 진격을 담은 빅히스토리 <사피엔스>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사피엔스 종의 미래가 아닐까 합니다. 사피엔스를 넘어선 초인간 종의 도래를 예견할 수밖에 없는 사피엔스 모습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