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 마일 클로저
제임스 후퍼 지음, 이정민.박세훈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비정상회담 영국 대표로 방송 출연한 제임스 후퍼의 책 <원 마일 클로저>를 읽으며 대단한 모험담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어요. 제임스 후퍼 이력부터 놀라웠답니다.
2006년 에베레스트 정상에 오른 최연소 영국인,
2007년 세계 최초 북극 남극 무동력 종단 성공,
2008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올해의 모험가' 선정이라니!

<원 마일 클로저>는 제임스 후퍼의 모험 동반자 (고)롭 건틀렛과 어떻게 처음 모험을 시작하게 되었는지, 꿈을 정하고 꿈을 향한 발걸음 하나하나를 이야기 합니다.
비정상회담 방송에서 이야기했던 꿈을 향한 세 가지 단계 외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그의 모험인 '원 마일 클로저' 에 대한 것도 소개하고 있어요.

새파랗게 어린 나이 열 다섯에 사이클링 클럽에 가입하며 그의 모험기가 시작되는군요.
사이클링을 하며 체력의 한계를 맛보기도 하고, 자랑스러움을 만끽하기도 하다 우연히 신문에서 에베레스트 기사를 본 이후 에베레스트 등정에 홀려버립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불가능하다고 할 법한 일을 결국 해내더라고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등반기술을 연마하는 3년을 보내며 에베레스트 정상이라는 최종 목표를 향해 진전을 합니다. 에베레스트라는 목표는 조금씩 꿈에 가까워지는 데 초점을 맞춰 준비를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됩니다.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분명 한 번에 딱 한 걸음씩이었다. ” - p47

“ 위험, 그것을 경감하고자 하는 바람 그리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더욱 발전시키고 배우려고 노력하게 된다. ” - p79
위험 요소를 제거하며 최종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황당무계할 수 있는 꿈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며 머릿속 상상으로만 머물렀던 꿈을 현실세계로 끄집어 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의 도전이 언제나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풀코스 마라톤 완주 실패, 장거리 자전거 여행 실패, 스판틱 등반 실패를 겪지만, 실패로 끝나는 실패는 없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실패는 그 능력을 앗아가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지요. 어떤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는 것을 경험합니다.
13개월간의 북극-남극 무동력 종단 도전 과정에서는 몇 번의 죽을 위기를 넘기면서 결국 성공을 이뤄내더라고요.
하지만 그의 오랜 친구 롭을 잃고나서 그의 목표 방향은 변합니다.
삶이 유한하다는 자연의 이치에 감사해야 하고, 살아있는 동안 최선을 다하고 싶다는데 의미를 두며 새로운 도전을 합니다.

모험을 하며 만난 다양한 환경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욕구와 열정이 생기면서 한국으로 오게 되기까지, 그는 이제 파트너 롭 없이 하는 첫 번째 도전을 시작합니다.
제주에서 남산까지 무동력으로 종단하며 모험기질을 제대로 발휘하기도 했지요.

이후 롭을 기리기 위한 자전거 여행 원 마일 클로저를 시작하며, 기부금으로 우간다에 학교를 짓게 되네요.
그 과정에서 한국인 아내를 얻기도 하는군요 ^^
제임스 후퍼가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 알려준 몇 가지 이야기 중에서 특히 한 가지가 기억에 남는데요, 원하는 꿈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라고 하네요. 그들과 보이지 않는 계약서를 맺으며 버틸 수 있게 하는 극복의 원동력이 된다는 거죠. 조력자가 생기고, 주변인들에게 영감을 주기도 하지요.
제임스 후퍼는 이제 다른 이의 도전에 도움이 되는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자전거 여행을 하는 '원 마일 클로저' 네 번째 행사를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답니다. 9월 13일부터 7박 8일간 일정으로 여수에서 서울까지 1,000km 를요.
새로운 도전이란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어떤 형태의 도전이든 이제는 혼자서 하는 모험이 아닌,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도전을 하는 제임스 후퍼. 멋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