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쾌한 반격의 기술, 오자서병법 Wisdom Classic 11
공원국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껏 무덤에서 잠자고 있었던 《오자서병법. 합려와 오자서의 대화로 이뤄진 《오자서병법》은 1983년 '개려'라고 적힌 죽간들이 출토되며 빛을 발하게 되었다.  "오자서"는 초나라에서 충의로 이름을 떨치던 가문 출신의 둘째 아들로 간신의 모함으로 아버지와 형이 살해당하자 복수를 위해 오나라의 합려와 손을 잡고 대국 초나라를 쓰러뜨리는데 일등공신이었던 인물이다. 《오자서병법(개려)》에서 질문하는 개려는 합려이고, 답하는 신서는 오자서인데 대국 초나라라는 공동의 적을 둔 두 사람이 장차 어떻게 오나라를 강력하게 만들어 초나라를 상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나는 정당한 길을 걷고 있는가? 그럼에도 부당하게 침탈당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싸워야 한다. 반격에 사정이란 없다. 오자서가 말하는 것은 살벌한 승리의 기술이다.

 

 

 

"정신력만 갖추면 이길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다.

 

오자서는 반격의 가장 기본전제인 준비 단계부터 필살기 단계까지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한다.

반격을 하기 위해서는 전제 조건이 있다. 상대보다 빠른가, 상대보다 명분의 우위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나보다 강한 적보다 빠르지 않고, 명분도 약하다면 그 싸움은 포기하는 것이 낫다. 즉, 상대의 조건과 나의 조건이 맞아떨어져야 한다. 반격을 위한 선결 조건으로는 도와 덕의 정도를 따라야 하는 것이 대전제다. 지금껏 도의를 지키고 덕정을 베풀며 천시와 지덕을 따랐는지를 먼저 돌아보고 실천해야 한다는 것. '정의'롭다고 확신할 때 싸움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의미다. 더불어 우리는 정의로운데 상대는 정의롭지 않을 때 비로소 반격의 명분과 승산이 있다.

 

 

 

오자서병법》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최후의 승리를 위해서는 패배까지 감수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적에게 이익으로 유인하는 등 '패배'를 승리로 전환하는 반격의 기술이다.

 

 

 

 

저자는 《오자서병법》의 핵심을 이해하고 반격의 요체를 실천하여 역사의 주인공이 된 네 사람의 사례를 통해 그들이 보여준 성공과 실패, 좌절과 극복의 이야기를 설명한다. 오자서병법의 근본은 알지만 정밀한 부분을 몰랐던 하수 유비, 중수로는 싸움에서 시간과 공간을 적절하게 배합하던 천재 주원장, 고수로는 작은 것을 잃고 큰 것으로 보상받는데 귀재였던 유방, 그리고 최고수로는 역전의 명수이자 오자서병법의 완성자이면서 실천자로 말할 수 있는 현대 중국의 모습을 설계한 모택동의 사례를 들고 있다.

 

하지만 최고수라고 칭한 모택동의 경우 싸움이 끝난 후에도 싸움의 방법을 고수하자 돌아온 것은 평화가 아닌 비참한 가난과 불신이었다며 승리했다면 재빨리 삶의 상도(常道)로 돌아가야 한다는 교훈을 언급한다.

 

『 우리가 삶의 상도를 지키며, 부득이한 순간에 포악한 상대를 제압한다면 우리를 비난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 - p218

 

 

 

대화체로 서술된 오자서병법의 원문은 생각외로 짤막하다. 하지만 이 새로운 고전 《오자서병법》을 통해 계란으로 바위치기가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승리를 했다면, 반격의 실천기술보다 오히려 중요할 수 있는 진정한 승리의 삶을 이어가기 위한 마음가짐을 알려주고 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