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 제로
롭 리이드 지음, 박미경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IT분야, 음반산업계의 생태를 외계 생명체와 잘 주물러 섞어 유쾌하고 빵 터지게 만드는 소설 《이어 제로》

 

음악을 더~~럽게 못하는 외계인. 인류의 진화상태는 그들의 눈에는 원시적으로 구제불능 상태이지만 인류가 창조해 낸 음악은 전 우주를 통틀어 가장 뛰어나다. 지구의 음악이 외계에 알려진 1977년 그 해를 기념하기 위해 우주 달력을 새롭게 카운트하는, 외계인 사회를 통틀어 가장 뛰어나고 평화로운 단체 '잘난 연맹'.

 

1977년은 나머지 우주의 원년(Year Zero), 새로운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지구의 음악을 듣고 1분도 지나지 않아 셀 수 없이 많은 '잘난 존재들'이 비명횡사를 한다. 황홀감 때문에 뇌에서 엔도르핀 같은 물질이 한꺼번에 방출되어 뇌출혈을 일으켜 한마디로 황홀경에 빠져 순식간에 죽어버리는 것이다. 새로운 시트콤의 테마송이 알려질 때마다 사상자도 늘어났다. 하지만 치명적인 새 노래를 접하면서 예방백신을 맞은 것처럼 생존자들은 점점 더 단련되기도 한다. 결국, 어느 정도 견뎌내는 수준이 되었던 때가 1978년 중반. 각종 참사를 이겨낸 외계 생존자들은 로큰롤 곡까지 안전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퍼퓨피나이트라는 외계 종족은 인간과 흡사한 외모 때문에 '잘난 존재들'에게 지구에서 열리는 핫한 공연과 가장 흡사한 공연을 선사할 수 있다. 물론 노래는 더럽게 못 하기 때문에 립싱크를 한다.

 

그렇게 수십 년이 흐르고... 문제가 터졌다. 그들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많은 돈을 우리에게 빚진 것이다. 왜?!

 

어느 날 저작권과 특허권 분야에서 명성이 자자한 법률사무소의 저작권담당 하급 변호사 독신남 카터에게 나타난 외계인. "상당히 많은 존재가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사적으로는 물론 공적으로도 자유롭게 복사, 전송, 공유, 저장 가능한... 인간의 모든 음악에 대한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라는 말을 남긴다. 이런 대책 없는 요구라니~! 

바로 인간이 '저작권 손해배상 개선법'이라는 법률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법 때문에 온 우주가 발칵 뒤집히게 된다. 그 때문에 누군가가 빚을 없애려고 지구를 파괴할 (자멸하도록 부추길 계획) 무리가 생기게 되고, 인류를 구하고 싶으면 변호사 카터가 나서야 할 상황이다.

  

외계인 잠입자가 카터에게 찾아간 이유를 묻기 위해 또 다른 이상한 외계인들이 카터 앞에 등장한다. 영국의 록 밴드 '더 후'의 광팬들이 공연을 보려고 지구에 밀려드는 걸 방지하고자 1978년에 지구 주변을 둘러싼 '타운센드 라인'이라는 보호막이 있었지만 이미 약해질 대로 약해져 있다는 사실, 게다가 정체불명 무단침입자 아홉 명이 그전에 이미 지구로 침투해 아직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어쨌든 지구를 자멸시킬 계획을 세운 존재에 대응하는 착한 외계인들과 협조를 해서 지구를 구해야 한다.

지구와 나머지 우주간에 존재하는 유일한 쌍방향 데이터 연결이 워크래프트를 통해 이뤄진다. WoW에서 한국인을 만나면 겁나게 먼 데서 접속한 외계인이라 생각하면 맞을 거란다 푸하핫~ 그나저나 지구는 외계인의 존재조차 모르는 상황인데 그냥 떼먹으면 될 것을~ 왜 굳이 외계인들은 빚을 탕감하려고 노력하는 것일까.

외계인들의 규칙은 모든 창조적 예술품은 원산지 사회의 규범에 따라 공유하고 감상해야 한다는 것. 즉 외계인들은 우리 사회의 '저작권 침해'라고 정의한 방식을 존중해야만 한다. '저작권 손해배상 개선법'때문에 '잘난 연맹'이 우리 음악 산업계에 갚아야 할 돈은 기존 통화지급 조건으로는 따질 수 없을 정도의 큰 금액이 되고 만 것이다. 최근까지 우주에서 가장 부유한 단체였지만 이젠 지구인에게 돈을 몽땅 뺏기게 될 판이라니.

  

100년도 더 전에 체결된 베른 조약에 서명한 나라는 다른 조인국의 저작권을 존중하고 지켜야 하지만 외계인 쪽은 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을지도 모른다고 변호사 카터는 생각한다. 하지만 이 가설을 무참히 깨뜨리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지는데 현재 우주에서 듣는 인간의 모든 노래는 미국 뉴욕 그랜드 센트럴 역의 6번 트랙 밑에서 복사한 것이다. 즉, 뉴욕에 좌판을 깔아놓고 몇 조에 달하는 불법 복사본을 만든 것. 이제 베른 조약은 물 건너간 셈이다. 게다가 외계인들은 음악업계 관계자들 전부와 합의해야 한다고 한다. 우주의 '잘난 존재'들은 모두 2,500만여 곡에 달하는 지구 노래 사본을 DNA에 새겨 몽땅 들고 다닌다는 것. 즉 한 명당 4조 달러가량의 부채를 진 셈이다. 저작권 침해한다는 점을 몰랐더라도 노래 한 곡당 200달러 정도의 벌금이니 그래도 1인당 50억 달러에 달한다. 

 

카터는 세상을 구하고 은하계를 아우르는 독보적 변호사로 떠오를 것인가!

 

각종 로비활동, 음반산업계와 IT업계, 사내 파벌, 로큰롤, 저작권법 등을 교묘하게 혼합시켜 폭로하고 있다. 게다가 마이크로소프트의 파란 화면, 쓸모없는 버전 호환성 문제, 심심하면 재부팅 하게 만들고, 형편없는 비스타 등은 빌 게이츠의 숨은 속뜻이 있기도 했다!!! 은하계 전체 간에 벌어진 이 소동은 영국 SF 드라마 '닥터 후'와 미국영화 '화성침공'이 생각나게 한다. 오히려 그보다 더 신감각을 지녔다. 읽는 내내 킥킥대기 바쁘다. 미국문화가 반영된 그들만의 유머였다면 재미가 반감되었을 텐데 음악을 잘 모르는 나도 재미있게 읽고 웃음을 터뜨릴 수 있을 정도로 전 인류의 웃음코드를 가진, 요즘 세대의 입맛에 딱 들어맞는 톡톡 튀는 방식이 압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