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괜찮아, 우린 친구잖아 ㅣ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9
시미즈 치에 지음, 야마모토 유지 그림, 안미연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표지를 보여주며 제목을 읽으니 "아마도 이 두 아이가 서로 도와주고 친해지고 그런 이야기들이 나올 건가 봐~" 라며
아이는 흥미진진한 눈길을 보낸다. 그렇다. 친구 간의 우정 이야기다. 조금은 특별한 아이 태민이와 평범한 아이 마루의 우정 이야기다.
초등학교 1학년 입학식. 낯설면서도 설렘이 가득한 입학식 날부터 엄마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울기만 하는 태민이. 태민이는 학교생활이 서툴기만 하다. 울기만 하거나 멍하기만 하다. 마루는 그런 태민이에게 스스럼없이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하지만 태민이는 한 번도 고맙다는 말을 하지 않고 그럴 때면 그저 웃기만 한다....



이 책의 작가는 태어날 때부터 귀가 들리지 않는 장애를 가진 아이의 엄마다.
그 때문인지 태민이를 그려내는 모습이 억지스럽지도 과장되지도 않고 알 수 없는 먹먹함이 밀려들게 한다.
장애 아동의 70%가량이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 다닌다고 한다.
그만큼 일반 학교에서 장애 아동을 돌보는 일이 일반화된 상황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편견이 없다. 편견이 생겼다면 이미 어른들로부터 그런 상황을 알게 모르게 배워 온 셈일 뿐이다.
주인공 마루의 행동을 보면 태민이를 약간 이상한 아이라고 처음에는 생각했지만
편견 없이, 도움이 필요해서 도와준다는 자연스러운 행동에 어른들이 되려 반성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반면 자기 앞가림도 사실 어설픈 1학년인 마루의 마음은 누가 보듬어주고 있는지...

친구를 아낌없이 도와주면서도 심적으로는 힘들어하는 상황이 눈에 보인다. 하지만 어른들은 그저 잘하고 있다는 칭찬뿐이다. 그렇게 도와주는 것이 당연하니까 라고 치부하기에는... 마루의 마음도 함께 어루만져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장애는 병이 아닌 약간의 관심이 더 필요한 것일 뿐이라는 배려심을 표현하고 있다.
아이들 세계에서 훨씬 배울게 많다.